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31 (화)

  • 맑음동두천 1.1℃
  • 구름많음강릉 6.2℃
  • 맑음서울 2.9℃
  • 맑음대전 5.7℃
  • 구름많음대구 4.7℃
  • 구름많음울산 7.0℃
  • 구름많음광주 5.5℃
  • 구름많음부산 8.0℃
  • 맑음고창 5.7℃
  • 맑음제주 10.2℃
  • 맑음강화 1.7℃
  • 맑음보은 4.5℃
  • 맑음금산 5.9℃
  • 맑음강진군 7.7℃
  • 구름많음경주시 5.5℃
  • 구름조금거제 7.3℃
기상청 제공

[용인신문] 김종경 칼럼
용인시는 ‘한 지붕 세 가족’

 

[용인신문] 용인시는 불과 20~30년 만에 지역 정체성이 뿌리째 흔들리고 있다. 지방자치 꽃인 민선 시장들은 비리 복마전에 휘말렸고, 아파트에 이어 물류센터 난개발이란 불명예까지 얻고 있다.

 

외부에서 유입된 신공동체 바람이 민선시장과 국회의원, 지방의회 의석까지 대부분 장악하다 보니 원주민들의 상대적 박탈감 또한 매우 크다. 어쩌면 도시의 정체성마저 자연스럽게 회색 지대가 되었는지도 모른다.

 

심지어 부동산 가치가 지역 정체성의 기준이 된 것은 아닌지 의심스러울 정도로 도시는 아직도 혼란스럽다. 그런데 내년 초엔 준 광역시급인 ‘특례시’가 된다. 특례시엔 다양한 행정 권한이 부여되지만 아직은 산적한 난제가 많아 특례시는 기대 반, 우려 반이다.

 

우리나라에서 지역공동체와 정체성을 거론하기 시작한 계기는 지방자치제 도입부터다. 지역의 정체성은 내 고장 역사와 문화, 각종 체육활동 등으로부터 시작됐다. 심지어 담배 한 갑, 신토불이 운동, 자동차 기름 한 번을 넣어도 내 고장 걸 우선시했던 시절이 있었다. 당시엔 담배소비세가 지방세수의 10% 수준을 차지했으니 그럴 만도 했다. 이 같은 분위기는 지방자치에 대한 기대감의 발로였다.

 

하지만 용인시는 외부로부터 인구 유입이 많아지면서 베드타운화되었다. 대다수는 정주의식이 없었고, 부동산을 따라가는 신 유목민들이었다. 신공동체 리더 중에는 사리사욕에 눈이 멀어 정치권까지 기웃거렸다. 자연스럽게 지방의회도 정체성이 희미해졌다.

 

이럴 때 용인시는 시민들에게 강한 정주의식을 심어줬어야 했다. 하지만 시 행정력은 수지와 기흥구의 난개발 처리에 바빴고, 처인구는 도외시했다. 결국 ‘처진구’라는 자조 섞인 비판이 쏟아지기 시작했다. 그 사이 처인구는 난개발 전초전에 돌입했고, 미약한 도시기반시설 때문에 제2의 난개발이 진행 중이다.

 

이미 출‧퇴근 시간이면 용인~이천 간 42번 국도는 물론 마평동~원삼면을 관통하는 지방도, 용인~안성 간 45번 국도까지 차량 정체가 매우 심각하다. 경부고속도로 출퇴근 시간의 정체 수준을 능가할 정도다. 앞으로 처인구에 건립예정인 수만 세대의 아파트단지와 물류센터 등이 다 들어선다면 어떤 현상이 벌어질까? 또 원삼면 SK반도체 클러스터와 대규모 소재 ‧ 부품 ‧ 장비단지까지 들어선다면…. 게다가 30~40년 이상 된 처인구 공공시설물들이 신축 또는 이전을 기다리고 있지만, 그나마 있던 계획마저 멈춰선 채 제자리걸음 중이다.

 

용인시는 이 와중에도 공원일몰제를 빌미로 수지구 ‘고기근린공원’에 이어 ‘신봉3근린공원’의 토지보상비로만 수천억의 빚을 낼 계획이란다. 왜, 처인구의 근본적인 문제들을 외면한 채 제2의 난개발을 자초하는지 모를 일이다. 용인시를 바라보면 ‘한 지붕 세 가족’이라는 느낌이 드는 게 과연, 무리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