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 ‘런던 튜브(London Tube)’ · ‘런던 언더그라운드(London Underground)’. 1863년 1월 10일 영국 런던에서 세계 최초로 운행을 시작한 지하철 이름이다. 올해가 개통 161주년이다. 이 지하철을 상징하는 로고는 1925년도에 만들어져 100년간 유지되고 있으니 놀라울 따름이다. 로고는 빨간 원과 언더그라운드라는 영문을 조합한 것으로 매우 단순하다. 지금은 런던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강력한 상징물이다. 도시브랜드 전문가들은 공공 디자인이 결합 되어 도시 브랜딩 효과를 창출한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는다. 100년 전통의 역사성을 살려 런던의 교통 박물관과 기념품 상점 등에서는 언더그라운드 로고와 서체를 활용한 각종 관광 상품을 개발해 판매한다. 언더그라운드 로고와 서체(일관된 공공디자인)가 런던 시민들에게는 공통된 기억 자산으로 도시의 정체성으로까지 확장된 도시 브랜딩 효과를 보여준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도시 브랜딩은 다른 도시와의 차별화를 위해 도시의 정체성과 가치를 드러내는 과정을 뜻한다. 서울대 이장섭(디자인과) 교수는 “브랜드란 가치의 구현이며, 도시 브랜드는 해당 도시에 대한 이미지나 인식의 총합”이라고 정
용인신문 | 사업가가 지역사회에서 벌어들인 이익금 일부를 장학금으로 지정 기탁하고 싶다는데 행정기관에서 몇 달 후 기부금 심사를 한후 가부를 결정짓겠다고 한다면 과연 기부를 하고 싶을까? 현행 청탁금지법과 국민권익위원회 권고 사항에 의하면 고액의 기부금을 지자체에 지정 기탁할 경우엔 기부금심사를 받도록 하고 있다. 심사 내용은 사업가가 지자체와 관련된 인허가 업무 등을 하면서 장학금이 청탁성(뇌물성)인지 아닌지를 확인한다는 것이다. 장학금 기탁 시간을 전후로 해당 지자체와 연결된 사업을 하고 있다면 기탁을 거부하거나 보류하다고 한다. 실제 사업가 A씨는 몇 년 전 용인지역에서 사업이 완료된 후 순수한 마음으로 수익금 일부를 용인시장학재단에 기탁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그러나 시 측은 3개월을 기다린 후 기부금 심사를 통과해야 가능하다고 했다. 게다가 장학금이 아닌 또 다른 방법도 있다는 등의 묘한 뉘앙스까지 느끼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 사업가는 과거에도 아무 문제 없이 고액의 장학금을 기탁했던 바, 납득하기 힘들다는 주장이다. 이번 취재를 계기로 2024년 2월 1일 기준 ‘용인시장학재단 기탁자 현황’을 꼼꼼히 들여다 본 결과, 확연하게 느낀 점은 기업가나
용인신문 | “우리 사회 언어의 병은 듣기가 안 된다는 것이죠. 말하는 자들만 있어요. 듣는 자가 없으니 인간에게 말하는 게 아니라 담벼락에 말하는 것과 똑같아요.” 요즘 읽었던 산문집 ‘허송세월’의 작가 김훈 선생이 한 말이다. 그의 나이 76세. 산문집 초반부터 건강과 일상에 대한 기록이 눈에 띄었다. 작가와의 친분은 없지만, 한때는 유명 소설 제목보다 등산 또는 자전거를 그의 상징처럼 기억했다. 그의 산문 ‘라면을 끓이며’를 읽다가 대파 한뿌리를 고집하는 나만의 레시피와 똑같다는 이유 하나만으로도 ‘라면의 미학’을 발견한 듯 박수를 쳤을 정도다. 어쩌면 작가의 글을 닮고 싶어서 그의 취미나 신변잡기를 표방하려는 심리마저 있었는지 모르겠다. 김훈 선생은 요즘 우리 사회에 말은 많은데, 정작 쓸만한 말이 없고, 그나마 제대로 들어주는 이조차 없으니 담벼락에 대고 말하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그만큼 불통의 시대임을 비판한 것이다. 과거에는 국가 또는 정치지도자가 그릇된 길로 들어서면 나라의 원로나 석학들이 나서서 꾸짖었다. 언론도 정권 눈치가 보이면 종교 지도자나 석학들의 말을 빌려와 에둘러 비판했다. 고 김수환 추기경을 비롯한 큰 스님, 원로 목사님
