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은 동의보감에서 말하기를 사계절 중 오직 여름철이 장섭(將攝: 몸을 잘 보살펴 병이 나지 않게 돌보는 것) 하기가 어려운데 숨은 음(陰)이 속에 있으니 배가 냉활(冷滑)하다 했다. 무더운 여름날, 사실 뱃속은 냉하고 허하기 그지없다. 하지만 더위를 못 이겨서 찬 음식을 즐겨 먹기에 탈이 나기 쉽고 피부는 항상 땀으로 모공이 열려 있어서 외부의 사기가 보다 쉽게 침투할 뿐더러 음식이 쉽게 부패하기 때문에 식중독의 높은 발병도 건강을 해치곤 한다. 푹푹찌는 무더위와 습한 기온은 비위를 늘어지게 만드는데, 그래서 식욕부진장염구토설사 등이 다발하게 된다. 따라서 지친 비위를 깨워주고 보송보송하게 말려주어야 하는데, 이런 약은 잘 살펴보면 우리 주위에 매우 가깝게 있다. 그것은 바로 쌈채소이다. 상추, 겨자잎, 깻잎 등이 바로 그것이다. 상추는 비위의 습열을 제거해 주고, 각종 비타민은 여름철 지친 기력을 회복하는데 효과적이다. 깻잎의 향긋한 향은 위장 기능을 회복시켜주며 기침을 억제해 주는 효과가 있다. 겨자잎의 톡쏘는 맛은 쳐진 위장을 깨워주고 콧물 감기, 코막힘에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여름철 식중독과 장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모두 있기 때문에 자주 먹게 되
▲ 복날 대표 음식 삼계탕 올 여름도 역시 무덥고 푹푹 찌는 열대야가 기승이다. 더위가 극을 치는 초복, 중복, 말복에는 저하되는 기력을 회복하기 위해 보양식을 챙겨 먹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삼계탕이다. 삼계탕의 주 재료인 닭은 성질이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몸을 보양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예로부터 암탉이 알을 품는 모습을 보고 수행자의 마음가짐으로 본받으라 할 정도로 닭은 성정이 온화하여 사람의 몸을 보하는 작용이 뛰어난가 보다. 닭은 버릴데가 하나 없는 귀한 동물인데 그 머리는 예로부터 도깨비를 쫓는다 하였고 닭발은 해동피, 합판피 등을 넣으면 풍습통을 몰아내고 근골을 튼튼히 해 주는 훌륭한 약이 된다. 술안주로 자주 오르는 모이 주머니의 버려지는 속 껍질은 계내금이라 하여 소화를 돕고 소변후 정액이 새거나 붕루, 설사 등을 멎게 해 주는 작용이 뛰어나다. 필자도 약이 필요해서 방목하여 닭을 기르는 농장에 가서 쭈구리고 앉아 닭똥을 주워담기도 했다. 그런데 닭똥도 잘 들여다 보면 소변이 섞여서 흰색을 띄는 곳이 있다. 이것만을 채취하는데 바로 시백이라 하여 목마름과 배가 그득차서 부푼 것을 치료하는 작용을 한다. 그럼 여름은 기온이 높은데 어쩌서
▲법륜사 주최 드림콘서트와 템플스테이 참가자들이 수계식을 마친 후 기념촬영모습 법륜사(주지 현암스님)는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아파하지 말고 다시 희망을 이란 주제로 드림콘서트를 겸한 템플스테이를 성황리에 마쳤다. 용인 문수산에 위치한 법륜사는 문화재청이 지정한 템플스테이 사찰로 전각 안에는 세계 최대의 석불이 봉인돼 있다. 이날 드림콘서트는 주지 현암 스님과 사중 스님, 템플스테이 참가자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일감 스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행사는 이사주당기념사업회 이성진 이사의 감미로운 오카리나 연주를 시작으로, 이용선 명창의 무대와 기타 연주 등이 이어졌다. 이밖에도 주지 스님과 사중 스님들이 보여준 자비로운 수화 공연은 관객 모두에게 큰 감동을 선사했다. 참석자들은 다음 날 아침 법륜사 인근 내동마을 연꽃단지를 관람한 후 대웅전에서 수계식을 가진 후 일정을 마쳤다. 현암 주지스님은 보다 많은 이들에게 꿈을 찾아주고자 7월 22일부터 4주간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무료 템플스테이 참가자를 모집하고 있으니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성진 기자 lsj3728@nat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