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4 (화)

  • 맑음동두천 15.0℃
  • 맑음강릉 23.0℃
  • 맑음서울 17.4℃
  • 맑음대전 17.8℃
  • 맑음대구 20.1℃
  • 맑음울산 15.8℃
  • 맑음광주 18.1℃
  • 맑음부산 17.7℃
  • 맑음고창 13.2℃
  • 맑음제주 17.3℃
  • 맑음강화 13.9℃
  • 맑음보은 14.8℃
  • 맑음금산 15.3℃
  • 맑음강진군 14.6℃
  • 맑음경주시 17.7℃
  • 맑음거제 17.9℃
기상청 제공

[용인신문] 김종경 칼럼
‘신 마을공동체’ 와 지자체의 역할

‘신 마을공동체’ 와 지자체의 역할

현대와 과거에 있어 가장 판이한 현상 중 하나는 마을공동체 붕괴다. 그러나 서울시를 비롯한 일부 지자체들이 신 마을공동체 사업을 추진, 지원하고 있지만 요원해 보인다. 물리적으로 신 마을공동체를 프로젝트로 만들 수는 있겠지만 절대 쉽지 않은 것임을 잘 알기 때문이다.

이기적 문명의 산물인 도시화 현상은 자연스럽게 탈 공동체 현상을 부추겨 왔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산업화 물결에 휩쓸려 도시로 몰려갔던 사람들이 은퇴 후엔 귀농을 하거나 인생의 터닝 포인트를 농촌지역에서 찾고 있다는 것. 혹시라도 마을공동체 삶을 그리워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21세기는 자고로 유목의 시대다. 산업화 과정에서 현대인들은 대부분 유목의 삶을 살고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반드시 정착의 본능이 있을 것이다. 어쩌면 무리를 지어 사는 원시의 본능이 잠재되어 있다가 불현듯 깨어나고 있는 것은 아닐 런지.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들이 가장 빨리 삶의 터전을 옮긴 것은 전쟁 기간을 뺀 최근 20~30년간이다. 서울인구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수도권 인구분산 정책이 만들어졌고, 주택보급 정책과도 맞물려왔다. 그것도 모자라 현재까지 행정수도 이전 사업을 진행 중이다.

작금의 시대는 자의반 타의반 한곳에 오랫동안 머물러 살긴 어렵다. 결국 새로운 공간에 새로운 사람들이 모여 살면서 그때마다 신 마을공동체를 만나게 된다. 이미 개인주의가 팽배한 사회분위기를 경험했고, 굳이 사람들과 어울려 산다는 것 자체를 원치 않음을 서로가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마을공동체가 형성되지 않으면, 소셜 포지션에 따른 끼리끼리 문화가 생기기 마련이다. 심지어 아파트 평수에 따라 학군이 바뀐다. 남의 이야기가 아닌 우리 모두의 이야기다.

중요한 것은 이런 상황 속에서도 잦은 주거이동과 신 마을공동체 문화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사회적으로 드러난 사회복지정책도 중요하지만, 근본적인 삶의 환경은 바로 마을공동체, 즉 가정이라는 기본 단위와도 일맥상통한다. 그만큼 개발도시의 위태로운 신 마을공동체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행정력이 뒷받침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용인시를 보노라면 농촌이나 도시나 우후죽순 신 마을공동체가 생겨나고 있다. 용인 600년을 자랑하고 있지만, 최근 10년 전후 외부 유입인구가 70~80%쯤 늘어났다. 바꿔 말해 정주의식을 기대하긴 어렵다는 말이다.

1990년대 초. 그때 만 해도 아파트는 부동산 투기의 대상이자 상징이 됐고, 그 경제적 영향은 지금까지도 크다. 요즘은 아파트단지를 비롯한 전원주택단지가 일 년에도 몇 개씩 생겨나고 있다. 바꿔 말해 신 마을공동체가 생겨나고 있는 것이다. 옛날에는 수십 년, 수백 년 간 자손대대로 씨족 사회가 중심이 된 마을공동체와 경제활동 존이 유지됐지만, 지금은 불과 3년 이내면 만들어진다.

신 마을공동체는 결속력 내지 정주의식이 부족하다. 때론 노골적으로 신분상승을 노리는 강남스타일도 많다. 우리는 신 마을공동체를 통해 옛 마을 정서를 복원시켜야 한다. 방법은 딱 한 가지, 지자체가 신 마을공동체 운영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것. 더불어 지역 내 전문가 집단의 인력풀을 만들어야 한다. 그들을 지역사회 일원으로 끌어내는 것이야말로 용인 도시브랜드 가치를 가장 빨리 상승시키는 방법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