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 이야기꾼 이꽃님이 지난 여름에 출간한 『여름을 한 입 베어물었더니』를 읽으면 지나간 겨울인데도 지난 여름의 열기가 전해지는 느낌이 든다. 이꽃님의 『죽이고 싶은 아이』가 소통이 단절되어 극단적이 되어가는 세태를 꼬집었다면 『여름을 한 입 베어물었더니』는 다시 소통하기 위해 우리가 거쳐야 하고, 알아야 하는 것들을 이야기하고 있다. 하지오. 미혼모였던 엄마를 지키려고 유도를 시작했지만 대장암은 엄마를 집어삼키려 하고, 얼굴도 모르던 아빠가 있는 정주로 가게 된다. 용서할 수 없었던 아빠는 하필이면 높은 도덕성을 요구하는 경찰이다. 또다른 주인공 은찬. 은찬이는 전교 1등이지만 몇 년 전 화재로 부모님을 모두 잃은 뒤로 모든 사람의 생각이 들린다. 그런데 은찬이 옆에 하지오가 나타나자 새로운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 하필이면 선생님조차 간섭하지 않는 은찬이의 비싼 물건을 망가뜨린 지오. 물건값을 물어주자니 보기도 싫은 아빠에게 손을 벌리기 싫고, 수술을 앞둔 엄마에겐 더더욱 말할 수 없다. 둘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둘의 관계는 이새별 선배와 엮이며 더 복잡해지는데... 청소년소설이지만 대중에게 읽힐 만한 작품이다. 불통의 갈등이 심각한 요즘, 청소년
용인신문 | 많은 SF소설이 영화로 제작되고 있다. 『독쑤기미』라는 책도 그 대열에 서고 있으니 일단 흥미로운 소재라는 것은 입증된 셈일까? 절망적 미래, 유전자조작, 개발의 이면 등이 다른 매체에서 많이 접한 문제의식이지만 캐릭터와 소재, 주제를 향한 작가의 태도 등이 흥미로운 작품이기도 하다. 이 작품의 배경에서 음식은 일부 계층만이 자연 그대로의 맛을 즐긴다. 주요인물 핼야드는 음식 때문에 재산을 탕진하고, 회사 공금까지 횡령한다. 그는 회사가 가진 “멸종 크래딧”을 유용해 차익을 자신이 차지했다. 멸종 크레딧은 기업이 자연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있어나는 생태계 파괴에 대비해 구매하는 한 생물을 멸종시킬 수 있는 권리이다. 멸종된 생물은 언제든 데이터 뱅크에 보관된 유전자로 복구할 수 있기 때문에 멸종 크레딧 비용은 일종의 멸종 허가증처럼 통용되었다. 핼야드를 곤경에 빠트린 것은 청소물고기 독쑤기미였다. 이 작품은 핼야드가 폭등한 독쑤기미의 멸종 크레딧을 무력화시키기 위해 다른 주인공 카린과 함께 물고기를 찾아나선다는 설정이면서 인류의 암담한 미래를 보여주는 블랙코미디적 작품이기도 하다. 핼야드의 세계에서는 목적을 위해 언제든 유전자조작을 하고, 생태에
용인신문 | 직장인에게 자유의지가 있을까? 실패에 성공한 사람은 성공한 걸까, 실패한 걸까? 철학은 정말 말장난일 뿐일까? 라고 묻는 책이 있다. 철학이라는 말만으로 책과 멀어지고 싶은 이들에게 철학도 이렇게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는 용기를 주는 책이 있다. 바로 『철학자와 오리너구리』라는 도서이다. 이 책은 책 날개에서 확인되는 저자의 이력을 확인할 때부터 범상치 않음을 짐작할 수 있다. 두 저자가 철학을 전공했지만 대중과 가까이 있는 인물이다. 심지어 대니얼 클라인은 코미디 대본 작가로도 활동했다. 그래서인지 곳곳에 복잡한 사유를 간결하게 설명하면서도 독자의 이해를 돕는 재미있는 상황이 제시된다. 심지어 도덕적 절대주의를 설명하기 위해 신이 모세에게 준 계율을 설명할 때조차 모세를 내세워 대중에게 농담을 던지고 있다. 그렇다면 이 책은 그저 가벼운 철학 입문서일까? 열 개의 질문에 담은 사유는 결코 가볍지 않다. 단지 가벼운 농담으로 시작해 깊은 철학이라는 사유의 골짜기로 가는 길을 안내하고 있다. 이 책은 대중에게 형이상학이 중요하지만 본질 그 자체만 탐닉하느라 실재를 고려하지 않는 것에 대해 경고를 하기도 한다. 하얀 거짓말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보여
