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4 (목)

  • 맑음동두천 10.5℃
  • 구름조금강릉 16.2℃
  • 맑음서울 12.3℃
  • 구름조금대전 11.7℃
  • 흐림대구 18.1℃
  • 흐림울산 19.9℃
  • 흐림광주 13.0℃
  • 흐림부산 18.1℃
  • 흐림고창 9.4℃
  • 흐림제주 14.8℃
  • 맑음강화 11.3℃
  • 구름조금보은 11.5℃
  • 구름많음금산 11.7℃
  • 흐림강진군 13.9℃
  • 구름많음경주시 19.1℃
  • 흐림거제 16.6℃
기상청 제공

오광탁의 열개의 별 이야기

열 개의 별 이야기 (계 癸 - 상상의 날개를 가진 자)

계수(癸水)는 모든 것의 시작을 의미한다. 그것은 생명수 같은 물이 되어 생(生)을 만드는 힘이 있다. 물론 태어남은 축복이 되고 다양한 존재의 변신이라고 말할 수도 있지만, 사실은 그것은 태어남의 고통을 의미하기도 한다. 모든 우연을 당연함으로 시작하는 계수는 안개와 구름이 되어, 빗물처럼 내려와 맑은 시냇물과 옹달샘도 되지만, 사나운 눈꽃과 얼음도 된다. 계수(癸水)는 다변(多變)하다. 결코 한가지로 정의내릴 수가 없는 어떤 성질이 된다.

물과 불은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바꾸고 변화시키는 성질이 있다. 특히 계수(癸水)와 정화(丁 火)는 그것을 재촉한다. 정화는 죽음을 만들고 계수는 생명을 만든다. 사실 죽음보다 생명이 더 잔인하다는 것을 사람들은 잘 모르지만, 살아 있는 것들이 언제나 더 위험하다는 것을 안다면 계수(癸水)의 성질이 얼마나 괴로운 것인지 알게 될 것이다.

창의성과 창조성은 변혁의 성질을 가지고 있고, 거기엔 새로움의 기쁨과 놀라움도 있지만, 낯선 느낌과 섬직한 공포도 함께 있다. 그래서 계수(癸水)에겐 기쁨과 공포가 함께 한다. 씨앗인 신금(辛金)에 계수(癸수)의 물을 주면 매끄럽고 동그란 모습의 씨앗은 터져 뿌리를 내리고 가지를 뻗어 올리면서 괴상한 모습으로 변한다. 계수는 편안하고 고요한 죽음의 상태를 삶으로 바꾸면서 형태를 변질시키고 새로운 모습과 성질을 가지게 만들다. 어쩌면 그것은 괴기스러울 수도 있고, 어쩌면 그것은 새로움의 기쁨이 될 수도 있겠지만, 생명에 대한 느낌은 형태를 잡을 수 없는 혼돈의 느낌으로 다가오는 것이 다반사다. 그래서 계수에겐 걱정근심이 많아진다.

계수(癸水)는 어쩔 수 없이 배반의 성질을 갖는다. 화살이 활을 떠나는 것처럼 바다를 버리고 구름이 되어 떠나고자 하는 것이 계수가 된다. 계수는 늘 꿈을 꾼다. 자신이 무엇이 될지 알지 못한다. 형태가 없기도 하고 목적도 없기 때문에 그냥 삶이란 인생의 여정을 고스란히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여행자의 삶이며 우리가 태어난 삶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흐르는 물처럼 어떤 세상을 만날지는 가보지 않고는 모른다. 계수의 삶은 희망과 불안이 함께 하는 우리들의 삶과도 비슷하다.

사람들이 계수를 싫어하는 이유는 결코 그 어디에도 고정할 수 없는 성질 때문이다. 상상력과 창의력, 말도 안 되는 험한 환상이 계수 안에 존재하지만, 그것은 생명의 특성과 닮아있다. 그러니 다루기도 어렵다. 한마디로 계수는 우리가 예상할 수 없는 홍수와 가뭄이며 폭풍우를 몰고 오는 먹구름도 된다. 불을 다루는 것보다 더 힘든 것이 물이라는 것을 예전 사람은 알았기 때문에 치수(治水)에 신경을 썼다. 하지만 그래도 자기사주에 계수가 있다면, 변덕스런 성격으로 나오게 되고, 불안과 희망이 교차하는 심한 조울(躁鬱)을 겪기도 한다.

불평불만, 그리고 결코 다룰 수 없는 색깔 없는 자신을 알고 싶어 하는 성향, 그러면서도 희망에 찬 막연한 꿈들을 가지고, 미몽에서 탈피해서 세상을 알고자 하는 무모함까지, 생명의 색깔을 가진 계수(癸水)는 고집스럽게 깊고 푸르다. 물은 오염되기를 싫어하며, 오염되어지려는 순간 그는 어디론가 도망쳐버린다. 알지도 못하는 색깔 없는 자신을 지키고자 하는 계수(癸水)의 삶이란 그렇게 마음 둘 곳 없는 떠돌이의 인생만이 남는다.

생명이란 게 원래 태어나고 움직이고 늙고 병들어 죽는 것이다. 영원성을 가질 수도 없으며, 쉽게 잊히고 쉽게 사라진다. 하지만, 정말 그것으로 끝일까? 우리가 산다는 것은 정신없는 여정을 겪는 계수의 삶이겠지만, 끝은 아니다. 계수, 갑목, 을목, 병화, 정화, 경금, 신금, 임수가 무토와 기토의 토대위에서 봄여름가을겨울의 여정을 겪고 나면 또 다른 세상이 열리게 된다. 그것은 분명 한층 더 발전되고 진화된 세상을 열어갈 것이다. 그냥 오늘 하루를 열심히 살아보려는 것, 어쩌면 그것이 계수(癸水)의 최선이 될지도 모른다. 언제 죽을지, 언제 잘될지 내가 무엇이고 무엇이 될지 알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우린 살아있고, 우린 살아간다. 바람이 불기에 우린 사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