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3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우농(愚農)의 세설(細說)

올곧은 신하가 황제를 바로 세우고 백성을 편하게 한다.

 

[용인신문] 노나라 실권자 계씨가 자신의 세를 넓히고자 부용국인 전유라는 작은 나라를 무력으로 빼앗으려 하는데 계씨 밑에서 벼슬하고 있던 염구와 자로가 스승 공자에게 전후 사정을 말하며 대책을 구하니 공자는 되려 제자를 꾸짖으며 염구에게 말한다.

 

“군주를 모실 능력이 안되면 그만둬라. 군주가 위태로운데도 붙잡아주지 못하고 군주가 넘어지는데도 부축해주지 못한다면 그따위로 보좌하는 신하를 어디에 쓰겠느냐”(논어계씨편)

 

“신하가 군주를 잘못 모시면 그 피해는 곧 백성의 몫이다.”라는 것이 공자가 제자를 엄이 한 이유다. 관중은 “백성을 편안히 하는 것이 치국의 요체요, 실천으로 경제를 발전시키는 것”라고 직시한 바 있다. 여기서 정치의 근본은 시작된다. 곧 안민安民이다. “백성이 편안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것을 일러 좋은 나라라고 말하는 거다.

 

유학에서는 이를 ‘수기치인修己治人’이라 한다. 윤리와 도덕으로 자신을 완숙은 아니어도 일정량 경지에 올려놓은 뒤에라야 남을 다스린다는 말이다. 제 한 몸도 건사 못하는 주제에 무슨 남에게 감 놔라 배 놔라 하랴.

 

한나라 제왕 무제는 번거롭고 자유롭지 못하다는 이유로 종종 황제의 관冠을 쓰지 않고 놀았는데 간관諫官 급암汲黯이 들어온다는 소리만 들리면 후다닥 샛문 뒤로 숨었다 한다. 당나라 태종은 사냥 매를 팔 위에 올려놓고 장난치면 놀기를 좋아했다. 하는데 위징魏徵이 온다는 소리만 들으면 사색이되어서 매를 얼른 치우지 못한 채 품속에 감추어 놓고 안절부절했다고 전한다. 물론 황제의 관을 쓰지 않고 노닥거리는 한무제나 사냥매 갖고 놀고 자빠져있는 당태종이나 둘다 썩은 놈들임에 분명하다. 그럼에도 대국의 황제가 뭐가 두려워서 신하를 피하랴. 그런 신하들이 있었기에 황제는 성군은 아니지만 폭군은 면할 수 있었고, 백성들은 많이는 아니어도 조금은 편안할 수 있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