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9 (일)

  • 맑음동두천 27.4℃
  • 맑음강릉 20.4℃
  • 맑음서울 27.6℃
  • 맑음대전 28.8℃
  • 맑음대구 30.8℃
  • 맑음울산 24.2℃
  • 맑음광주 29.2℃
  • 맑음부산 23.4℃
  • 맑음고창 ℃
  • 맑음제주 22.4℃
  • 맑음강화 23.2℃
  • 맑음보은 28.3℃
  • 맑음금산 28.0℃
  • 맑음강진군 29.2℃
  • 맑음경주시 30.9℃
  • 맑음거제 28.2℃
기상청 제공

오룡의 역사 타파(111)

오룡의 역사 타파(111)

 

썩어빠진 어제와 결별하자-경찰이 지켜줘야 하는 동상은 세우지 말아야 한다.

 

1956815일 남산에 이승만 동상이 세워졌다. 동상은 이승만의 80회 생일(1955326)을 맞아 구성된 이승만 대통령 80회 탄신 축하위원회주관으로 세운 것이다. 동상이 세워진 자리는 일제 침탈기에 조선 신궁 본전이 있던 남산 중턱으로, 서울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위치였다. 동상의 높이는 본체 7m, 기단부를 합치면 25m였다. ‘세계 굴지의 동상은...’, ‘세계 최대의 동상이라는 언론의 보도대로 당시로선 세계 최대 규모였다.

 

동상 준공식은 제3대 대통령 취임식 당일인 1956815일 거행됐다. 제막식에 참석한 국회의장 이기붕은 자주독립의 권화이며 반공의 상징인 이 대통령 동상 앞에서 우리는 옷깃을 여미고 그 뜻을 받들기를 맹세하자고 말했다. 하지만 동상은 4년 만에 쓰러졌다.

 

1960411, 최루탄에 맞아 죽은 김주열의 시신이 마산 앞바다에 떠올랐다. 3·15부정선거를 규탄하는 시위는 418일 고대생 피습 사건으로 확대됐다. 시위를 마치고 학교로 돌아가던 고려대생 3000여 명이 깡패들에게 무차별 폭행을 당한 것이다. 419일 수천 명의 학생, 시민이 경무대 앞까지 진출하여 이승만은 물러가라고 외치며 연좌시위를 하자, 오후 1시에 서울 일원에 경비 계엄령이 선포되었고, 오후 4시에는 부산·대구·광주 등 4개 도시로 계엄령이 확대된다. 오후 5시에는 비상계엄으로 바뀌면서, 경찰들의 발포로 183명의 사망자와 6259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426, 이승만의 하야 성명은 국민이 원한다면 대통령직을 사임하겠다라는 전제 조건이 붙었다. 이승만은 국민이 원하면 하야를 하겠다고 밝혔지만, 국회가 즉시 하야를 결정하자 마음이 변한다. 427, 사임서 초안을 내밀자 이승만은 자신이 사임하면 국정 혼란이 일어날 것이다라며 서명을 거부했다. 허정 외무부 장관과 김정열 국방부 장관이 질서유지를 장담하며 사퇴를 설득해서야 이승만은 대통령직 사임서를 국회에 제출하고 429일 경무대를 떠났다.

 

탑골공원에 있던 이승만 동상은 하야 발표 당일(426) 분노한 시민들이 철거했다. 반면 남산 동상은 그해 8월 말에야 철거됐는데 이는 순전히 큰 덩치 때문이었다. 당시 쌀 2600가마에 해당하는 거액의 공사비를 들여 연인원 7만여명이 10여 개월에 걸쳐 만든 것인 만큼 철거에도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했다.

 

 723일 국무회의에서 남산 이승만 동상의 철거가 결정됐다. 동아일보는 권세와 아부로 남산에 세운 이 박사 동상도 하야하기로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살아있는 사람의 동상을 굳이 세워 본인에게도 욕되게 하는 결과를 가져왔다민중의 뜻에 의하여 그의 우상이 내려오게 되었다고 평가했다.

 

 426일 이름 아침에 시인 김수영은 다음과 같은 시를 썼다.

 

우선 그놈의 사진을 떼어서 밑씻개로 하자 / 그 지긋지긋한 놈의 사진을 떼어서
조용히 개굴창에 넣고 / 썩어진 어제와 결별하자
그놈의 동상이 선 곳에는 / 민주주의의 첫 기둥을 세우고
쓰러진 성스러운 학생들의 웅장한 / 기념탑을 세우자
아아 어서어서 썩어빠진 어제와 결별하자

 

많은 이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세워진 동상을 지키기 위해 경찰을 세우는 것은 불필요한 낭비다. 더구나 동상의 재질이 금빛 찬란한 금속재질이라 예산지출은 계속될 것 같다. 이번판에 경찰 교대 근무로 지켜주는 동상들은 싹 따 뜯어다가 재활용하는 것은 어떨까.

 

종묘공원 옆 염상섭의 동상은, 마로니에 공원에 있는 김상옥 의사의 동상은, 지켜주는 사람없어도 보존하는데 어려움이 없건만...

 

오룡 (오룡 인문학 연구소 원장, 경기도립 중앙도서관 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