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어느 학자는 미래 사회에 부의 척도가 생물다양성이 될 가능성을 이야기했다. 다양한 생물이 사는 환경이라면 인간도 쾌적한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으리라는 예측 때문이었다. 『어반 정글(URBAN JUNGLE)』은 생물 다양성이 보장되는 지역이 도시에서 얼마나 중요한 지위를 갖는지 보여준다.
도시 경계가 확장되면서 도시와 농촌 사이의 구분이 모호해 지고 있다. 경계를 부르는 이름도 “경계, 둘레, 도시와 야생의 접점, 데사코타, 경계 불분명 지역, 인터존, 전원도시, 근교도시, 교외 주택지, 테란바그, 배후지, 도시가 자연과 충돌하는 지점”(23쪽)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어반 정글』은 이 곳의 생물 다양성에 관심을 갖는다. 잘 가꾸어진 정원보다 어수선해 보이지만 오히려 다양한 생물이 어울려 지내고 있으며 여러 예술가들이 이곳의 가치를 일찍부터 발견했음을 근거로 들고 있기도 하다.
뉴욕에서 나오는 50년간의 쓰레기가 묻힌 곳, 9·11 테러의 잔해를 마지막으로 묻는 프레시 킬스는 10여년간 공을 들여 환경을 복원한 곳이다. 뉴욕시는 공학의 힘을 빌어 유독물질을 차단하고, 풀밭을 가꿔 생물이 찾아오는 곳으로 만들었다. 복원의 마지막 역할은 자연이 맡았다. 이는 인위적인 자연복구보다 자연이 스스로 하는 복원이 더 효과적임을 입증하는 사례였다.
겨울이다. 『어반 정글』은 초록인 채 겨울을 맞은 가로수를 보며 도시와 야생의 공존 뿐 아니라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재정립하는 데 필요한 사유를 들여다볼 수 있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