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심
김종경
허물어진
담장밖으로
목련꽃 떨어지는 소리
이유 없이
컹컹 물어뜯던
저 몽실한
눈빛,
긴 하품과
껌벅이는 눈빛 사이
조용히
한없이 떨어지는
꽃잎,
하나
둘.
2008년 계간 『불교문예』 등단
시집 『기우뚱, 날다』, 『저물어 가는 지구를 굴리며』
동시집 『떼루의 채집활동』
무심
김종경
허물어진
담장밖으로
목련꽃 떨어지는 소리
이유 없이
컹컹 물어뜯던
저 몽실한
눈빛,
긴 하품과
껌벅이는 눈빛 사이
조용히
한없이 떨어지는
꽃잎,
하나
둘.
2008년 계간 『불교문예』 등단
시집 『기우뚱, 날다』, 『저물어 가는 지구를 굴리며』
동시집 『떼루의 채집활동』
무심 김종경 허물어진 담장밖으로 목련꽃 떨어지는 소리 이유 없이 컹컹 물어뜯던 저 몽실한 눈빛, 긴 하품과 껌벅이는 눈빛 사이 조용히 한없이 떨어지는 꽃잎, 하나 둘. 2008년 계간 『불교문예』 등단 시집 『기우뚱, 날다』, 『저물어 가는 지구를 굴리며』 동시집 『떼루의 채집활동』
시인 박완호 어둠이 닳아서 새하얀 빛이 될 때까지 아무에게도 보이지 않는 절망의 투명한 그물이 촘촘하게 날 에워쌀 때까지 시를 쓰다가 시가 되지 않는 말들과 함께 한 번도 가 보지 않은 어느 먼 곳을 꿈꾸는 시간 닳다 만 어둠 같은, 더는 깊어지지 않는 절망 같은, 꽃 피지 않을 생각이 되지도 않게 시가 되려는 것을 가까스로 막아가며 어떻게든 어둠이 다 닳을 때까지 절망이 더는 깊어지지 않을 바닥에 누울 때까지 어떤 꿈도 더는 나를 가두지 못할 눈물의 바탕에 기어이 다다를 때까지 단 하나, 시인이라는 휑하니 빛나는 이름을 갖게 될 때까지 그것마저 죄다 떨쳐낼 때까지 안간힘을 다해 버텨보려는 것 약력: 충북 진천 출생. 1991년 《동서문학》으로 등단. 시집 『나무의 발성법』 외 다수. 김춘수시문학상, 한유성문학상, 경희문학상 등 수상.
시 이시영 화살 하나가 공중을 가르고 과녁에 박혀 전신을 떨 듯이 나는 나의 언어가 바람 속을 뚫고 누군가의 가슴에 닿아 마구 떨리면서 깊어졌으면 좋겠다 불씨처럼 아니 온몸의 사랑의 첫 발성처럼 약력 1949년 전남 구례 출생. 1969년 신춘문예와 《월간문학》으로 등단. 《만월》, 《바람 속으로》, 《하동》 등 시집 다수. 만해문학상, 백석문학상 등 문학상 수. 한국작가회의 이사장 역임.
어비리 물가에서 고은 사람이 죽인다 또한 사람이 살린다 저녁 햇빛 다 내려온 어비리 물 가득한 어스름으로 살아야겠다 살아야겠다 잠든 밤 잠든 새가 품은 새소리로 낙엽의 내생으로 약력: 1933년 전북 옥구(현 군산) 출생. 1958년 신인상과 서정주 등의 추천 이후 시 소설 평론 등 165권이 있다. 전세계 35개 이상 언어로 약 80여 종의 번역서가 출간되었다. 국내 해외에서 30여 개의 상을 수상했다.
나무를 심으며 문숙 사랑이란 나를 너만큼 파내는 일 그 자리에 너를 꾹 눌러 심는 일 2000년《자유문학》으로 등단. 시집 『단추』,『기울어짐에 대하여』,『불이론』. 2022년 제23회 현대불교문학상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