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100만 도시 포석… 조직 불리기 ‘잰걸음’

  • 등록 2015.04.17 14:42:41
크게보기

16개팀 신설·공직자 136명 충원 골자 개정안 시의회 상정

   
용인시가 공직자 136명을 증원하는 것을 골자로 한 조직개편을 추진한다. 100만 대도시 입성을 눈앞에 두고, 지난 2012년 용인경전철 국제중재 패소로 5500억 여원 규모의 지방채를 발행하며 사실상 중단됐던 행정조직을 보강하는 것.

시는 지난 10일 100만 대도시 행정서비스 강화를 위해 공무원 16개 팀을 신설하고 공직자 136명을 충원하는 것을 골자로 한 ‘용인시 행정기구 및 정원조례 개정안’을 오는 24일부터 열리는 용인시의회 198회 임시회에 상정한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이번 인력증원은 100만 대도시 입성을 앞두고 행정환경 변화 및 행정수요 증가에 따른 조직시스템 구축이 목적이다.

그동안 시는 경전철 지방채발행에 따른 정부의 채무관리계획과 재정난에 따른 고통분담 여론 등으로 조직 충원을 최소규모로 맞춰왔다. 예산 및 도시규모에 따른 총액인건비제에 따라 매년 50명 ~ 90명까지 증원이 가능했지만, 시의회 반대여론 등에 따라 이를 반영하지 못한 것.

실제 시는 채무관리계획이 적용된 지난 2013년의 경우 44명, 2014년 9명을 충원했다. 이 기간동안 총액인건비제에 따라 증원 가능했던 인원은 각각 96명과 80명이었다.

뿐만 아니라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등의 이유로 260여명의 공직자가 별도정원으로 분류돼 있어 공직자들의 업무양이 과도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번 공직인력 충원 역시 채무관리계획이 사실상 올해로 마감되며 200여명의 증원이 가능하지만 시 재정여건 등을 감안해 최소규모로 맞췄다는 설명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공무원 1인당 담당하는 주민 수가 442명으로 전국 최고 수준인 것은 물론, 최근 3년 간 본청 25개과 공직자들의 초과근무수당 지출금액만 총 45억여원에 달한다.

예산 및 도시규모가 비슷한 수원시와 성남시, 부천시 등의 공무원 1인당 주민 수가 각각 420명과 384명, 380명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시민들의 행정서비스 만족도가 이들 지자체에 비해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다.<표참조>

무엇보다 도·농 복합도시인 지역 특성상 수원시와 성남시보다 많은 수의 공직인력 충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시는 일단 본청에 5팀, 사업소 3팀을 늘리고 증원된 136명의 인력은 △지방소득세의 독립세 전환 △지적재조사 국책사업 △상현도서관 개관 △기초생활보장제도의 맞춤형 급여체계 개편 △읍·면·동 현장 복지서비스 △산림·농업·축산·하천 분야 등에 집중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용인은 도·농 복합도시로 타 대도시에 비해 개발수요와 산림·농업·축산분야 행정수요가 높은 지역이고, 신규 행정수요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며 “이번에 인력이 증원되면 100만 도시에 맞는 행정체계 구축과 함께 시민들에게 질 높은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강우 기자 기자 hso0910@hanmail.net
Copyright @2009 용인신문사 Corp.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용인신문ⓒ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지삼로 590번길(CMC빌딩 307호)
사업자등록번호 : 135-81-21348 | 등록일자 : 1992년 12월 3일
발행인/편집인 : 김종경 | 대표전화 : 031-336-3133 | 팩스 : 031-336-3132
등록번호:경기,아51360 | 등록연월일:2016년 2월 12일 | 제호:용인신문
청소년보호책임자:박기현 | ISSN : 2636-0152
Copyright ⓒ 2009 용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mail to yonginnews@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