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특히 상갈동과 인구수가 비슷한 상현1동은 분동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확인돼 형평성에 맞지 않다는 지적이다.
시 측은 주민들의 행정서비스 향상 등을 위해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상갈동 분동을 추진하며 당초 분동 대상에서 제외됐던 죽전1동의 분동도 추진하고 있어 석연치 않다는 여론이다.
지역정가는 내년도 총선을 앞두고 정치적 계산이 깔려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시에 따르면 시 행정과는 기흥구 동백1동과 상갈동, 수지구 죽전1동의 행정구역 개편을 위한 주민의견을 수렴 중이다. 이들 지역은 행정구역 내 인구수가 최소 4만 명을 넘어, 주민들의 행정서비스 충족 및 100만 대도시 행정체제 구축 등을 위해 ‘분동’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시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현재 이들 지역 인구는 동백동 7만 6513명, 상갈동 4만 7125명, 죽전1동 6만 47명 수준이다.
시 관계자는 “동백동과 죽전1동의 경우 인구수가 최소 행정구역인 동 주민센터에서 담당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 수년 전부터 분동을 검토해 왔다”고 말했다.
동백동의 경우 주민의견을 수렴해 동백1·2동 또는 동백동과 중동으로 분리하고, 죽전1동은 주민의견에 따라 동 지명을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문제는 상갈동이다. 시 측은 상갈동 분동을 위해 현재 영덕동에 포함돼 있는 하갈동을 상갈동 관할지역에 포함시키고, 지곡동과 보라동을 합쳐 보라동 주민센터로 분리한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상갈동의 경우 인구가 밀접 된 보라동 지역의 행정서비스 관련 민원 등으로 분동을 검토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사실상 동 주민센터를 건설하기 위한 분동이라는 설명이다.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최소행정구역 개편은 지방자치단체권한이지만, 통상적으로 5만 명이 넘을 경우 과밀인구에 따른 행정업무의 차질 및 정책적 방향, 주민의견 등을 고려해 추진한다.
더욱이 정부가 지방행정 효율화를 위해 기초 행정단위인 동을 2~3개로 묶는 대동제를 추진 중인 상황에서 이 같은 분동 추진은 쉽게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당초 시 측은 동백동을 제외한 다른 지역의 행정구역 개편을 계획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죽전1동의 경우 인구수가 6만여 명을 넘었지만, 지역 면적이 좁아 분동 필요성이 없다고 판단했던 것.
그러나 최근 상갈동 분동이 추진되자, 어쩔 수 없이 죽전1동의 분동도 진행한 셈이다.
지역 정치권은 상갈동 분동에 대해 내년도 총선을 앞두고 보라동지역 민심을 염두에 둔 정치적 행정이라는 목소리다. 박남숙 시의원은 “인구 4만 7000여명의 상현1동은 제쳐두고 굳이 무리수를 두며 상갈동을 분동하려는 저의가 의심스럽다”며 “야당세가 강한 지역에 대한 여당 시장의 선심행정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