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특수학교 건립에 대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김창호 용인시장애인연합회장 |
더욱이 도 교육청 측은 수지지역 내 특수교육 수요가 높은 상황임에도 민원 등을 이유로 처인구 지역에 특수학교 대체부지 선정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장애아동 학부모들의 반발을 더욱 키우고 있는 상황이다.
용인지역 8개 장애인단체로 구성된 용인시장애인단체연합회는 지난 1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도교육청이 지난달 27일 지역주민의 집단 이기주의에 밀려 특수학교설립계획을 보류했다”며 “이는 장애아동의 교육을 받을 권리를 침해한 것으로 어떠한 이유로도 정당화 될 수 없다”고 비난했다.
이들은 “성복동 주민들이 장애인특수학교가 아닌 특목고나 자립형사립고 등의 설립계획이 수립됐더라도 지금처럼 반대했을지 되묻고 싶다”며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편견에 심히 유감스럽다”고 덧붙였다.
장애인단체 연합회에 따르면 용인지역 특수학교 대상자는 1116명으로 이중 13.8%(154명)만이 지역 내 학교에 배치됐다. 이는 경기도내 배치율 19.4%, 전국 평균 29.02%보다 현저하게 낮은 실정이다.
연합회 김창호 회장은 “성복동에서 쫓겨나 다른 곳에 건립예정지를 지정하더라도 또 그 주변에서 민원이 발생할 것”이라며 “이재정 교육감은 선거 당시 ‘장애인 관련 사업과 정책을 지원하는 것이 국가의 우선적 책임’이라고 한 발언에 책임을 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현 성복동 부지에 장애인특수학교를 건립해 달라는 내용의 성명서와 지역 주민 2500여명의 서명부를 도교육청에 전달할 계획이다.
도교육청은 당초 지난 4월부터 수지구 성복동에 있는 초교 부지에 특수학교를 설립하려고 했다. 그러나 부동산 가격 하락 등을 우려한 성복동 일부 주민들이 해당 부지에 공원을 조성해야 한다며 특수학교 설립을 반대하자 지난달 27일 사업 전면 재검토를 선언했다.
이후 도 교육청 측은 수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민원이 적은 처인구 고림동 지역 두 곳을 대체사업 부지로 검토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정치권과 학부모들의 반발 등이 이어지자 다시 수지지역 내 부지를 물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회 관계자는 “현재 용인지역에는 각 구별로 특수학교가 한 곳씩 필요한 상황”이라며 “민원을 이유로 이동이 불편한 아이들을 위한 교육시설을 외진 곳으로 보내려는 발상 자체를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