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20 (월)

  • 흐림동두천 16.5℃
  • 구름조금강릉 13.6℃
  • 구름많음서울 17.9℃
  • 맑음대전 14.4℃
  • 맑음대구 16.0℃
  • 맑음울산 15.5℃
  • 구름많음광주 16.0℃
  • 박무부산 17.6℃
  • 구름많음고창 ℃
  • 구름많음제주 18.6℃
  • 구름많음강화 16.7℃
  • 맑음보은 13.3℃
  • 맑음금산 10.6℃
  • 구름많음강진군 13.2℃
  • 맑음경주시 13.1℃
  • 맑음거제 15.1℃
기상청 제공

우농(愚農)의 세설(細說)

무공천 철회는 패장 선언문?

우농의 세설

태갑 편에 왈. ‘하늘이 내린 재앙은 피할 수 있지만, 스스로 만든 재앙은 피할 수 없다.’ 서경에 나오는 말을 맹자가 써먹는다. (太甲曰 天作孼 猶可違 自作孼 不可活 此之謂也 태갑왈 천작얼 유가위 자작얼 불가활 차지위야)

공자는 인간의 내면적 규범을 인(仁)이라 하고, 외면적 규범을 예(禮)라 했다. 속으로 사랑은 하되 겉으로는 예를 지키라는 말이다. 그러므로 세상이 혼란스러워지는 원인이 인간의 윤리 도덕이 타락이므로 내면적 규범인 인(仁)의 회복이 절실하다고 한다.

이를 맹자는 “내면적 규범인 인(仁)이란 것이 본래부터 인간의 마음에 있던 것”이라고 주장을 한다. 성선설(性善說)이 그것이다. 여기에 시비를 건 게 순자다. 순자(荀子)는 인간의 본성은 악하니 모든 기를 다스리고, 마음을 기르는 방법은 예를 따르는 것보다 더 나은 길은 없고, 스승을 얻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으며, 좋아하는 것을 한 결 같이 하는 것보다 더 신통한 것은 없다(養心 凡治氣養心之術 莫經由禮 莫要得師 莫神一好 양심 범치기양심지술 막경유예 막요득사 막신일호)며 외면적 규범인 예(禮)를 통해 내면적 규범인 인(仁)을 정립시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성악설(性惡說)이 그것이다. 이렇게 볼 때 고전은 인생에 답을 주는 게 아니라 질문을 준다. 그래서 고전을 읽을 때 무엇이 적혀 있는가에서 머물면 위험하다. 무엇을 말하는가를 읽어내야 한다. 즉 고전은 해석이 아니라 새김이란 말이다.

그러면 답은 누가 주는가. 그게 정치인의 몫이다. 답을 줄 수 없다면 간단하다. 정치판을 떠나라. 능력도 안 되는 것이 꿰차고 앉아서 국민 죽이지 말고. 정치인은 문제점을 까발려서 국민을 선동하는 게 아니다. 그건 예술가나 문학가만으로도 충분하다.

공자를 일러 실패한 우파의 정치인이라 한다. 그의 실패담을 모아놓은 글이 우파의 경전이라는 논어다. 아는 자는 좋아하는 자만 못하고, 좋아하는 자는 즐기는 자만 못하다(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라는 명문이 있다. 기존 해석과 달리 새김은 이렇다. 국민을 아는 자는 국민이 바라고 좋아하는 것을 하고 국민이 바라는 것을 할 수 있는 자만이 국민을 즐겁게 할 수 있는 것이다.

6.4지방선거를 앞두고 새정치 안철수 공동대표가 보여준 공천후퇴 발언은 6.4지방선거에서 졌음을 인정하는 패장 선언문임에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