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용인시는 지난 18일과 20일 각각 5명의 국장급 전보 인사와 16명의 승진 및 전보 인사를 전격 단행했다.
시 측은 이 과정에서 시의원들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읍·면·동장에 대한 인사발령을 하면서 시의원들과는 전혀 협의를 하지 않았다는 것. 또한 의회사무국 직원 인사도 집행부 측이 의장단과는 어떤 협의나 통보를 하지 않아 시의원들의 반발을 더욱 부추겼다.
일부 시의원들은 “인사가 시장의 고유 권한이기는 하지만 지역구의 읍·면·동장 인사에 대해서는 관례적으로 해당 지역 의원들과 협의해 왔다”며 “이번 인사 과정에서는 사전에 어떤 귀 뜸이나 협의가 전혀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서정석 시장은 “인사는 시장의 고유권한”이라는 원칙을 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시의회 이동주(가 선거구) 자치행정분과위원장은 지난 21일 “시 인사발령 후 서 시장에게 지역구 의원 자격으로 전화해서 유림동장 전보인사와 관련, 주민들에게 해명할 수 있는 자료를 요구했지만, 서 시장이 오히려 시장 고유 권한에 간섭하는 것이냐”고 따져 물었다는 것.
이 위원장은 또 “서 시장에게 유림동장 인사로 인한 지역 주민들의 반발을 아느냐고 물었더니 더 이상 신경 쓰지 말라는 답변을 들었다”며 “이는 시의원을 철저히 무시한 행태”라고 비난했다.
이 같은 사실은 의장단 회의에서 이동주 위원장이 조성욱 의장에게 시의회의 위상과 권위를 바로 세워야 한다고 촉구하는 과정에서 불거진 것으로 확인돼 의장단 내부 갈등 조짐마저 일고 있다.
또 다른 의원은 “최근 공직사회 내부에서조차 인사발령과 관련, 과거에 물의를 빚었던 인물들을 주요 보직에 등용시켜 인사 불만이 노골적으로 표출되고 있다”며 “선거후유증으로 생긴 표적인사 논란과 정치공무원 양산이라는 불신의 벽은 점점 높아져 쉽게 무너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인사에 대한 불만을 드러냈다.
이 밖에 의회사무국 직원 인사발령도 의장단과는 전혀 협의가 없던 것으로 알려져 집행부와 시의회간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 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