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8 (토)

  • 맑음동두천 15.5℃
  • 맑음강릉 22.6℃
  • 구름조금서울 16.3℃
  • 맑음대전 14.4℃
  • 맑음대구 14.8℃
  • 맑음울산 17.7℃
  • 맑음광주 15.6℃
  • 맑음부산 17.6℃
  • 맑음고창 ℃
  • 맑음제주 17.2℃
  • 맑음강화 16.8℃
  • 맑음보은 11.5℃
  • 맑음금산 11.1℃
  • 맑음강진군 14.2℃
  • 맑음경주시 12.4℃
  • 맑음거제 16.1℃
기상청 제공

뒷 배경이 없는 강화도령 조선의 25대 임금 철종은 정말 일자 무식이었나

오룡의 역사 타파(49)

사람팔자 시간문제라더니 조선의 25대 철종이 그러하다. 왕족이었지만 역적의 후손으로 태어나 유배지를 전전한 그에게 붙은‘강화도령’이란 별칭부터 친근한 왕이다. 1849년 6월 헌종이 아들을 남기지 못하고 죽자 왕으로 옹립된 철종에 대한 기록은 많이 남아있지 않다. 수렴청정을 하던 대비 순원왕후의 지시에 따라 천주교 신자로 사사된 철종의 할아버지 은언군과 강화도에서 빈농으로 살다가 죽은 아버지의 기록이 세초(洗草)되었기 때문이다.

역사의 기록이 빠져있을 때 추론을 더해가다 보면 어느 순간 사실이 완성되는 순간이 있다. 헌종이 승하한 이틀 뒤인 6월7일 영의정 정원용은 철종을 모시러 강화도로 떠났다. 그가 70여년간 쓴 「경산일록」엔 실록에 없는 그날의 이야기가 생생하게 그려져 있다.

“갑곳진에 이르렀다. 배에서 내리니 강화유수 조형복이 기다리고 있었다.(나는 왕의) 생김새도 연세도 몰랐다…내가 말했다. 이름자를 이어 부르지 마시고 글자 한 자 한 자를 풀어서 말하십시오. 관을 쓴 사람이 한사람을 가리키며 말했다. 이름은 모(某)자, 모(某)자이고 나이는 열아홉입니다…(대왕대비의) 전교에 있는 이름자 였다.”

14살부터 5년동안 아버지도 없이 형과 함께 가난하게 살아가던 이원범은 어안이 벙벙하지 않았을까. 정치범·사상범으로 고통을 당했던 가족들을 보고 자란 그에게 들이닥친 관원들을 보고 도망갔다는 이야기가 남아있는 것은 어쩌면 사실일지도 모른다. 일자무식이고 농사를 짓고 나무를 해서 먹고 살았다고 알려진 철종의 강화 생활은 권력을 잡고있던 한양 세도가들이 일부러 소문을 냈을지도 모른다.

철종은 1831년 서울에서 태어난 엄연한 왕족이었다. 벼슬길에 나갈 수 없는 처지였으니 공부에 매진하진 않았을 것이다. 왕이 된 후에 사가(私家)에 있을 때의 교육에 대해 묻는 질문에 소학까지 배웠다고 말한바 있으니 글을 몰랐던 것은 아닌듯하다. 철종이 글을 몰랐던, 땔나무를 하러 산에 갔던 것보다 중요한 사실은 강화도령은 이웃집 총각처럼 친근한 이미지로 역사에 남겨졌다는 것이다.

“내가 강화부에 어찌 특혜를 입히는 일을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돈과 곡식과 묵은 세금 빚 가운데 징수할 수 없는 것은 모두 없애주고, 다른 물건으로 대체하는 방법을 강화유수로 하여금 조정과 상의하여 그 장점을 따라 조치하도록 하라”는 강화도령의 강화에 대한 애정은 실록에도 나타난다.

실록에는 동네의 무뢰배가 술에 취해 원범에게 말을 함부로 했던 것이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도 그 무뢰배가 어떻게 되었는지는 설명하지 않았다. 강화도령 원범은 처벌하지 않았을 것이다. 14살이 되도록 한양에서 살았던 그가 농사를 제대로 할 줄 알았을까, 나무 역시 한 적이 없었을 것이다. 사고무친 천애 고아였던 그가 5년동안 강화에서 살아갈 수 있었던 이유가 강화 백성들의 도움을 받았기 때문이라면 지나친 상상력일까?

강화도령 이원범이 옹색하게 살았던 초가삼간은 사라지고, 지금 강화에는 기와집으로 지어져있는 용흥궁이 철종의 생가로 표시되어 있다. 세도정치의 정점에서 무능한 왕으로 묘사되는 철종이지만, 강화에서 만큼은 아닌듯 하다.

오룡 (오룡 인문학 연구소 원장, 경기도립 중앙도서관 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