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용인신문] 김종경 칼럼
이제 또 다른 줄서기인가?

이명박 후보가 대통령 선거에서 압승하자 일부 중앙 일간지들이 방송사들의 낯 뜨거운 ‘변신’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선거 직전까지 ‘BBK 의혹’을 집중 조명하다 ‘샐러리맨 신화’라며 일제히 찬사를 했다는 주장이다. 또 이 당선자가 타지도 않은 차를 따라 붙으며 생중계까지 했다는 비아냥거림까지 쏟아냈다.

그렇다면 이 보수신문들은 선거전에서 제 역할을 했다는 것인지, 아니면 친 이명박을 자임하는 것인지 최근 보도 행태를 보면 아리송하다. 중앙 일간지들도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정권교체에 관여했다는 것은 세상이 다 아는 일이다. 방송과 신문 모두 객관적인 보도로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켰다고 보기엔 석연치 않았던 일들이 너무 많았다.

한나라당 역시 대선 직전까지 일부 방송사와 매체의 보도에 대해 편파성을 주장하며 법적대응에 나섰다. 정권말기마다 나타났던 언론 학습효과 덕분에 터득했던 전략이다. 대신 보수 신문들은 철저하게 한나라당 울타리 역할을 했다. 한국 정치처럼 언론 역시 보수 대 진보를 통한 기회주의 매체로 전락한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대통령 선거철만 되면 방송사나 신문사 모두 괴롭다. 어느 쪽에 줄을 서느냐가 향후 5년간의 명운을 좌우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정권교체가 되면 공영방송은 거의 100% 경영진이 교체된다. 그래서 일부 언론사 임직원들은 낙엽 줄이 될까봐 온갖 수단을 다 쓴다. 그 결과 경영진과 일선 기자들까지 암암리에 패가 갈리는 서글픈 상황이 연출되기도 한다.

그런데 참여정부와 보수언론들의 관계를 보면 전쟁 수준으로 관계가 악화됐다. 무려 5년간 만남 없는 이별의 수순을 밟아왔다. 노무현 대통령은 당선자 시절부터 보수 언론의 상징인 조선일보와 인터뷰를 거부했고, 당선 일등공신인 진보적 인터넷 매체들을 우선시했다. 그러다보니 일각에서는 노 대통령의 언론관을 태생적 한계로 몰아붙이기까지 했다.

아이러니한 것은 이번 대선직후 보수신문들이 일제히 비판했던 공중파 방송사들의 낯 뜨거운 변신은 노무현 대통령 당선 때도 마찬가지였다는 것이다. 솔직히 방송사나 신문사 모두 당선이 유력한 후보들에 대해서는 용비어천가 수준의 보도를 준비한다. 신문사들도 마찬가지인데 아닌 척 하는 모습이 더 가관이다. 노무현과 김대중 당선 때도 마찬가지였는데…. 그럼에도 일부 보수신문들이 일제히 방송사들의 낯 뜨거운 변신을 보도, 당선자와 인수위에 고자질과 이간질을 하는 모습이다. 그런데 이같은 신문사들의 행태가 더 낯 뜨겁게 느껴지는 것은 왜일까.

대선 전 방송사와 신문사들은 TV방송의 중간광고 문제가 불거지면서 밥그릇 싸움으로까지 비화됐다. 아직도 보이지 않는 전쟁 중이다. 정말 심각한 일임에도 웃긴다. 그리고 대선 후 언론사들이 권력의 메커니즘에 편승하는 꼴을 보고 있노라면 낯이 더욱 뜨거워진다.

용인 지역정가도 마찬가지다. 대선직후 총선분위기 때문인지 벌써부터 지역정가가 술렁거리고 있다. 당선자가 확정되자 핸드폰 문자메시지가 줄을 이었다. 모두 일등공신임을 알아달라는 뉘앙스다. 총선 줄서기에 소리 없는 전쟁이 시작됐다. 그리고 한 쪽에서는 방송사와 신문사처럼 서로의 치부를 고자질하고 이간질을 하고 있다. 모두가 내 얼굴에 침 뱉기라는 사실을 아는지 모르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