용인신문 | “그날의 기쁨과 감격과 감사가 어제 같은데 ◯◯가 결혼합니다. ◯◯◯ 올림.” 금요일 이른 아침, 핸드폰 문자 메시지로 날아온 지인의 간단한 결혼식 초대장 문구다. 구구절절 쓰인 일반적인 초대장과는 달리 시크한 분위기다. 더군다나 그 밑에는 초대의 말보다 몇 배 긴 ‘축의금에 관한 안내’라는 문구가 몇 단락으로 나뉘어 첨부되었다. 보통의 결혼식 또는 부고장을 보내는 사람들은 간단한 문구와 함께 계좌번호를 링크해서 첨부한다. 가족별로 나누어 몇 개의 계좌번호를 넣는 경우도 많다. 그만큼 세상은 변했지만, 아직도 축의금과 조의금에 대한 찬반 여론은 반반이다. 그런데 지인의 메시지가 눈길을 끌었던 이유는 ‘축의금에 관한 안내’ 문구 때문이다. 첫 번째 안내는 ‘참석하는 경우’로, 함께 식사해 주실 때만 ‘5만 원’의 현장 축의금을 받는다는 내용이다. 거기엔 “식사를 제가 모셔야 하는데 형편 양해 부탁드립니다”라는 괄호 안 양해 문구가 있었다. 두 번째는 ‘참석 못하시는 경우’로 “모든 축의금은 진심으로 정중히 사양합니다”라는 ‘강조형’ 문구였다. 지인은 다음에 한 구절을 더 보탰다. “휴가철 토요일이라 꼭 오시라고 못하고, 다른 일정 방해드리고 싶지
용인신문 | 정치인들의 무덤이라고 불릴 정도로 흑역사가 점철된 용인 정치판이 또다시 술렁거리고 있다. 이번엔 풀뿌리 민주주의의 상징인 용인시의회 의장단 선거 과정에서 금품수수 의혹이 제기돼 지역 정가가 발칵 뒤집혔다. 경찰은 최근 제9대 용인시의회 후반기 민주당 의장 후보 경선 과정에서 뇌물이 오갔다는 제보를 받고, 해당 시의원의 자택과 사무실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이는 등 진위 파악에 나섰다. 현재까지 파악된 바에 의하면 이번 사건에 연루된 시의원들은 민주당 뿐만 아니라 국민의힘 소속까지 다수일 가능성이 크다. 실제 민주당 소속 시의원 중에서는 지역구 당직과 탈당계를 제출함에 따라 혐의를 인정했다는 게 중론이다. 따라서 이번 사태는 수사 결과에 따라 시의회 내부는 물론 지역 정가에까지 불똥이 튀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안타까운 점은 2년에 한 번씩 치러지는 시의회 의장단 선거 후유증이 매번 끊이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의장단은 임기 4년을 전 후반기로 나눠 임기 초에 한 번, 2년 후 다시 한번 무기명 투표를 통해 선출하게 된다. 의장단은 의장과 부의장, 그리고 5개 상임위원회 위원장을 선출하는 것으로 여야 모두 의원 수에 비례해서 자리를
용인신문 | “왜, 용인시에는 문학관이 하나도 없나요?” 용인에서 태어나 평생 용인 사람으로 살고 있는 필자가 자주 들어온 말이다. 인구 110만 명을 넘어선 광역시급 용인특례시의 문화예술 수준과 시민의식을 ‘문학관’ 하나로 대신할 수는 없겠지만, 지방 소도시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문학관이 한 개도 없다? 그렇다면 용인시에는 문학 콘텐츠가 없다는 말인가? 묻지 않을 수 없다. 용인은 예로부터 사거용인(死去龍仁)이란 말이 있을 정도로 풍수지리로도 명당자리가 많기로 유명했다. 조선 시대 이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명망가들의 분묘가 많은 이유다. 산업화가 시작될 무렵인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까지 집중적으로 대규모 장묘시설(공원묘지)들이 만들어지면서 지금도 사후(死後) 인기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 조선 시대에는 한양 성곽 주변 도시를 고관대작들이 우거지로 선호해 조광조, 남구만 같은 인물들이 용인으로 낙향해 살았다. 벼슬에서 물러나 용인에 머물면서 명현의 묘역이 조성되거나 명현이 많이 배출되었다. 후손들이 용인에 집성촌을 이뤄 살면서 자연스럽게 뛰어난 문장가들이 나온 경우다. 그런데도 지금까지 용인의 귀중한 문학 자료들을 한곳에서 볼 수 있는 문학관 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