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다수의 시의원들이 의정비로 생활을 하고 있는 만큼 의정비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것.
시의회 측은 앞으로 4년 간의 임기동안 매년 공무원 급여 인상폭 만큼 인상해 줄 것을 시 집행부와 의정비 심의위원회에 요청해 놓은 상태다.
지방의회 의정비 심의는 그동안 매년 위원회를 열어 결정해 왔지만, 올해 초 지방자치법이 개정되며 지방선거가 있는 해에 지방의원 임기인 4년치 인상폭을 결정토록 변경됐다.
하지만 시민들과 시 공직사회의 의견은 분분하다. 7대 시의회 개원 초부터 불거진 각종 ‘잡음’과 아직 회복되지 않은 경제상황 등을 볼 때 시민정서와 맞지 않다는 의견과 ‘시의원’이 사실상 전문 직업군으로 자리 잡은 것을 감안해 현실화 해줘야 한다는 내용이다.
시의회에 따르면 시는 지난 1일 지역 내 각계 인사 10명을 의정비심의위원으로 위촉하고 첫 회의를 열었다.
관계자에 따르면 이날 회의에서는 ‘의정비를 공무원 급여 인상폭 만큼 인상해 달라’는 시의회 측 요청을 확인하는 선에서 마무리 됐다.
하지만 일부 심의위원들은 이 같은 시의회 측 요구에 불편한 심기를 그대로 표출하기도 했다. 시의회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의정비 인상요구는 옳지 않다는 것.
특히 시의회 측이 요구한 ‘공무원 급여 인상폭과 같은 수준의 인상율’은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를 피해가기 위한 꼼수라는 점이 알려지며 일부 심의위원들의 반발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는 후문이다.
시의회 측은 50만 이상 대도시 지방의회 중 용인시의회 의정비가 최하위라는 점과 지난 7년 간 동결해온 점 등을 강조하는 입장이다.
시의회에 따르면 현재 시의원들은 연 3004만원의 월정수당과 1320만원의 의정활동비 등 총 4324만원을 받고 있다.
의정비 심의위원회에서 시의회 측 요구안을 수용할 경우 시의원들은 내년부터 1.7%인상된 월정수당을 받게 된다.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연 50여만 원 수준이다.
의정비 심의위 관계자는 “아직 의정비 인상 등에 대해 결정된 것이 없다. 오는 8일 회의를 열고 최종 결정을 하게 될 것”이라며 “시민들의 정서 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여론조사를 진행하는 방법 등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