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한 무인최첨단시스템
![]() |
||
에버라인은 전국최초 경량전철로 지난 2005년 12월 착공됐으며 민간사업비 4281억원(59%)을 포함해 총 사업비 7278억원이 투입됐다. (주)용인경전철이 30년간 운영한 뒤 용인시에 운영권을 넘긴다.
정식 운행 전 시행되고 있는 시험운행 기간 동안에는 예비차량 3대를 제외한 27대가 동시에 선로에 올려져 2분15초 간격으로 실제 운행상황을 가정해 시운전하고 있다.
‘에버라인’은 구갈동에서 동백지구, 용인행정타운을 거쳐 에버랜드로 이어지는 18.14㎞ 구간에서 고가선로를 따라 운행되며 15개역에서 정차한다.
‘용인 에버라인’은 경량 전철로 1량만 운행되며 41명이 앉을 수 있는 좌석이 갖춰져 있다. 최대 226명이 탑승할 수 있으며 길이는 지하철 1량(19.5m)보다 짧은 17.6m, 폭은 3.2m다.
에버라인의 가장 큰 특징은 기관사 없이 작동되는 완전 무인시스템으로 운행된다는 점이다. 모든 시스템은 차량기지(처인구 삼가동) 내 중앙관제센터에서 제어된다. 차량 1대당 가격은 23억5000만원이며 차량별로 독립적인 운행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또한 첨단 무음경보기는 비상 시 안전을 책임진다. 무음경보기는 내부 스테인레스 의자 위에 설치 된 검정색 띠를 누르면 다음 정거장에서 승무원이 상황에 대처하게 된다.
△역사와 역사 평균 2분 거리
![]() |
||
오는 7월부터 정식으로 운행 되는 에버라인의 배차 간격은 출퇴근 시간대에 2분15초 간격으로 운영 되며 평균 5분 간격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기본 요금은 10km 기준 1400원이며 5km 당 100원이 추가 된다.
시는 수도권 통합 환승제도와 연계해 광역버스와 신분당선 연장(죽전~수원)선과의 원활한 환승을 유도할 계획이다.
△떨림 등 승차감 다소 떨어져
1량의 에버라인의 최고 속도는 시속 80km, 역사와 역사 간의 시간 상 거리는 2분 이내로 승차 시 속도의 변화가 그대로 몸에 전해진다.
특히 운행 시 손잡이를 잡지 않으면 몸이 휘청 거릴 정도로 승차감은 다소 떨어진다.
아파트 밀집 지역에 설치 된 역사 주변에서는 시운전이 시작되자 소음으로 인한 민원도 제기 됐다. 평소 5분 간격으로 운행되는 에버라인의 출발 및 정차 시 소음이 그대로 고층 아파트에 전달되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고진역사에서 에버랜드 구간까지는 급커브로 라인이 뻗어 이 구간에서의 휘청거림은 더 심하다.
이에 용인경전철 관계자는 “소음 및 승차감 등을 보완하기 위해 라인의 굴곡을 다지는 작업을 실시할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