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뉴스

용인, 도시브랜드 전국 13위… 난개발 재조명 가치↓

수원 성남 등 인근지역 대비 재산가치 ‘낮아’

[용인신문] 지난 9월 13일 수원시와 경계조정 협의 시행으로 수원시 소속이 된 영덕역 센트레빌 아파트.

 

이 아파트는 용인시와 수원시 간 불합리한 경계로 인해 초등학생들이 246m 거리에 있는 수원 황곡초등학교를 두고, 왕복 8차선 도로를 건너 1.19㎞ 떨어진 용인 흥덕초등학교에 다니면서 논란이 됐다.

 

때문에 주민들은 지난 2012년부터 학생들의 통학안전 등을 이유로 수원시 편입을 요구했고, 7년 여의 시간 끝에 학생들이 황곡초를 다닐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수원시민이 된 주민들에게 놀라운 일은 이 뿐만이 아니었다. 학생들의 근거리 배정과 수원시 편입 등으로 일부 주택가격이 오를것으로 전망했지만, 예상을 훌쩍 뛰어넘은 수준의 재산가치가 형성된 것.

 

영통지역 공인중개사업계에 따르면 이 아파트 시세는 11월 현재 당초보다 약 8000여 만원 상승했다. 업계 관계자는 “실거래가 아닌 호가인 상태지만, 수원시 편입 전에 비해 약 6000만원 ~8000만원 상당 오른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용인시의 도시브랜드 가치가 수도권 지역 내 인구 100만 이상 도시 중 최하위 인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경남 창원시는 물론, 인구 98만 여명의 성남시와 충북 청주시보다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가 지난 10월부터 한 달간 진행한 대한민국 도시브랜드 평판조사 결과 서울시가 1위, 부산시가 2위, 세종시가 3위로 조사됐다.

 

용인시는 수원(7위), 고양(8위), 성남(9위), 청주(10위), 창원(11위), 대전(12위)에 이어 13위를 기록했다.

 

도시브랜드 평판조사는 브랜드 빅데이터 8억 1761만 4000여개를 분석해 소비자들의 브랜드 습관과 평판을 분석해 수치화 한 기록이다.

 

각 도시들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어,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분석해 평가한 것.

 

핵심은 각 지자체의 도시브랜드 가치가 주민들의 재산권과도 직결되고 있다는 부분이다.

 

실제 수원과 성남시의 경우 용인시와 인접해 있지만, 경계지역 아파트 등 부동산 가치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사실상 비슷한 생활권인 성남 분당구 무지개마을과 용인 수지구 죽전동 새터마을의 경우 7000여 만원의 차이를 보이고 있고, 광교신도시 내 상현동 지역과 수원 영통구 하동 지역 아파트 가격 역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각 단지별로 학군과 아파트 브랜드 등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용인과 수원, 용인과 성남이라는 인식차이가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시장에서 형성되는 부동산 가격은 사실상 사람들이 인식하는 용인과 수원, 성남시 등에 대한 평가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용인시에 도시브랜드 향상을 위한 이렇다 할 로드맵이 없다는 점이다. 특히 민선 7기 들어 난개발 논란을 재점화 하면서 ‘용인시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도 ‘난개발 도시’로 각인됐다는 지적이다.

 

실제, 양평군과 광주시 등 다른지자체에서 진행되는 ‘난개발’ 논란에도 용인시 사례가 부각되고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김범수 용인발전연구소장은 “평생을 거쳐 마련한 내 집 가격이 도시가 다르다는 이유로 평가절하 되는 것은 시민 입장에서 매우 억울할 수 있는 사안”이라며 “도시브랜드 가치를 향상시켜 시민들의 재산권을 높이려 노력하는 것도 지자체의 역할 중 하나”라고 말했다.

 

시 도시정책실 관계자는 “친환경 도시로의 발돋움을 위해 과거 ‘난개발 사례’를 재조명 하면서 일시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는 있다고 판단한다”면서도 “앞으로 탈 난개발을 통해 오히려 용인시 도시브랜드 가치 상승 효과가 더 높게 나올 수 있도록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