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용인시 전역을 돌아볼 때면 아쉬움과 놀라움이 교차할 때가 많다. 급속한 변화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다. 빠른 도시발전과정이 정상인지 의구심마저 들기도 하지만 자칫 급조된 도시공동체의 전형이 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앞선다.
난개발 오명 때문에 아파트 분양도 힘들었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이젠 용인은 수도권의 핫플레이스로 부상했다. 지난 대통령선거 결과에서도 보았듯이 이미 강남 수준에 버금가는 지역들도 꽤 있다. 최고급 브랜드 대형 쇼핑몰이 들어서고, 전국에서 인재들이 몰려들 정도로 살기 좋은 곳이 용인이다. 예로부터 ‘사거용인’이라고 했지만, 이젠 ‘생거용인’이라는 말이 더 자연스럽다. 부동산 투자의 메카로도 용인 만한 곳이 없으니까.
용인은 1996년 군 단위에서 시로 승격할 때 만해도 ‘도농복합시’라고 했다. 26년이 지난 현재는 ‘특례시’라는 다소 무거운 이름이 덧붙여졌다. 하지만 특례시보다는 ‘도농복합시’가 더 어울릴 정도로 도시면적과 인구비율로만 따져본다면 도시양극화가 극명해 보인다.
처인구는 면적으로 볼 때 농촌 비중이 크다. 그만큼 기회의 땅이기도 하지만 방치된 곳이기도 하다. 안타깝지만 아직도 도시기반시설이 미비하거나 엉망인 곳이 허다하다. 국가철도나 국지도 연결 문제가 이슈일 정도로 낙후됐다. 아파트 밀집 지역인 기흥구나 수지구에 비해 인구가 적다는 이유로, 아니면 집단민원이 적어서 예산 배정 순위에서 밀려났다는 의미다.
40년 된 낡은 처인구청을 비롯한 여러 공공시설물도 개선되지 않았다. 이 또한 예산부족 때문이란 핑계를 대지만, 설득력이 없다. 투표 인구 밀집 지역엔 수백억에서 수천억 원까지 천문학적인 예산을 쏟아붓기 때문이다. 결국 도시 불균형 문제는 예산편성의 양극화와 직결된다.
기자는 오는 6월 1일 치러질 지방선거를 앞두고 용인시장 출마예정자들을 인터뷰 중이다. 그런데 처인구에 대한 후보자들의 고민 수준을 들어보면 안타깝기 그지없다. 처인구 발전을 위해 제대로 된 공약을 밝힌 후보자들이 없다는 말이다. 분명한 것은 처인구가 용인시의 미래이고, 용인시의 미래가 바로 처인구라는 것이다.
어느 후보자 인터뷰를 보면 용인 밖의 사람들이 어디에 사느냐? 고 물으면 ‘용인’이란 말 대신 의도적으로 ‘수지’나 ‘기흥’, 또는 ‘죽전’에 산다고 말한단다. 그런데 그건 차라리 다행이다. 개발 초창기엔 수지에 살면서도 ‘분당(성남)’에 산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허다했으니까. 아직도 용인시민임을 감추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있나보다. 더 큰 문제는 기회의 땅 처인구가 용인이라는 걸 창피하게 생각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