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용인신문] 김종경 칼럼
지역신문과 미디어 생태계의 파괴

 

[용인신문] 매스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유통시장은 정보화 지식사회를 가늠할 바로미터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인터넷 혁명이후 유투브를 비롯, SNS 1인 미디어가 활성화되면서 미디어 생태계가 완전히 파괴됐다. 바야흐로 올드 미디어가 뉴미디어 시대에 떠밀리는 형국이다. 기자가 저널리즘을 전공하던 2000년대 초만 해도 언론사가 지금처럼 많지 않았다. 용인신문이 창간된 1992년 용인시청(당시 군청)을 출입하던 경인지역 일간지와 주간지 기자는 불과 15명 전후였다. 하지만 2020년 현재 용인시에 출입통보를 한 기자는 무려 380여명이다. 90년대 초반, 용인 인구가 20만 명 전후였으니 인구증가율(현재 108만명)은 5~6배인 반면 기자들은 무려 20~30배 이상 늘어난 셈이다. 언론환경이 갈수록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보면 기형적 증가임에 틀림없다.

 

문제는 양적인 팽창만큼 저널리즘의 역할을 올곧게 수행하는 기자들이 많아졌느냐는 것이다. 한국 언론은 1987년 6·10항쟁과 1988년 서울올림픽을 계기로 1도1사 폐지 등 언론자유화가 시작됐다. 특히 지역언론은 1990년대 초중반 지방자치제의 완전한 부활로 전국에서 창간되기 시작했다. 그 후 30여년이 지났으니 어느 정도 과도기는 넘었다고 볼 수 있다. 문제는 대중들이 바라보는 언론평가 점수다. 심지어 기레기라는 미디어 신조어까지 만들어질 정도로 올드미디어들이 언론의 소명을 다하지 못해왔다.

 

게다가 뉴미디어로 우후죽순 생겨난 인터넷 언론사들이 함량 미달의 저널리스트를 양산해 내면서 심각한 사회문제까지 야기 시키고 있다. 물론 기존 미디어 못지않게 전문 분야나 탐사보도 등을 통해 저널리즘의 소명을 다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아무리 1인 미디어가 용인되는 시대라 해도 저널리즘의 본령조차 모르거나 망각한 자들이 시민과 국민의 알권리를 내세워 전형적인 기레기 활동을 하고 있다면 우리사회는 또 다른 적폐를 용인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얼마 전 용인시에서는 언론조례까지 만들어 광고집행 기준안을 각 언론사에 통보해 왔다. 일반 신문사의 수익은 구독료와 광고가 주를 이룬다. 대신 인터넷신문들은 구독료가 없으니 대부분 광고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그러다보니 시 입장에서는 증가한 언론사 수만큼 광고요구는 점점 늘어나고, 결국 한정된 예산에서 나름 공정하게 집행하겠다는 고육지책을 낸 것이다.

 

속내를 더 들여다보면 언론사간 경쟁도 심각하지만, 더 심각한 것은 끊임없이 광고 압박을 받는 시와 언론사간의 갈등과 싸움이 장기화되고 있다.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가 지역발전의 순기능보다는 오히려 역기능이 크다는 어느 공직자의 볼멘소리에 자괴감마저 든다. 분명한 것은 미디어 권력이라는 칼도 잘 쓰면 유용한 도구지만 잘 못쓰면 범죄를 유발하는 흉기가 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