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원장(해솔지기) 손성숙 |
구를 수 있고 콧물 닦을 수 있으면 자립 가능
우리나라 모든 장애아에게 도움 되는 삶이 꿈
“‘해솔’은 ‘해처럼 밝고 소나무처럼 강하고 푸르러라’의 줄임말입니다. 우리 아이들이 그렇게 자라는 것이 저의 꿈입니다. 그래서 저를 ‘해솔지기’라고도 부릅니다. 사춘기를 심하게 겪던 학창시절 우연히 대구 모 특수학교에서 장애아들을 지도하는 교사를 보고 큰 감명을 받았습니다. 아마 그때 저의 미래가 결정된 것 같습니다.”
지난 1990년 과천에서 시작된 손성숙 원장과 장애아들과의 인연은 서울 문정동을 거쳐 분당 이매동으로 이어졌고 이웃들의 따가운 눈초리는 지난 2007년 이곳 처인구 모현면 파담로 149번길 23-11로 이어져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 |
||
▲ 간이 수영장에서 물놀이 |
해솔은 용인에서는 유일하게 개인이 운영하는 공동생활가정(그룹 홈)으로 많을 때는 여덟 명의 중증(1~2급) 뇌 병변 아이들이 함께 했지만 부모님들의 이사 등 가정사로 현재는 네 아이가 함께하고 있다.
집 밖에서는 평범한 가정처럼 보일 정도로 평온하지만 집 안에서는 아직 걷지 못하는 유아 넷이 있는 가정과 흡사하다. 모두 의지는 있지만 자신의 힘으로는 할 수 있는 것이 없기 때문이다.
불편한 일상생활, 즉 식사, 용변 등 개인적인 생활부터 각종 예·체능을 경험하게 한 뒤 관심 있는 분야를 찾아준다. 학교 교육도 극성이라 불릴 만큼 적극적이며, 행동수정과 특수체육, 물리작업치료 등 재활에도 적극적이다.
![]() |
||
▲ 간이 수영장에서 물놀이 |
그 외 꿈여울야구단이란 체육활동이나 음악과 공연이 이루어지는 해솔제는 장애·비장애아동들이 함께하는 대단위 동네 축제다.
이들의 엄마가 된지 어언 20여년, 기저귀 갈아주며 키웠던 아이가 어느새 어른이 됐다. 의지가 강했던 몇 몇 아이들이 지금도 전화를 걸어 키워준 엄마를 즐겁게 하고 서글프게도 한다.
조 아무개씨는 삼육학교를 나와 대학교를 졸업하고 사회복지사 1급 자격을 취득했다. 현재 진로를 상담하고 있다.
왼쪽 손가락만 유일하게 움직일 수 있었던 남 아무개씨는 사이버대학교 문예창작과를 졸업하고 장애인시인으로 등단, 전동휠체어를 타고 다니며 장애인자립센터에서 강의하고 있다.
박 아무개군은 일반학교 특수반에서 공부하고 독학으로 재수한 끝에 현재 장로교신학대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이다. 졸업 후 진로를 걱정하고 있다.
손 원장의 아이들에 대한 지도는 혹독하다. 본인이 움직여서 할 수 있는 것은 될 수 있으면 도와주지 않고 직접 하도록 유도한다. 그러다 보니 아픈 마음을 많이도 참는다.
손 원장은 “도와주다보면 의지하는 마음이 생겨서 할 수 있는 행동도 못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지독 하리 만치 혹독하면 훗날 고마워하지만 그들을 가족처럼 받아줄 수 없는 현실을 볼 때 마음이 아프다”고 말했다. 모든 기업이 회사에 도움이 되는 직원을 원하기 때문이다.
![]() |
||
▲ 해솔식구와 친구들이 포즈를 |
그는 “우리 아이들을 지도하는 교사들에게 제 마음을 전달하면 좀 더 넓은 활동을 할 수 있을 것 같아 계속 공부하고 있다”며 “여기서 우리 아이들이란 모현면에 같이 살고 있는 아이들은 물론 우리나라 전체에서 힘든 나날을 보내며 의지를 키우는 모든 아이들을 일컬음”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