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 타국에서 타국의 언어를 쓰면서 있으니 내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제대로 말하기가 어렵다. 쉽사리 납작해지고 단순해진다. “재밌어, 흥미로워” 내가 가지고 있는 단어들로는 내게 주고 있는 기분과 느낌을 표현하기엔 제약이 많다는 걸 느낀다. 내가 말하지 못하는 것도 답답하지만 남의 이야기를 캐치하지 못하는 것도 답답하다. 나 지금 어떤 상황이야 하고 서로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나는 내 상황을 깨닫고 공유하기까지 더 시간을 들여야 한다. 에너지를 몇 배는 많이 써서 놀고 싶어도 수다 떨 만큼의 에너지는 없고 저녁에 침대에 누울때면 축 늘어진 수건 같은 기분을 느낀다. 그래도 좋은 친구들을 많이 만나서 물어보면 다시 알려준다. 조금씩 늘겠지! 하며 오늘도 새로운 단어를 배우고 있다. 이주일간 같은 호스텔에서 지냈다. 오고가는 사람들과 말을 트고, 같이 수업을 듣기도 했다. 널린 빨래감들과, 점심 먹는 우리들. 그리워질 공간을 그렸다.
용인신문 | 6학년 때 갔던 문학축제에서 한 작가님이 일기를 쓴다는 건 나만의 소설을 가지는 거라고 해서 그 말에 이끌려 일기를 쓰기 시작했다. 처음 일기를 쓸때는 나 자신을 검열해서 좋은 말만 쓰고는 했다. 언젠가 누가 읽을까 봐 두려웠다. 그리고 어느 순간 내 손해구나 싶어서 솔직하기 시작했다. 화나는 일이 있으면 화가 났다고. 너무하다고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슬프면 슬프고 우울하다고 왜인지 모르겠다고. 그 덕에 많은 시기를 지나올 수 있었다. 일기는 나에게 하는 말이라서 그 안에서 질문을 던지고, 대답하고, 깨닫고 모든 걸 한다. 가장 좋은 점은 나중에 읽을 때 그렇게 재밌을 수가 없다. 이때 이것 때문에 힘들었구나. 이런 일이 있었지. 기억도 나지 않는 순간들을 다시 되짚는다. 때로는 우와 이런 생각을 했었어? 싶은 글이 나오기도 하고 이때도 이런 생각을 하고 있었구나! 혹은 이 사건 때문에 내가 바뀌었구나! 하는 이야기들을 가질 수 있다.
용인신문 | 악어를 보러 갔다. 바다 바로 옆에 맹그로브 나무가 자라는 습지가 있다. 장소 이름은 밴타니아. 악어가 250 마리 정도 서식하고 있다고 한다. 아무런 정보 없이 왔는데, 혼자 돌아볼 수는 없고 투어를 해야 한다고 한다. 둘이 가는 개인 투어는 인당 8만 원. 너무 비싸서 포기하려던 찰나 지금 가는 팀이 있다고 같이 가면 2만 원에 해주겠다고 해서 냉큼 따라갔다. 맹그로브 나무 숲을 작은 보트를 타고 한 시간 반 돌아봤다. 1미터 정도 되어 보이는 작은 악어부터, 45살이라는 내 키보다 큰 악어까지. 맹그로브 나무 위엔 이구아나들이 살고 있었고, 새들은 그사이를 넘나들며 놀고 있었다. 보트를 타고 노를 저어갈 때의 그 느리면서도 물살을 가르는 느낌이 좋다. 아~ 평화롭다! 얼마 전 읽었던 <가재가 노래하는 곳>이라는 책이 떠오르는 공간이었다. 조용히 노를 저어 집으로 돌아가는 카야가 눈에 선했다.