용인신문 | 제프 다이어. 그는 사진 비평가이면서 소설, 에세이, 르포르타주 등의 여러 장르를 넘나들며 글을 쓰고 있는 영국의 유명 작가이다. 1958년도에 태어난 저자는 로저 패더러라는 테니스 선수의 말년 무렵 경기를 보며 “끝을 맞이하는 상황, 예술가의 마지막 작품, 얼마 남지 않은 시간”이라는 주제에 관심을 갖게 된다. 『라스트 데이즈』는 그가 탐색한 마지막에 대한 사유의 향연이다. 저자는 자신의 은퇴와 스포츠 스타와 예술가들의 은퇴를 비교하며 이야기를 이어나간다. 이 책에 소개되는 이들이 마지막을 대하는 자세는 저마다 다르다. 마지막 순간을 외면하며 직면의 순간을 지연시키는 이가 있는가 하면 마지막 순간이 언제인지도 모른 채 자신을 소모해 버리기도 한다. 저자는 어느 편을 들기보다 그 시간 속에 창작된 예술작품의 면모를 캐낸다. 구상에서 추상으로 변모해 가는 화가의 그림이 완성도를 높여가는가, 아니면 화가의 눈에 걸린 질병에 의해 현저히 다르게 표현이 되는가 등을 구체적인 근거와 당대 비평을 추적해 알아보기도 한다. 문학사에 위대한 획을 그었지만 그 때문에 더 앞으로 나아갈 수 없었던 작가의 대한 슬픈 사연도 소개한다. 그러니 『라스트 데이즈』는 저물
용인신문 | 어떤 알 수 없는 이유로 뇌 속에 문제를 지니고 태어나는 아이들이 있다. 혹은 후천적인 이유로 강박을 가진 채 살아가는 사람들도 있다. 이 책은 이같은 문제를 안고 살아가는 청소년 중에서도 공황장애로 애쓰는 애덤의 이야기이다. 척 박사의 사무실 13층은 몇몇 청소년이 모여 자신과 주변에서 벌어진 일과 생각을 나눈다. 이주 애덤은 닉네임이 베트멘이다. 그가 바라는 것은 고요한 마음을 갖는 것이지만 ㄱ러려면 몇 가지 장애물을 넘어야 한다. 그는 정화의식 없이 문턱을 넘을 수 있어야 한다. 이혼한 엄마의 저장 강박에 협박 편지에 대한 비밀도 지켜야 하고, 아빠와 엄마의 집을 오가야 하기도 한다. 애덤은 이 모든 문제의 원인을 자신이라 생각하기에 정화의식을 한다. 최근 척의 사무실에 새로 등장한 로빈을 좋아하게 된 후, 보호해 줘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점점 회복되는 로빈에 비해 자신의 상태는 점점 엉망이 되어 속상하기만 하다. 애덤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애덤에서 의사 척은 말한다. “슈퍼히어로들은 가끔 다른 사람의 문제를 해결해 준단다. 다들 자신만의 문제를 안고 있는데도 말이지.”(303쪽) 또 곤경에 처한 애덤에게 앞집 폴란스키 부인은
용인신문 | 디아스포라 라는 말은 대체로 슬픈 이유로 자신의 터전을 떠난 민족들의 모습을 말한다. 유대인이 로마의 박해를 피해 전 세계로 흩어졌던 사례가 그 시작이라면 오늘날은 분쟁이나 기후변화로 인한 기아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금이가 쓴 소설 『거기, 내가 가면 안 돼요?』와 『알로하, 나의 엄마들』, 『슬픔의 틈새』는 일제강점기에 우리 땅을 떠난 소녀들의 이야기이다. 이중 얼마 전 발간된 『슬픔의 틈새』는 사할린으로 떠난 소녀 단옥네의 이야기이다. 단옥의 고향은 충남 공주였다. 단옥이 건너온 곳은 화태. 그곳은 러시아가 사할린이라고 불렀으나 1905년 일본이 전쟁에 승리해서 차지한 후 ‘가라후토’라고 불렀으며 조선 사람들은 일본인들이 적은 한자를 읽어내 ‘화태’라 했다. 그곳은 아버지가 탄광노동자로 와서 온갖 고생을 하며 지내는 곳이기도 했다. 소설의 전반부, 단옥네 가족은 화태에 모여 한 때 행복을 찾는 듯했지만 아버지가 다시 다른 곳으로 노동을 위한 강제로 이주를 하는 통에 그 꿈은 무산된다. 단옥의 여정은 거대한 강제이주와 노역의 역사를 따라가는 로드무비와 같다. 여정에서 만나는 이들은 하나같이 자신의 땅을 잃고 정처없이 떠도는 아픈 이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