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인신문 | 용인시를 상징하는 노래 ‘용인 애향가’가 음정 오류 논란에 휩싸인 가운데, 1980년대 녹음된 것으로 추정되는 희귀한 음원이 발견돼 이목이 쏠리고 있다. 강남대학교 홍순석 명예교수가 1980년대 녹음된 것으로 추정되고, 90년도까지 불렸던 것으로 기억하는 용인 애향가 녹음 파일을 본보에 제보해 왔다. <관련기사 본보 1440호 6면>
이와관련, 지역 향토사가와 음악 전문가들은 1990년에 간행된 용인군지에 실린 악보와 이번에 제공된 음원에 근거해 정확한 음정 복원을 촉구하고 있다.
6·25 전쟁 중 탄생한 용인 애향가는 유인상 군수 창안, 유달영 작사, 조성지 작곡으로 용인 사랑과 자부심을 고취하는 민요풍의 노래다. 하지만 현재 시 홈페이지와 유튜브에 게시된 음원은 원본과 음정이 달라 논란이 일고 있다. 이인영 전 용인문화원장은 “듣자마자 멜로디가 틀렸다는 것을 단번에 알 수 있었다”며 즉각적인 수정을 요구했다.
이번에 녹음 파일을 제공한 홍 명예교수는 “80년대 지역 인사 박 모 씨가 폐기하려던 녹음 파일을 수집했다”며, 남녀 혼성 합창단이 부른 것으로 추정되는 이 파일이 원곡 복원에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용인 애향가는 6·25 전쟁의 어려움 속에서 용인 시민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준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용인시는 이번 음정 오류 논란을 계기로 용인 애향가의 올바른 전승과 보급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용인 애향가 영상은 유튜브 ‘용인신문 용인TV’에서 들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