용인신문 | 지난 일주일은 바람 부는 시기였다. 힘들었던 이유는 상대의 바람에 맞춰주다 중심을 잃었다. 며칠 끌려가다가 내가 원하는 건 이게 아니라는걸 깨달았다. 내 기준은 무엇인지 확인하고 경계선을 세우고 상대방에게 인지시키는 게 중요하다는 걸 배웠다. 친구들에게 힘들다며 상황을 설명했더니 “너의 바운더리를 확실히 세우고 상대에게 이야기해”라고 조언을 해줬다. 바운더리, 한국어로는 경계 혹은 영역. 나와 상대가 만나는 경계지점이자 교류가 일어나는 통로이기도 하다. “선을 넘었어”라는 말과도 비슷한 것 같다. 나를 이루는 경계지점을 직접 확인하고 적절히 확인시켜놓지 않으면 그 안으로 밀고 들어오려는 사람과 밖으로 나를 잡아끄는 사람에게 대처하기가 어렵다. 나는 나를 크게 불편하게 하지 않으면 일단 상대의 바람을 따르는데, 일정 선을 넘어서 불편할 때 어떻게 이야기 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다. 한참을 허용하고 나서야 불편했다는 것을 알게 되는 때도 많다. 그래도 한번 경험하고 나면 확실해진다. 이해를 바라지 않고 내 선을 확실하게 이야기할 수 있다. 그게 바람이 지나간 후 얻는 것.
용인신문 | 계획 없이 여행을 다니다 보면 길을 잃을 때가 있다. 다음 길이 보이지 않는 것이다. 어디로 가야 하지? 누굴 만나야 하지? 그럴 때는 바로 다음 발자국만 생각하면 된다. 오늘 어디서 잘까? 나는 움직이고 싶은가? 무엇이 불편하지? 그러면 새로운 길이 트이기도 한다. 그때 끌리는 대로, 새로운 정보가 있는 곳으로 옮겨 다닌다. 친구가 소개해 줘서 온 호스텔에서 우연히 일주일짜리 워크숍에 참여하게 되었다. 지내는 동안 부엌일을 도우면서 70여 명의 사람들과 섞여 지냈다. 생각지도 못한 기회를 만나 멕시코 음식도 배우고, 수업도 들을 수 있게 되었다. 호스텔에서 일을 도우면 무료로 머물 수 있는데, 이 방법을 이용해서 저렴하게 여행을 다니는 여행자들이 많다. 영상을 만들어주거나, 마케팅을 돕고 지낼 수도 있다. 한달살이도 이렇게 한다면 정말 저렴하게 다닐 수 있겠다. 길이 보이지 않을 때는 걱정되고 무섭지만, 길이 보이고 나면 그냥 걸으면 된다. 다음 갈림길이 나올 때까지.
용인신문 | 멕시코 시티로 넘어왔다. 새로운 인사부터 익힌다. 올라- 부에노스 디아스- 숙소는 소칼로 광장 바로 아래, 5분 거리에 있는 호스텔을 예약했다. 도시의 첫인상은 ‘활기차다’, 맛있는 음식이 곳곳에 있다. 타코는 다섯 개에 삼천 원. 가장 싸게 한 끼를 먹고 싶으면 타코를 먹으면 된다. 같이 있는 소스와 토핑을 알아서 더해서 먹으면 되는데, 소스가 아주 맵다. 처음에 잘 모르고 한 숟가락 듬뿍 넣었다가 매워서 한참을 울었다. 호스텔에서 만나는 친구들과 인사를 나누고 어딜 놀러 가면 좋을지 물어본다. 그러면 정보가 나온다. 가장 좋은 정보는 박물관 무료 정보였다. 일요일에는 멕시코 시티 내의 거의 모든 박물관이 무료라고 한다. 아침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부지런히 돌아다니면 걷는 만큼 많이 볼 수 있다. 도시에 170여 개의 박물관이 있다니까 정말 걷는 내내 코너를 돌 때마다 박물관이다. 세계에서 가장 박물관이 많은 도시라고 한다. 돌아본 박물관 중 가장 인상 깊었던 곳은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된 종교 물건들이 있었던 곳이다. 자수, 도자기, 점토, 그림 등 이걸 만드는데 얼마나 걸렸을까 궁금한 작품들이 많았다. 국민의 80% 정도가 가톨릭 신자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