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 멕시코에 있을 때, 마리테레라는 친구네 집에서 묵었다. 하루는 아들의 가라테 승급식이 있다고 해서 같이 보러 갔다.
햇볕이 뜨거운 토요일 낮, 가라데 도장에 모였다. 한쪽에 학부모님들이 쭈르륵 앉아있고 아이들은 조금 들뜨고 긴장한 얼굴로 사부님을 바라본다. 다 같이 줄을 맞춰 서서 이제껏 배워왔던 것을 시연한다. 가장 어린 친구들, 낮은 급수부터.
한명 한명의 얼굴을 유심히 보았다. 나이에 상관없이 각자의 캐릭터가 드러난다. ‘저 친구는 개구쟁이가 분명해’ 숨길 수 없는 장난기 어린 미소와 동작들이 선히 보인다. ‘저 친구는 엄청 진중하네. 형님 노릇을 정말 잘할 것 같군.’ 옆에 앉은 동생을 챙기고 있다.
아주 어린 친구들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자 집중하려고 이리저리 몸을 배배 꼰다. 그것도 귀여워서 웃음이 난다. 수련을 조금 오래 한 친구들로 갈수록 집중도가 높아진다.
인상적이었던 순간은 한 아이가 시연하기 전 중앙에 서서 마음을 다잡는 모습을 보았을 때다. 그 친구의 동작도 다른 아이들과 같았지만 다르게 보였다. 나이와 동작의 정확도와는 상관없이 그 순간의 집중도가 멋져 보였다. 시작하기 전 마음을 다잡는 법을 어떻게 알았을까.
그걸 보면서
나는 내가 하고 있는 일들에 있어서
저렇게 집중해서 시작하고 있나?
집중하고 하나로 마음을 모으는 순간이
하루에 몇 번이나 있나? 하는 질문이 생겼다.
그걸 보면서
나는 내가 하고 있는 일들에 있어서
저렇게 집중해서 시작하고 있나?
집중하고 하나로 마음을 모으는 순간이
하루에 몇번이나 있나? 하는 질문이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