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 멕시코 국경을 지나 세 시간 정도 달려서 아티틀란 호수로 가는 버스를 탈 수 있는 길목에 내렸다. 미국에서 수입된 은퇴한 스쿨버스들이 색색의 옷을 입고 운행하고 있다. 노선에 따라 같다거나 하지 않고 버스마다 다르다. 개성이 뛰어나다. 긴 의자가 앞자리에 다리가 닿을 정도로 촘촘하게 개조한 버스는 한자리에 두 명이 앉기엔 좀 넓고 셋이 앉기엔 자리가 부족하다. 여기에 사람이 타고 내리며 꼬불꼬불한 산길을 달린다. 그들이 가지고 탄 짐들로 버스는 짐칸까지 만석이다. 가끔 도시에 멈추면 과자와 음식을 팔러 좁은 복도로 상인이 올라와 시장통 같은 상황이 연출되기도 한다. 관광객들은 닭 실어놓은 버스마냥 빽빽하다고 치킨버스, 그러니까 닭장 버스라고 부른다.
그런데 나에게는 크게 불편하지 않았다. 산길을 달리면서 속도를 내는 운전기사님 덕에 몸이 좌우로 흔들려도… 색색깔의 옷을 입고 차에 타고 내리는 여성들 구경하느라 나는 바쁘다. 그 옷감을 짜는데 최소 2개월, 문양이 있다면 훨씬 오래, 거기에 빼곡히 놓은 수까지 하면 얼마나 걸렸을까 상상하면서. 한 할머님은 이 옷 만든 지 10년 됐다고 하며 보여주셨다.
멕시코에서도, 여기서도 느끼는 건 먼저 인사하면 긴장이 풀린다. 어렸을 때 동네에서 어른들한테 인사드리고 다녔던 것처럼, 좋은 아침이에요 하면 다들 웃으며 맞인사해 준다. 그러고 나면 무섭지 않다. 오늘도 부에나스 디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