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사진제공 용인시 |
수원·신갈IC 명칭변경은 지난 1998년 용인시가 한국도로공사에 변경을 요청한 지 16년 만의 결실이다.
지난 16년 동안 시 집행부를 비롯한 지역정치권이 함께 이뤄낸 성과지만, 한국도로공사 사장과 인연이 깊은 이상일 국회의원(새누리·비례·용인을지역위원장)의 ‘화룡점정’이 가장 큰 몫을 했다는 평이다.
경부고속도로 수원IC 명칭이 ‘수원신갈IC’로 2015년 1월1일부터 바뀐다.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경부고속도로 수원IC는 지난 1969년 ‘한국도로공사 수원영업소’라는 명칭으로 문을 열었다.
당시부터 용인지명과 불합치하는 문제로 용인지역 주민들의 민원이 제기됐지만, 국책사업으로 진행된 탓에 명칭변경 요구조차 제대로 할 수 없었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 지방자치시대가 열리며 시 집행부와 지역 정치권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지난 1998년 12월, 시는 경부고속도로 개통이후 처음으로 한국 도로공사 측에 ‘수원IC 명칭을 신갈IC로 변경해 달라’고 신청했다. 그러나 당시 도로공사 측은 “30년간 수원IC 명칭으로 운영되어 변경이 불가하다”고 회신했다.
이후에도 시 측은 이듬해인 1999년 1월부터 최근까지 총10여 차례에 거쳐 명칭변경을 요구했지만 반영되지 않았다. 지난 2012년 총선 이후 김민기 국회의원(새정치·용인을)과 이우현(새누리·용인갑)도 명칭변경 요구에 가세했지만, 도로공사 측은 민원과 교통량 등을 이유로 내세웠다.
도로공사 측은 “수원시 이용자가 더 많아 변경이 불가하다. 수원IC는 30년간 사용한 고유 명사이기 때문에 변경할 수 없다. 명칭 변경시 이용객혼란 및 상대 민원 발생이 우려된다” 등의 이유를 들어 매번 거절했다.
그러나 지난 8월부터 도로공사 측 입장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이상일 국회의원이 도로공사 측에 “수원IC 이용차량의 용인과 수원방향 진행현황”을 요구하자 도로공사 측이 “출·입 차량의 진행방향은 파악이 불가능하다”고 답변한 것.
즉, 그동안 도로공사 측이 내세워 온 ‘명칭변경 불가’의 이유가 객관적이지 않았다는 반증인 셈이다.
이후 이 의원은 도로공사 김학송 사장 등에게 직접 서한을 전달했고, 결국 도로공사로부터 명칭변경 결정을 이끌어 냈다. 이 의원은 관련 서한에서 “수원IC 명칭의 지역 불합치와 당초 수원IC 명칭 사용에 대한 도로공사의 해명 부재, 용인지역 내 관광객 유입” 등을 명칭변경 명분으로 내세웠고, 김 사장이 이를 받아들였다.
한국도로공사는 지난 10일 ‘시설물명칭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수원IC 명칭을 ‘수원신갈IC’로 변경키로 결정했다고 공식 통보했다.
시는 도로공사와 협의 후 명칭 변경에 따른 도로표지판과 IC출입구 안내표지판 등 도로시설물 교체작업을 조만간 마무리 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