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이 되는 의자
이준호
난 힘들 때 의자에 앉아서 쉰다.
나에게 의자는 엄마다.
내가 힘들 때 기댈 수 있는 사람이다.
단단하고 오래가는 나무 의자다.
엄마도 힘들 때는 나한테 기댄다.
나도 멋진 나무 의자다.
우린 서로의 힘이 되어주는 의자다.
약력: 1996년생(장애정도: 중증)
2016년부터 시 창작 시작
힘이 되는 의자
이준호
난 힘들 때 의자에 앉아서 쉰다.
나에게 의자는 엄마다.
내가 힘들 때 기댈 수 있는 사람이다.
단단하고 오래가는 나무 의자다.
엄마도 힘들 때는 나한테 기댄다.
나도 멋진 나무 의자다.
우린 서로의 힘이 되어주는 의자다.
약력: 1996년생(장애정도: 중증)
2016년부터 시 창작 시작
힘이 되는 의자 이준호 난 힘들 때 의자에 앉아서 쉰다. 나에게 의자는 엄마다. 내가 힘들 때 기댈 수 있는 사람이다. 단단하고 오래가는 나무 의자다. 엄마도 힘들 때는 나한테 기댄다. 나도 멋진 나무 의자다. 우린 서로의 힘이 되어주는 의자다. 약력: 1996년생(장애정도: 중증) 2016년부터 시 창작 시작
자서전 류미월 꽃불과 꽃비 사이 낡은 돋보기 안경을 쓴 여자가 있다 약력: 단국대 대학원 문예창작학과졸업 2008년 《창작수필》 등단, 2014년 《월간문학》 신인상 등단 시집 『나무와 사람』, 산문집 『 달빛, 소리를 훔치다』 전자시집 『하루하루 각설탕』, 가람시조문학 신인상 수상 현재 용인문화원 디카시 강의
나의 어린 왕자에게 노광희 안녕 나의 어린 왕자 안녕이란 말은 왠지 훅하고 불길 같은 것이 가슴에 안기지 꼬옥 안아봐도 될까 이제 가을 냄새 번져가는 어느 들판에 서서 유언장처럼 사용한 말들의 이름표를 붙이고 있는지 나와 마주한 적 없어서 부스럭거릴 때까지를 한참을 기다렸어 찔레에 맞아 퍼래진 등허리에 뛰쳐나가는 무게를 싣고 따라가던 얼룩들이 꽃을 피웠네 아직도 그 별들을 머리에 이고 다니는지 하늘이 낮아지면 생기는 별똥별 오래 갇혀있던 너를 업고 부서지듯 던진 기원 처음 지나간 빛을 기억해 꼬리를 물고 떨어지는 시간은 순간이라서 저문 밤 몸살로 며칠을 앓던 무릎에 얹어진 슬픔이 따뜻해져서 하루 한 페이지씩 넘기는 날에 조금씩 너의 얘기로 한 걸음씩 걸어가 어느 작은 목섬 기슭에 자는 파도 같은 푸른 옷깃을 입고 죽는날까지 처음인 날 것들이 많은 날 함부러 달려드는 바람을 걸러 천천히 흔들어 보는 일은 껍질도 꽃잎 인냥 이젠 꼭 안아볼까 하는데 나의 생은 언제나 부끄러운 맨발 그 깊고 푸른 눈으로 나를 기억하는지 순수문학 등단. 한국문인협회 및 용인문인협회 회원. 종자와 시인 박물관에 시비 선정 수혜 [상처에 대하여] 시비가 있다. 시집 [따뜻한 남자의 손은
4월 산마루 손영미 산벚나무 밑 바위 귓부리가 닳았다 움푹 패인 껍질에 대해 짓무른 눈에 대해 땅속 깊이 묻은 발등에 대해 나무가 소곤소곤 쏟아낼 때마다 후두둑 꽃파편들이 바위에 쏟아진다 바람불던 겨울 아궁이 속에서 새까맣게 탄 고구마를 골라내시며 너도 나처럼 속이 다 탔니 하시던 어머니 평생 속으로 속으로만 써놓던 주름진 동화를 펼쳐놓지 못했는데 늦저녁 산마루에서 되읽어보는 페이지 한쪽 움푹패인 껍질은 너의 훈장이야 짓무른 기다림이 있어 네가 쓰러지지 않았어 깊이 묻힌 발등 때문에 방랑자가 안되었어 어머니의 어머니 같은 바위와 산벚나무가 종일 속엣말을 주고받는 사이 철없는 꽃잎들이 뚝뚝 가지를 떠나고 껍질에 또하나의 골이 새겨졌다 바람이 산벚나무 가지에 걸린 갈피를 켜켜이 들춰 보고 있다 - 2025년 <시와소금> 신인상 당선작 - 약력 충북 청주 출생 24년 동서문학상 맥심상 25년 '시와소금' 신인상 경희사이버대 문예창작과 재학중. 용인문학회 회원.
맨드라미 송남순 담과 담 사이를 몰래 훔쳐보며 골목을 좋아했던 날도 있었다 모자 속에 숨어 있는 하얀 얼굴 빨간 옷이 잘 어울리는 건넛집 오빠 골목을 지날 때면 나무 그림자까지 살금살금 걸었는데 바람이 옮긴 걸까 그 소문 눈썹 짙은 언니 내 동생 그림자도 좋아하지 말라고 한다 봄부터 시작된 내 마음 저 맨드라미도 벌써 알고 있었나 보다 어느 날 꿈속에 오빠는 담벼락에 서서 웃고 있었다 나는 그 모습 오래 기억하고 싶어 붉은 얼굴로 골목을 막 뛰어다녔다 약력: 2020년 공직문학상 시부분 동상 수상. 시집으로 너에게, 첫/ 가장 깊은 곳의 초록이 있음. 2022년 경기문화재단 경기예술지원금 수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