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화)

  • 맑음동두천 14.6℃
  • 흐림강릉 10.7℃
  • 맑음서울 16.3℃
  • 대전 17.4℃
  • 흐림대구 16.8℃
  • 울산 15.6℃
  • 구름많음광주 18.4℃
  • 부산 16.0℃
  • 맑음고창 14.6℃
  • 흐림제주 16.0℃
  • 맑음강화 15.6℃
  • 흐림보은 16.4℃
  • 맑음금산 16.5℃
  • 구름많음강진군 16.3℃
  • 흐림경주시 15.9℃
  • 흐림거제 16.1℃
기상청 제공

오·총 해결의 전제조건, 정파를 초월한 화합

기자수첩

지난달 환경부 측이 오염총량제와 관련, 경안천의 2011년 목표수질을 BOD 4.1ppm으로 통보 한 후 개발에 목말랐던 동부권 주민들은 망연자실한 모습이다.

환경부 측이 BOD 4.1ppm에 대한 개발부하량을 언급하지 않아 일정 수준의 개발여지가 남아있다는 것이 용인시 측의 설명이지만, 그동안 2020도시기본계획과 서정석 시장의 공약 등에 큰 기대를 걸었던 주민들의 실망감은 예상을 훨씬 넘어서는 분위기다.

시 관계자에 따르면 그동안 용인시는 광주시 측이 환경부에 제출한 5.5ppm에 기준을 두고 목표수질을 설정했다.

지난 5월 시 측이 환경부에 5.47ppm으로 신청한 것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환경부의 2015년 목표수질은 3.5ppm인 것으로 밝혀졌다.

환경부 측이 의도적으로 자신들의 목표수질을 공개하지 않았다는 의혹도 있지만 결국 용인시도 환경부의 목표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던 것이다.

얼마 전 시의회 측이 상황의 심각성을 인식한 듯 결의문을 채택하고 환경부를 항의 방문했다.

하지만 이를 바라보는 시민들의 반응은 냉담하기만 하다. 좀 더 일찍 움직여주길 바랬던 아쉬움의 표현이다.

오·총제는 용인 발전의 마지막 보루라고 할 수 있는 동부권 개발의 핵심이다.

그러나 그동안 시와 시의회, 국회의원, 도의원 등 선출직 정치인들은 오·총의 해결을 위해 어떤 활동을 해 왔는지 돌아봐야 할 것이다.

사실 오·총 문제는 지난 200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부터 발등에 불이 떨어진 현재까지, 지역의 정치인들은 어떤 해법을 마련해 왔는가.

용인에는 동부권과 서부권에 각각 정당이 다른 두 명의 국회의원이 있다.

오·총 해결이 당면과제인 동부권의 국회의원은 국회 재정경제위 소속이고, 서부권 국회의원은 환경부를 담당하는 환경노동위 소속이다.

동부권 국회의원은 자신의 정치생명이 걸린 일로 사활을 걸었지만 이마저도 늦은 감이 없지 않은 느낌이다. 또 환경노동위 소속의 의원은 과연 시 전체 발전의 핵심인 문제에 대해 어느 정도나 관심이 있었는지 의문이다.

물론 가장 큰 문제는 시와 시의회다. 현재까지 시 차원에서 선출직 정치인들을 모두 모아놓고 오·총과 관련한 브리핑 한 번 하지 않았다고 한다. 용인시의 가장 큰 현안임에도 말이다.

시민들은 이제라도 정치인들과 시 행정부가 정당과 파벌을 초월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법을 제시해주길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정치인들은 자신의 지역구뿐만 아니라 시 전체의 발전을 위해 시민들이 뽑아준 공복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