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종호 원장(서울예스병원 신경외과) 김종호 원장이 진료하는 모습 용인신문 | 스마트폰이 현대인의 생활에서 필수품으로 자리잡은지 오래다. 하지만 스마트폰 과사용에 따른 증후군이 보고되고 있다. 이른바 VDT 증후군이다. VDT 증후군이란 Visual Display terminal의 약자로 영상디지털기기 사용으로 발생하는 병을 말한다. VDT 증후군을 유발하는 가장 대표적인 기기가 스마트폰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발표에 따르면 목 디스크 환자는 2015년 87만여 명에서 2022년 약 190만 명으로 7년 사이 2배 이상 늘었다. 계속 증가세를 보이는 목 디스크의 예방과 치료에 대해 알아본다. 2. 경미한 초기 증상은 비수술적 방법으로 개선 목 디스크는 초기이거나 증상이 경미한 경우 자세 교정과 약물이나 운동, 물리 치료만으로도 호전될 수 있다. 하지만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치료를 진행한 후에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으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보통 신경외과 전문의가 MRI 등 정밀검사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진단한 후 약물이나 주사 치료를 시작해 6주 정도 병행한 후에도 치료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 수술 여부를 결정한다. 최근에는 내시경을 이용한 디스크 제거
용인신문 | 이동해야겠다는 마음이 들어 밤 버스를 타고 길을 나섰다. 뭉개고 있는 시간이 있는가하면 어떤 때는 훅 떠나가게 된다. 당일 아침에 이동하기로 결정했다. 국경으로 가자! 과테말라로 넘어가자. 밤 11시 버스를 타고 6시간을 달려 아침 6시에 멕시코 국경 근처 툭스툴라에 도착했다. 과테말라 넘어가는 버스가 한 시간 후인 7시에 있고, 저녁 9시에도 있다고 해서 좀 힘들어도 바로 넘어가기로 했다. 현지인들이 주로 타는 짧은 노선 로컬버스도 있다고는 하는데, 국경에서 문제 생길 수도 있고 치안 확인도 할 겸. 두 달간 지냈던 멕시코도 이제 안녕. 다른 루트에서는 가끔 돈을 요구하기도 한다는데 별 말없이 도장을 찍어줬다. 국경 넘는 길에 환전상들이 따라붙는다. 인터넷으로 검색한 환율보다 훨씬 안 좋은 환율을 제시하지만 현금을 조금이라도 가지고 있어야 맘이 편할 것 같아서 가지고 있는 페소 중 일부를 바꿨다. 이건 정말 잘한 선택이었다. 돈을 쥐어주고 환전상은 얼른 내려버린다. 1000을 줬으니 330을 줘야 하는데 300만 줬다. 앗 코베였다… 국경에서는 돈 단위와 물가가 바뀌면서 바보가 된다. 떼인 돈은 7000원 정도. 가난한 배낭여행자에겐 큰돈이지만
용인신문 | 2024년 겨울과 2025년 봄. 수많은 사람이 광장에 모였다. 난도질당한 민주주의는 간신히 붙들었지만, 아물지 않은 상처는 깊고 아픈 여운은 몸서리치게 움찔거린다. 광장은 잠시 공허하다. 잠시일 뿐이다. 다시 시끌벅적 모여야 하는 게 광장이기 때문이다. 삼삼오오 모인 사람들은 무슨 말을 할까. “저 사람들은 죽어도 안 변해” “아냐, 사람은 누구나 변하지!” 이런 대화도 할 것이다. 사람은 변하기도 하고, 안 변하기도 한다. 변화의 방향에 차이가 있을 뿐, 바람직한 방향과 그렇지 않은 방향이 있다. 그렇다고 해도 대체로는 ‘인간은 안 변한다’는 확신이 더 많이 생겼을 2024년 겨울과 2025년 봄에, 우리는 나쁜 사람에게 지지 않았다.‘아직 끝나지 않았습니까/꼭 끝난 줄 알았네/이 노래 언제 끝납니까/안 끝납니까/끝이 없는 노랩니까/그렇다면 신청하지 않았을 거야/제가 신청한 게 아니라구요/그랬던가요 그 사람이 누굽니까/이해할 수 없군/ (중략) /전 이제 지긋지긋합니다/다른 노래를 듣고 싶다구요/ (중략) /제발, 이 노래 좀 그치게 해. 이 씨’라고 쓴 이희중의 <참 오래 쓴 가위>에 포함된 은유와 메타포는 독자에 따라 해석을 자
용인신문 | PTSD,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현대의학에서 PTSD가 질병으로 인정받은 시기는 20세기 초반으로 알려졌지만 길가메시 신화에도, 그리스의 역사학자 헤로도투스의 기록에도 비슷한 증상을 확인할 수 있다. 20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PTSD는 시간이 갈수록 개인에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고통의 곁에 우리가 있다면』은 저자 채정호의 30년이 넘는 연구를 기록한 사회적 트라우마와 그 대응방안을 수록한 저술이다. 저자는 생을 압도해버리는 사건을 겪은 이들이 점점 고립되는 이유를 밝히며 이 문제가 결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에서 관심을 갖고 대응해야 할 문제임을 피력한다. 이는 ‘우리’라는 말이 자주 쓰이는 우리사회에서 특히 문제가 된다. 우리 사회가 개인의 삶이 조직, 지역사회, 국가 등으로 확대되기 쉬운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PTSD는 개인을 너머 사회구조적 모순과 연결되어 있는 문제이므로 해결의 주체가 개인을 뛰어넘어야만 한다. PTSD의 극단에는 더 이상이 위험에 노출되기를 꺼려서 고립되는 개인이 존재한다. 저자는 이들을 고립되지 않게 함께 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그래서 환자들이 누군가와 연결되어 있
용인신문 | 1905년 9월 20일 대한제국 고종황제는 미국에서 온 앨리스 루스벨트 공주와 덕수궁 중명전에서 오찬을 갖고 극진히 환대했다. 앨리스 루스벨트는 미합중국 제26대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큰딸이다. 고종은 일본제국의 국권침탈 야욕을 저지할 나라는 오직 미국뿐이라고 여겼다. 고종의 환대는 눈물겨울 정도였는데 미국 공주는 안하무인으로 굴었고 시건방졌다. 엘리스는 고종의 앞에서 시가를 피우고 거침없이 행동했다. 앨리스는 고종을 만났던 당시를 기록으로 남겼는데 “황제와 마지막 황제가 된 그의 아들은 우리 공관 근처의 궁궐(덕수궁)에서 남의 눈을 피해 생활했다. 키 작은 황제는 자신의 팔을 내주지 않은채 내 팔을 잡았고, 같이 서둘러 좁은 계단을 내려가 평범하고 냄새나는 식당으로 들어갔다”라고 기술했다. 1 1905년 7월 29일 윌리엄 태프트 미 육군 장관은 대규모 사절단을 이끌고 일본제국을 방문, 가쓰라 타로 총리대신과 밀약을 맺었다. 일본의 조선 침략을 미국이 양해하고 미국의 필리핀 지배를 일본이 묵인한다는 내용의 가쓰라-태프트 밀약이 그것이다. 태프트 일행과 함께 일본을 방문했던 앨리스 루스벨트는 일본이 조선을 식민지로 삼기로 한 것을 진작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