용인신문 | 2018년 『밀크맨』으로 맨부커상을 받은 애나 번스의 소설 『노 본스(NO BONES)』는 북아일랜드 역사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이다. 북아일랜드는 영국과 얽혀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는데 대개의 강대국과 약소국의 관계가 그렇듯이 독립을 하려는 세력과 이를 막는 세력간의 다툼 그리고 그 와중에 벌어지는 내분이 작품의 후경에 자리한다.
소설은 평범한 어느 마을에 사는 아이들의 이야기에서 시작된다. 골목에서 노는 아이들은 전쟁이나 독립이라는 개념을 잘 알지 못한다. 그게 무엇이든 내일 골목에서 친구들과 놀수 있느냐 없느냐가 중요할 뿐이다. 그런데 소설이 중반부를 향해 갈수록 영국군은 어밀리아의 마을에 나타나 마을 사람들을 감시하고 폭행을 일삼는다. 왜 그럴까? 게다가 어밀리아가 사는 마을 사람들은 자기들끼리의 싸움이 일어나더라도 영국군이 오면 그저 부부싸움을 크게 했을 뿐이라고 거짓말까지 해야 한다. 왜?
번역투의 문장이 어지럽지만 기시감이 드는 이유는 소설 속에 펼쳐지는 일들이 우리의 역사와 비슷한 맥락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알콜 중독 선생은 아이들의 관심사보다는 학급 경연을 위한 시를 강요하고 있다. 어린 소녀는 고무탄을 자랑처럼 감추며 자신이 주워온 어떤 물건이 폭약의 뇌관이라는 것도 모른다. 동네를 떠나 도시로 간 친척은 영국군에 입대해 고향에 돌아와 고향 사람들을 감시한다.
소설이 펼쳐보이는 풍경이 낯설지 않은 까닭은 우리가 한국전쟁을 겪었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은 오래도록 냉전의 트라우마가 온 나라를 떠돌고 있다. 『노 본스』가 우리의 이야기처럼 읽히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