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18 (월)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용인신문] 이헌서재
과학에도 철학이 필요하다

 

 

[용인신문] 정치는 실천이 따르지만 과학에는 정치에 비해 실천이나 효용성이 의무로 따르지 않는다. 실용적인 측면보다는 정확한 연구를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문제는 핵무기처럼 인류를 위험하게 만드는 결과물이 생겨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더불어 과학 연구는 투입되는 비용도 만만치 않다. 그래서 무엇을 연구해야 할지, 어떻게 해야 할지, 투자되는 자원은 얼마나 될지 등의 항목을 정하는데 연구자가 속한 사회의 가치관이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저자는 과학 연구가 가치관에 영향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과학에 관한 정책을 입안하는 이들과 과학자가 속한 사회가 생각하는 실천과 과학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스탈린을 예로 들며 과학에도 철학이 필요함을 이야기한다. 당대에 육종학이 중요하다고 주장한 과학자 리센코와 환경 개선을 통해 생산량을 늘리자는 바빌로프가 있었다. 바빌로프의 주장은 스탈린과 통했다. 게다가 스탈린에게는 집단농장 정책에 대한 실패에 대해 희생양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육종학을 강조하며 유전자 연구를 중요하게 생각한 리센코는 감옥에서 죽게 된다. 리센코의 죽음과 같은 안타까운 사례를 막기 위해 필자는 ‘투명성’, ‘대표성’, ‘참여’라는 세 가지 대안을 내놓으며 이를 위해 어떤 전략이 필요한지 구체적인 방안들을 제시한다.

 

과학이 가치중립적일 수 없으며 정책입안자와 결정자, 그리고 그들이 속한 사회의 가치관에 의해 그 수행이 결정된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과학 철학이 필요한 것은 사회적으로 유익한 수행을 하기 위해서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