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1 (일)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용인신문] 김종경 칼럼
용인사람으로 산다는 것

<김종경의 용인이야기>

<김종경의 용인이야기>

용인사람으로 산다는 것

<김종경의 용인이야기>를 10년 넘게 쓰고 있다. 매주 특별한 이슈가 없을 때는 정말 고민스럽다. 쓰고 나면 부끄러울 때도 많았고, 때론 보람도 있었지만 마음은 여전히 두렵다.

용인신문은 풀뿌리언론으론 드물게 주간 지령 1000호를 넘겼다. 지방자치 부활과 언론자유 시작으로 창간 23년째다. 1990년대 초반부터 2015년 현재까지 용인 풀뿌리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시간들을 함께 했다. 필자가 함께했던 시간이기도 하다. 한국 근대사 출발로도 볼 수 있는 1895년 이후 가장 급변했던 순간들이다. 용인지명탄생 600년 이후 임진왜란과 일제강점기, 6·25 전쟁보다도 더 많은 변화를 가져왔을지 모른다.

이토록 중요한 시점에 용인신문 기자로 살아왔다. 직업 선택의 후회도 있었고, 언론인의 사명을 다하지 못한 부끄러움도 있었다. 열악한 언론 환경 탓도 했었고, 자질 부족과 매너리즘에 빠져 언론인 본연의 역할을 다하지 못했음도 고백한다.

그럼에도 필자가 용인신문을 지키고 있는 이유는 단순하다. 토박이 ‘용인사람’으로서 ‘용인’을 사랑이기 때문이다. 유목의 시대에 엑소도스와 노마드의 유혹에 빠지지 못한 것 역시 아이러니다. 최근 들어 아쉬운 것은 용인공동체에 대한 자부심이 컸던 만큼 회의감이 크게 늘고 있다는 사실이다.

1995년부터 시작된 지방자치 역사는 불과 20년, 이제 갓 스무 살 청년인 셈이다. 놀라운 사실은 불과 20년 만에 20만 명에 불과했던 용인시 인구가 100만 명을 육박하고 있음이다. 하지만 회의감이 드는 것은 도시의 외형적 변화에 비해 내적 발전이 오히려 퇴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처럼 공동체 의식 바탕 위에 형성된 정주의식이나 정체성은 오간데 없고, 오직 집단이기주의가 만연한 사회풍토를 비판하지 않을 수 없다.

‘용인시, 기업규제 완화 체감도 전국 꼴찌… 주범은 공무원’이란 제하의 칼럼에서 필자는 왜 수많은 유수의 향토기업들이 용인시를 속속 떠났거나 유입되지 못했는지를 지적한 바 있다. 수도권 규제에 묶여 기업유치와 개발행위가 어려운데도 인허가 부서 공무원들이 복지부동하는 바람에 지역발전이 안 된다는 비판 내용이다.

용인지방자치 20년사를 돌아보면 공직사회 못지않게 집단이기주의도 큰 문제다. 집단민원, 집단이기주의는 비일비재하다. 지난 20여 년간 용인시는 집회공화국이라 불릴 정도였다. 공공시설물 건립이나 도로개설 등에도 극렬한 반대가 있었다. 현 죽전레스피아(포은아트홀 부지 일원)와 분당선 연장선 개설, 신세계백화점과 이마트 건립 등도 주민 불편과 아파트값 하락을 우려한 반대에 발목이 잡혀 수천억 원의 혈세와 사회적 비용을 허비했다.

원인을 따져보면 대부분 행정 집행부의 무분별한 인허가나 주민 집단이기주의가 문제다. 대부분 보상이나 조건부 합의로 종결된다. 첫 단추부터 민주적 토론과 원만한 합의 과정을 거쳤더라면 더 빨리 해결될 수도 있다. 도시발전 속도에 비해 시민 정주의식과 턱없이 부족한 정체성도 큰 문제 중 하나다. 용인시 미래와 시민 전체 삶의 질 향상보다는 특정 집단과 소수의 이익만을 부르짖어도 묵인 내지 용납하는 사회적 풍토 역시 쇄신의 대상이다. 이 부분에서는 언론의 책임도 통감할 수밖에 없다.

개발과도기의 민관· 민민 갈등 원인이 정치· 사회지도자들의 무관심과 무능력 때문인지, 아니면 주민 집단이기주의 탓인지를 묻고 싶다. 항상 갈등과 다툼의 현장에 서있는 언론인 입장에서 ‘용인사람으로 산다는 것’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