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9 (일)

  • 맑음동두천 26.7℃
  • 맑음강릉 20.5℃
  • 맑음서울 27.4℃
  • 맑음대전 28.9℃
  • 맑음대구 31.3℃
  • 맑음울산 24.0℃
  • 맑음광주 29.3℃
  • 맑음부산 24.7℃
  • 맑음고창 ℃
  • 맑음제주 22.0℃
  • 맑음강화 22.8℃
  • 맑음보은 27.5℃
  • 맑음금산 27.8℃
  • 맑음강진군 29.4℃
  • 맑음경주시 29.5℃
  • 맑음거제 27.3℃
기상청 제공

이 시대의 대기업주들이여 아직 멀었다 - 김만덕 에게서 배우라

오룡의 역사 타파(61)

오룡의 역사 타파(61)

이 시대의 대기업주들이여 아직 멀었다 - 김만덕 에게서 배우라


김만덕은 1739년 제주에서 양인 신분으로 태어났다. 어려서 고아가 된 후 기녀에게 의지하여 살았기에 기적에 이름이 올라 관기가 되었다. 20세가 지나 관아에 억울함을 호소하여 양민 신분을 회복했지만 만덕은 결혼하지 않고 경제적 자립을 택했다. 상업에 종사하여 거상이 되었다.

당시로는 여성의 직업이라 생각조차 못했던 객주에 도전할 생각을 했다는 발상은 시대를 앞서서 성차별을 극복한 것이다. 그 성공 과정에서 만덕은 아마 기존 제주의 상권을 장악한 객주, 상인들과 경쟁하느라 고생했을 것이다. 만덕은 늘 검소하게 살았다. 만덕은 정정 당당하게 장사했다.

그녀가 50대 중반이던 1792년부터 제주에 흉년이 들어 수천 명의 사람이 굶어 죽었다. 흉년이 계속되자 1795년, 조정에서 구호미를 보냈지만 바다를 건너오는 도중 수송 선박이 침몰했다. 이 소식을 들은 만덕은 전 재산을 털어 육지의 곡식을 500여석 사들여 십분의 일은 자신의 친족을 살리고, 나머지 450여석은 구호 식량으로 쓰라고 관아로 모두 보냈다.

이듬해 정조가 제주 목사에게 김만덕의 소원을 물어보라는 명을 내리자, 만덕은 한양과 금강산에 가 보고 싶다고 답한다. 제주도 여자가 섬을 떠나 육지에 오르는 것이 법으로 금지된 시절에 당당히 소원을 말하는 그녀에게 정조는 내의원 의녀반수 벼슬을 내린다(평민은 임금을 알현할 수 없었음). 정조는 제주도에서 한양으로,금강산으로 통하는 길목의 모든 수령들에게 만덕을 위해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하라고 명했다.

특권 상인인 시전 상인이 갖고 있던 금난전권을 폐지한 정조의 신해통공 정책이 제주도 김만덕에게 기회가 된 것은 아니었을까. 부의 독점을 경계하는 엄정한 정조의 마음이 없었더라면, 자유롭게 장사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어 주지 않았더라면….

정조가 전격적으로 시행한 금난전권 폐지를 21세기의 대한민국에선 경제민주화 공약 실천으로 옮기면 어떨까. 경제민주화를 제대로 이행만 하면 자연스럽게 부자증세가 이뤄지고 국민복지 재원 마련도 한결 쉬워질 것이다. 자본주의 사회인 대한민국에서 자발적 김만덕을 기대하기 어렵다면 정부는 제도적 경제민주화와 복지의 개념을 정착 시켜야 한다.
‘당신의 손길이 필요합니다. 한 통화에 2000원!' 이런 프로그램들부터 방송에서 폐지하라.


만덕은 평생 혼인하지 않고 홀로 살았으며, 죽기 직전에 가난한 이들에게 남은 재산을 고루 나눠주고 양아들에게는 살아갈 정도의 적은 재산만을 남겼다.

자신이 평생 모은 전부를 내놓은 김만덕을 당대의 사대부들이 칭송했다. 영의정 채제공, 다산 정약용, 추사 김정희는 만덕의 업적을 기리는 글을 남겼으며, 형조판서를 지냈던 이가환은 다음과 같은 시를 남겼다.

만덕은 제주도의 기이한 여인 나이는 60인데 얼굴은 마치 마흔 살쯤 천금을 던져 쌀을 사다 굶주린 백성을 구했네 한 바다를 건너 임금님을 뵈었네 다만 한 번은 금강산 보기를 원했는데 금강산은 동북쪽 멀리 안갯속에 싸여 있네 임금께서 고개를 끄덕이시며 날랜 역마를 내려주시니 천 리를 번쩍하고 강원도로 옮겨 갔네 높이 올라 멀리 조망하며 눈과 마음 확 트이게 하더니 표연히 손을 흔들며 바닷가 외진 곳으로 돌아갔네 탐라는 아득한 옛날 고씨 부씨 양씨로부터 비롯되었는데 한양을 구경한 여자는 만덕이 처음이었네 우렛소리 요란하게 와서는 백조처럼 홀연히 떠나고 높은 기상을 길이 남겨 세상을 씻어줬네 인생에 이름을 남기려면 이렇게 해야지 진나라 과부 청(淸)하고 어찌 비교할 수 있겠나

오룡 (오룡 인문학 연구소 원장, 경기도립 중앙도서관 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