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의료/건강

지난해 의료기기 생산실적 전년 대비 3.9% 증가


(용인신문)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이 5조 8,232억원으로 `16년(5조 6,025억원) 대비 3.9% 증가하였으며, 최근 5년간 해마다 평균 8.4%로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 생산실적(억원): ('13)42,241→('14)46,048→('15)50,016→('16)56,025→('17)58,232

2017년 의료기기 수출은 31.6억달러(3조 5,782억원)로 `16년 29.2억달러(3조 3,883억원) 대비 8.2% 늘어났으며, 수입은 35억 달러(3조 9,529억원)로 전년 31.5억달러(3조 6,572억원) 대비 11.1% 증가하여 무역적자는 3.3억달러(3,747억원)로 `16년(2.3억달러, 2,689억원)에 비해 43.5% 증가하였다.
※ 무역적자(억원) : ('13)4,074→('14)4,150→('15)2,640→('16)2,689→('17)3,747

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의 특징은 급속한 고령화로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높아지면서 치과용 임플란트, 성형용 필러 등의 관련 제품 생산·수출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치과용 임플란트 등 의료기기 생산 꾸준히 증가 >
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은 전년(5조 6,025억원) 대비 3.9% 늘어난 5조 8,232억원으로 나타났으며, 지난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8.4%이다.

또한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6조 1,978억원으로 `16년(5조 8,713억원)에 비해 5.5% 증가하였으며, 매년 평균 성장률도 7.6%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 시장규모 : 생산+수입-수출(시장규모 산출은 원화 기준)
※ 시장규모(억원) : ('13)46,315→('14)50,199→('15)52,656→('16)58,713→('17)1,978

품목별로는 치과용 임플란트(8,889억원) 생산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4,951억원), 성형용 필러(조직수복용생체재료)(2,066억원) 순이다.
※ 치과용 임플란트 해당 품목 : 치과용임플란트고정체, 치과용임플란트상부구조물
※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 : 진단을 위하여 환부에 초음파 에너지를 전송, 반사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화 하는 초음파 영상 진단장치
- 치과용 임플란트 생산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은 인구 고령화와 치과용 임플란트 건강보험적용 확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 치과용 임플란트 : ('15)6,479억원 → ('16)8,082억원 → ('17)8,889억원
※ 치과용 임플란트 70세 이상 건강보험 적용(’15. 7월) →65세 이상 확대(’16. 7월)

제조업체로는 오스템임플란트(주)(6,890억원), 삼성메디슨(주)(2,808억원), 한국지이초음파(유)(1,524억원) 순이었으며, 상위 10개사가 전체 생산의 29.9%(1조 7,393억원)를 차지하였다.

의료기기 업체 종사자는 2016년(77,885명) 대비 13.3% 증가한 88,245명이었으며, 관련 산업 성장에 맞추어 고용창출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제조업체 : 57,595명(65.2%), 수입업체 : 30,650명(34.8%)

< 고령화 및 성형 관련 의료기기 수출 증가 등>
지난해 의료기기 수출이 가장 많았던 품목으로는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5.51억달러, 6,226억원)였으며, 치과용 임플란트(2.03억달러, 2,296억원), 성형용 필러(조직수복용생체재료)(1.88억달러, 2,124억원), 매일착용소프트콘택트렌즈(1.53억달러, 1,728억원)가 뒤를 이었다.

특히 수출 상위 30개 품목 중 전년 대비 수출이 크게 늘어난 품목은 성형용 필러제품으로 `16년(1.39억 달러, 1,613억원) 대비 35.6% 증가하였으며, 이는 중국 성형시장이 성장하면서 중국으로 수출이 급증(39.7%)한데 따른 것이다.
※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억달러/억원) : ('16)5.06/5,872→('17)5.51/6,231, 9% 증가
※ 중국 성형시장 규모 : ‘18년 8,500억 위안(약 146조원)을 넘어 ’19년 시장규모 1조 위안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중국산업정보망, ‘13?’18 중국 미용성형 의료 산업 투자 전망 보고서)

또한 치과용 임플란트도 `17년 2.03억 달러(2,296억원)로 전년(1.67억 달러, 1,938억원) 대비 21.6% 증가하였으며, 수출 상위 30개 국가 중 러시아(53%), 중국(14%)으로 수출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러시아/중국 수출금액(억원) : (‘16) 141/498억원 → (‘17) 216/569억원

‘압박용 밴드’와 같은 1등급 의료기기 수출은 `16년 2.8억달러(3,249억원)에서 `17년 2.3억달러(2,601억원)로 감소한 반면 ‘인공엉덩이관절’ 등 기술력이 요구되는 고부가가치인 4등급 제품은 `16년 2.3억달러(2,669억원), `17년 2.8억달러(3,166억원)로 수출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국가별로는 미국(5.12억달러, 5조 7,856억원), 중국(5.09억달러, 5조 7,517억원), 독일(2.38억달러, 2조 6,894억원) 순이었으며, 수출 상위 15개 국가 중 `16년 대비 수출 증가율이 큰 국가로는 인도네시아(41.8%), 러시아(30.2%), 인도(28.4%)였다.

업체별로는 한국지이초음파(유)(2.7억달러, 3,053억원), 삼성메디슨(2.2억달러, 2,488억원), ㈜에스디(1.3억달러, 1,470억원) 순으로 수출이 많았으며, 상위 10개사가 전체 수출의 35.4%(11.2억달러, 1조2,665억원)를 차지하였다.

식약처는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 자료를 통해 의료기기 안전관리 및 산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등 첨단 기술이 접목된 의료기기 등 우수한 의료기기가 생산·수출될 수 있도록 기술적·제도적 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