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11 (수)

  • 맑음동두천 27.3℃
  • 구름조금강릉 28.7℃
  • 맑음서울 29.3℃
  • 구름많음대전 29.3℃
  • 대구 27.6℃
  • 흐림울산 28.1℃
  • 흐림광주 28.5℃
  • 부산 26.3℃
  • 흐림고창 30.2℃
  • 구름많음제주 30.7℃
  • 맑음강화 27.9℃
  • 구름많음보은 27.4℃
  • 흐림금산 27.5℃
  • 흐림강진군 29.7℃
  • 흐림경주시 27.4℃
  • 흐림거제 25.5℃
기상청 제공

우농(愚農)의 세설(細說)

공자 맹자 가까이 갈수록 현자가 많고

 

[용인신문] 두 갈림길에서 선한 길을 놔두고 선하지 못한 길로 가는 것을 보고 울었다는 고사가 양자곡기楊子哭岐이며, 착한 것을 놔두고 착하지 못한 것에 물들었음을 보고 울었다는 고사는 묵자읍련墨子泣練이다.

 

이는 회남자에 기록된 내용으로 유안이 제자백가의 말들을 모아 21권이라는 거질의 백과사전으로 집대성한 책이다. 후대 송나라 때 경학가들은 어려서부터 공부해야 하는 이유를 여기서 찾는다. 선한 것에 물들기 위함이라는 것이다.

 

15세때 공부에 뜻을 두었다 전하는 공자는 논어 첫 장에서 배운 것을 날마다 학습하라 한다. 이를 그의 제자 증자는 이렇게 실천했음을 밝히는데 ‘나는 날마다 하루 세 번에 걸쳐 나를 살피노라.’ 증자는 자신을 살펴 반성하기를 죽는 날까지 하루 세 번씩 했다는 인물이다. 그는 어째서 하루 세 번에 걸쳐서 자신을 반성의 고삐로부터 자유롭지 않게 했을까. 그가 써놓은 대학이라는 책에서 그 답을 찾아볼 필요는 있다.

 

경일장과 전십장으로 풀이된 그 책을 관통하는 일관된 주제는 한 줄로 요약된다. ‘수신제가치국평천하’가 그것이다. 몸을 닦고 집안을 가지런히 하며 나라를 치국한 다음에 이르러 평천하를 하라 한다.

 

이 말이 주는 함의는 상당히 충격적이기에 충분하다. 그래서 당시의 글 읽는 집안의 자녀들에게는 천하경륜이라는 동일한 대의가 있었다. 본래 대학은 태학으로 읽기도 하며 군주와 경대부의 맏아들을 가르치는 공부다. 서경 요전에 따르면 공경의 태자, 원사의 맏아들은 13세면 소학에 들어가 소절과 소의를 배우고, 18세면 태학에 들어가 대절과 대의를 배운다. 백호통에 따르면 8세에 소학에 입학하고, 15세에 태학에 들어가니 곧 태자의 예라 했다.

 

나라를 다스리고 천하를 편하게 하는 것은 모두 태학을 공부한 맏아들의 몫이라는 말이기도하다. 이것이 주자의 사서집주 이후로 모두는 수신해서 평천하에 이른다. 그러나 후대로 내려오면서 이런 것에 뜻을 두지 않은지 오랜듯하다. 그래서 사람은 공자 맹자에 가까이 위로 올라갈수록 현자가 많고, 공자 맹자로부터 아래로 멀어질수록 덜 현자가 많다고 말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