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화)

  • 맑음동두천 14.6℃
  • 흐림강릉 10.7℃
  • 맑음서울 16.3℃
  • 대전 17.4℃
  • 흐림대구 16.8℃
  • 울산 15.6℃
  • 구름많음광주 18.4℃
  • 부산 16.0℃
  • 맑음고창 14.6℃
  • 흐림제주 16.0℃
  • 맑음강화 15.6℃
  • 흐림보은 16.4℃
  • 맑음금산 16.5℃
  • 구름많음강진군 16.3℃
  • 흐림경주시 15.9℃
  • 흐림거제 16.1℃
기상청 제공

[의학칼럼] 비만과 다이어트

정다운 의사의 건강부자 만들기
박열수 삼성진가정의학과 대표원장(031-333-7585)

무더운 여름이 이제 곧 지나가고 천고마비의 계절이 다가온다. 과거에는, 말이 살찐다는 이 표현이 풍요롭게 느껴졌지만 지금은 왠지 부담스럽게 느껴진다. 많은 사람들이 몸짱이 되기 위해 운동과 다이어트를 한다. 하지만 제대로 알고 다이어트를 하는 걸까?
우선 자신의 몸 상태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많은 사람이 적정체중보다 많은 체중을 단기간에 줄이기 위해 무리하게 굶거나 운동을 하다가 몸이 고장 나는 경우를 많이 본다. 10kg 감량보다는 건강하게 감량한 1kg을 잘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우리 몸의 대사가 제대로 역할을 하고 있지 않다면 굶어도 살은 안 빠지고 몸은 점점 더 무거워진다.

일부환자는 갑상선기능저하증인 경우도 있고 다낭성 난소증후군인 경우도 있다. 또한 당뇨나 고혈압, 고지혈증에 대한 검사도 필요하다. 비만이 되면 향후 당뇨나 고혈압의 발병확률이 높아지는데 이러한 질환들은 서로 고리를 만들어 서로 더욱 악화시키는 영향을 끼친다(이를 대사증후군이라고 한다). 그래서 약물 선택 시에도 환자의 몸 상태를 고려하여 투약하는 것이다. 특히 살빼는 약으로 알려진 식욕억제제는 혈압 등의 심혈관계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조심해서 투여해야한다. 또한 나의 적정체중은 얼마이고 체지방과 근육량은 얼마인지, 나에게 적절한 운동은 어떤 것인지도 알고서 운동을 해야 한다. 유산소운동이 좋다지만 시간이 지나면 근력운동도 병행을 해주어야 요요가 오지 않고 체중을 유지시킬 수 있다.

둘째로 나의 생활습관을 되돌아 봐야한다. 칼로리를 계산해서 먹지만 불규칙하게 먹고 있는 경우도 있고, 기호식품처럼 끊지 못하는 음료수가 원인이 경우도 있다. 여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 다이어트 일기이다. 하루에 먹는 것을 물까지 포함해서 모두 꼬박꼬박 적고, 칼로리로 환산하고, 하루의 운동량도 적어둔다. 이렇게 한달을 기록하다 보면 자신을 되돌아보게 되고, 의외로 무엇이 원인인지 쉽게 알게 된다. 또한 중요한 것이 운동인데 운동은 오래할 수 있는 종목을 택해서 1주일에 3~4회 정도 할 수 있는 것을 택하여 하자. 나이가 많은 분들이라면 아쿠아로빅이나 스포츠댄스를 권해보고 싶다.

아쿠아로빅은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고 운동량을 늘일 수 있고, 스포츠댄스는 균형감각을 키워주어 낙상에 의한 골절의 위험도를 줄여주기도 한다. 그럼 한달에 얼마나 감량하는 것이 적당할까? 개인차가 있겠지만 한달에 2kg정도 감량하는 것이 적절하다. 하루에 500kcal정도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이상적으로는 음식에서 250kcal 덜먹고, 운동으로 250kcal 더 소모하면 된다. 식사요법의 원칙은 장기간 실천 가능한 것으로 영양결핍에 빠지지 않도록 필요한 모든 영양소를 환자의 열량 요구량보다 적게 섭취하는 것이다. 하루에 800kcal이하로 하는 초저열량식사요법은 부작용이 심하고 치료 후 요요현상이 잘 생긴다.

마지막으로 약물요법에 대해 살펴보자. 대한비만학회에서는 약물치료의 원칙으로 체질량 지수{BMI; 체중/키2(kg/m2)}가 23~25인 과체중인 경우에는 우선 식사요법과 운동요법을 먼저 시행하고, 23~25이면서 당뇨, 관상동맥심질환, 고혈압, 고지혈증이 있는 경우에는 약물치료를 고려해 볼 수가 있다. 체질량 지수가 25~30인 경우에는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에도 약물요법을 고려하고 허리둘레가 남자는 90cm, 여자는 85cm이상인 경우에도 약물요법을 고려할 수 있다. 체질량지수가 30 이상인 고도 비만인 경우에는 허리둘레나 위험인자에 관계없이 약물요법을 시행할 수 있고 위험인자가 있다면 초저열량 식사요법이나 수술까지 고려해 볼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약제들은 더 적게 먹을 수 있도록 도와주거나, 흡수를 적게 도와주는 것이다. 지방을 분해 하였다고 하여도 운동으로 적절히 연소시키지 않으면 다시 지방으로 축적된다. 누구나가 이뻐지고 날씬해지기 위해서 다이어트에 관심을 기울인다. 하지만 마르기 위해서 흡연을 한다거나 약물에만 의존하는 것은 건강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결코 성공할 수 도 없다. 내 몸의 상태를 알고 적당한 식사와 운동으로 관리한다면 내 몸은 더 건강해 지고 날씬해 질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