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시의회는 이번 정례회에서 용인시 도시계획조례 개정안 등 조례안 19건과 행정사무감사 및 2015년 세입·세출예산안 등을 처리했다.
앞서 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위원장 이건영)는 새해예산 중 경전철특별회계 내부거래 전출금 121억여 원을 포함해 총 276억 4800여만 원을 감액, 이중 154억 6500만원을 예비비로 편성했다.
경전철 전출금의 경우 내부거래 세출과 세입을 모두 삭감해 예비비 편성에서 제외됐다.
또 수도사업특별회계와 하수도사업특별회계, 2015년 기금운용 계획안 등은 원안 가결했다.
예결위에서 감액된 예산내역을 살펴보면 행정사무감사 자료제출 거부로 논란이 된 경전철 운영비 121억 여원과 용인시민의 날 축제 8000만원, 시 직장운동경기부 선수 보상금 1억원, 용인테크노밸리 출자금 10억 원, 행정타운진입로 개선 공사비 4억 7500만 원 등이다.
이건영 예결위원장은 “시 재정상황 등을 감안, 축제·행사성 경비 등을 감액했다”고 밝혔다.
확정된 새해 일반회계예산안을 살펴보면 사회복지 분야 지출이 4693억 5500여만원으로 전체 예산의 31.4%를 차지한다.<표 참조>
이어 도로와 대중교통 등 수송 및 교통분야가 27.01%(4071억 여원), 일반행정 6.52%(982억여원), 도시개발 등 국토개발분야 5.66%(852억 여원), 폐기물처리 등 환경보호분야 5.58%(841억여원), 농업 등 농림수산해양 분야 2.38%(358억 여원)가 뒤를이었다.
복지분야 예산은 올해에 비해 11.02% 증가한 수치로, 기초노령연금 등 취약계층 지원사업이 증가한데 따른 것이다.
시는 새해 예산을 편성하며 지난 2012년 경전철 초과지방채를 발행하며 안행부로부터 권고받은 채무관리계획에 따라 50%수준으로 삭감했던 업무추진비와 출장비 등 업무관련 예산을 일부 상향조정했다.
이는 공직자들의 업무 역량을 강화시키겠다는 의도로, 당초 채무관리계획보다 앞선 수준의 부채감축으로 재정 운용에 탄력성이 붙었다는 분석이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와 올해 보수적인 재정운용으로 시 채무 비율이 상당수준 낮아졌다”며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당초 안행부가 제시한 2018년보다 빠른 시기 내에 지방채 부채 제로화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