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4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1℃
  • 구름조금강릉 25.2℃
  • 구름많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8.4℃
  • 흐림대구 28.3℃
  • 구름많음울산 28.6℃
  • 박무광주 23.9℃
  • 구름많음부산 26.5℃
  • 흐림고창 25.1℃
  • 구름많음제주 28.5℃
  • 구름조금강화 25.0℃
  • 구름많음보은 26.1℃
  • 구름많음금산 27.7℃
  • 흐림강진군 25.6℃
  • 구름많음경주시 30.2℃
  • 구름많음거제 23.9℃
기상청 제공

환경/사회

외식하기 겁난다… 음식값 자고나면 ‘껑충’

냉면 한 그릇 가격 1만원 돌파
지난달 외식 물가 상승률 2.8%
떡볶이 5.4%↑·도시락 5.3%↑

용인신문 | 냉면 한 그릇 가격이 평균 1만 원을 넘는 등 외식 물가가 끝을 모르게 상승하고 있다.

 

특히 최근 3년 동안 외식 물가 상승률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치를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 물가 상승률은 2.8%로 전체 소비자 물가 상승률 평균치(2.7%)보다 0.1%포인트(p) 높았다. 외식 물가 상승률이 소비자 물가 상승률 평균을 웃돈 현상은 2021년 6월부터 36개월 연속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지난달 통계청이 조사하는 외식 품목 39종 중 23종의 물가 상승률이 평균을 상회했다. 물가가 하락한 품목은 없었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최근 넉 달 연속 평균치를 밑돌았지만, 오름폭이 확대됐다. 특히 식용유와 간장, 참기름, 고추장, 된장 등 기초 재료 상승 폭이 컸다.

 

통계청에 따르면 외식 세품 품목 39개 중 절반이 넘는 23개 물가 상승률이 평균을 웃돌았고 물가가 내린 품목은 없었다.

 

상승률은 떡볶이가 5.4%로 가장 높고 도시락(5.3%), 김밥(5.2%), 비빔밥(5.2%), 칼국수(4.3%), 쌀국수(4.2%), 김치찌개백반(4.1%), 구내식당식사비(4.0%) 등 순이었다.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인 ‘참가격’을 보면 지난 4월 서울 지역 김밥 가격은 평균 3362원으로 3년 전(2692원)보다 24.9% 올랐다. 비빔밥은 같은 기간 8846원에서 1만 769원으로 21.7% 상승했다.

 

칼국수는 7462원에서 9154원으로 22.7%, 김치찌개백반은 6769원에서 8115원으로 19.9% 각각 올랐다.

 

지난달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률은 8.7%로 전체 평균치의 3.2배에 달했고 그중에서도 사과와 배 등 과일류는 38.9%로 14.6배였다. 배는 126.3%, 사과는 80.4%, 양배추는 56.1% 등이었다.

 

반면 가공식품 부담은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었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2021년 12월부터 지난 1월까지 26개월째 전체 평균을 웃돌았으나 2월부터 지난달까지 넉 달 연속 평균을 밑돌았다.

 

가공식품 세부 품목 73개 중 27개가 전체 평균을 웃돌았고 나머지 46개는 밑돌았다. 특히 19개는 물가가 오히려 내렸다.

 

설탕이 20.4%로 가장 높고 소금(16.4%), 식용유(15.2%), 고추장(9.7%), 양주(9.5%), 건강기능식품(8.7%), 맛김(8.1%), 아이스크림(6.1%), 우유(6.0%) 등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에 반해 라면은 5.2% 내렸고 어묵(-5.0%), 김치(-4.1%), 소시지(-3.7%), 분유(-2.6%), 스낵과자(-2.1%) 등도 물가가 내렸다.

 

소비자단체는 최근 성명을 내고 가격 인상 자제를 촉구하고 있다.

 

소비자단체협의회는 성명에서 “외식과 가공식품 부담이 가중되는 서민 물가 안정을 위한다면 가격 인상을 자제해야 하고, 1분기 호실적을 낸 기업들은 가격을 올리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명 치킨프렌차이즈 홈페이지 화면 모습.

 

용인지역 내 음식점 메뉴 가격표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