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우농(愚農)의 세설(細說)

대한민국엔 존경받는 부자가 없다.


대한민국엔 존경받는 부자가 없다.

 

사람의 의리라는 것이 모두 가난함에서 끊어지고(인의人義 진종빈처단盡從貧處斷) 세상의 인정이라는 것은 돈이 있는 집을 향해 기울어지는 것이(세정世情 편향유전가便向有錢家) 인지상정이거늘 이를 두고 세상의 인심이 야박하다고 할 수만은 없는 일.


가난하면 서럽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가난하면 시장 바닥에 뒹굴어도 아는 체 하는 사람이 없고(빈거시무상식貧居市無相識) 부유하면 첩첩 산중에 살아도 먼 친척까지 찾아온다(부주심산유원친富住深山有遠親). 그래서 돈이면 염라대왕도 불러다가 연자 맷돌을 돌리게 할 수 있다는 말이 아직도 유효한가 보다.


춘추전국시대 경공의 재상 안자(晏子)가 말했다. 윗사람이 예가 없으면 아랫사람을 부릴 수 없고(상무례上無禮 무이사하無以使下), 아랫사람이 예가 없으면 윗사람을 모실 수 없다(하무례下無禮 무이시상無以侍上). 이 말이 그 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


요즘 세상은 누군가를 예로 부리거나 예로 모시거나 하지를 않는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 예가 있다. 그 예에 가고 싶다. 중국문호 루신의 말이다. 지금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 돈만 있을 뿐이다. 사람을 평가하는 모든 기준 또한 그 중심엔 돈이 있다. 돈 많은 사람은 갑중에 갑이다. 안하무인격으로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고 날아가는 비행기도 돌려세우는 것은 그녀의 심오한 그 무언가 때문이 아니다. 돈 많은 아비를 뒷배로 둔덕이다. 젊은 여자하고 놀아난 남편의 동영상이 천하를 떠돌았어도 그런 더러운 인간을 못 버리고 사는 이유는 그가 가진 돈이 주는 안락함 때문이다.


공자는 물질적 부와 정치적 권력으로도 감히 어찌할 수 없는 경지에 이른 성인이다. 그러나 범부는 돈을 제외한 어떤 경지에 오른들 공자가 이른 성인의 경지에는 어림 턱도 없다. 그래서 사마천은 사흘에 피죽 한 그릇도 못 끓여먹는 주제에 대의만 논하는 입만 살아서 나불대는 가난한 선비들을 경멸하며 왈, “가난하고 천하게 살면서 인의를 말하는 것만을 즐기는 것 또한 부끄러운 일이다.” 그러면서 부언하기를 대체로 일반 백성들은(범편호지민凡編戶之民) 상대방의 재산이 자기보다 열 배 많으면 몸을 낮추고(부상십칙비하지富相什則卑下之), 백 배 많으면 두려워하며(백즉외탄지伯則畏憚之), 천 배 많으면 그의 일을 하고(천즉역千則役) 만 배 많으면 그의 노예가 된다(만즉복萬則僕). 이것이 세상 이치다(물지리야物之理也) 司馬遷 史記 貨殖列傳사마천은 한 가지를 모르고 죽었다. 조선시대 양반은 얼어 죽을망정 곁불 쬐지 않음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