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春秋)시대에 송(宋)나라 양공은 예로 천하의 패자(覇者)를 꿈꾸나 초나라가 눈엣 가시다. 강을 사이에 두고 송나라가 먼저 진을 치고 초나라 군사가 강을 건넌다. 공자 목이가 절호의 기회라며 닥공을 주장한다. 양공 왈 준비 안 된 물속의 적을 치는 건 인(仁)의 군대가 할 짓이 못된다 군대가 강을 건너 진을 칠 무렵 또 공격을 건의 한다. 양공 왈. 적군의 전열이 갖추지도 않았는데 치면 적의 병사들 목숨만 뺏는 격이 되니 이 또한 인(仁)의 군대가 할 짓이 못된다 결국 전열을 가다듬은 초군에 밀려 송나라는 대패하고 양공 또한 부상으로 죽는다. 세상은 주제넘게 베푸는 자를 일러 송나라 양공의 어리석음이란 의미의 송양지인(宋襄之仁)이라 한다. 과연 그럴까. 그는 7세 전에 이미 상서어(上書語)로 편지를 보낼 때 올림(上)과 문안 인사를 드린다는 드림(呈)을 구분 했으며 왕이 된 후에도 신하의 상소문 말미에 상서어는 올림이나 상서, 배상, 근상, 상장, 복배상 등을 써야 한다고 지적하는 예학에 밝은 제후다. 좌전이나 사략, 25사 등을 보면 그는 병법에 능통했고, 예학 또한 밝다고 전한다. 훗날 맹자는 양공을 일러 어진 이의 표상이라며 회맹을 이루지는 못했지만
사마천은《사기(史記)》〈전단열전(田單列傳)〉편에서 말한다. 제나라 화읍(畵邑)은 현자 왕촉이 산다. 연(燕)의 장수 악의(樂毅)는 제나라를 정벌하면서 화읍 주변의 30리 안으로는 진군을 금한 뒤 왕촉에게 귀순은 아니어도 연나라에 좋은 말 한마디만 해주면 1만 가구의 후(侯)로 봉하겠다고 말한다. 대신 거절하면 화읍을 생매장 하겠다 겁박한다. 현자 왕촉은 도대체 나를 어찌 보고 하더니 입고 있던 선비복 학창의를 방바닥에 편 뒤 손가락을 깨물어 열 두 자의 대련(對聯)을 쓴다.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으며, 정숙한 여인은 지아비를 두 번 바꾸지 않는다(忠臣不事二君, 貞女不更二夫). 그리고 스스로 목을 맨다. 한국 정치사에 전무후무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안철수 현상이다. 정치 초짜가 아이돌 팬클럽을 능가하는 성원으로 지난 대선 때 부동의 박근혜 대선 후보의 간담을 서늘하게 만들었다. 조직도 없고 당도 없고 인맥도 없다. 그냥 딸랑 안철수 이름 석 자 뿐이다. 국민들은 안철수란 이름에 열광했다. 그런 그가 1년이 지난 지금 동력을 잃어가고 있다. 이면에 벌어지고 있는 문자 그대로『지랄』같은 일과 무관치 않다. 윤여준의 귀환이 그것이다. 그의 귀환은 이미 예견됐
하나님의 이름도 시인 앞에 오면 한갓 낱말에 불과하다. 21세기 지성사에서 가장 중요한 코드는 글쓰기다. 그 중심에 시(詩)가 있다. 공자는 시 삼백 편을 한마디로 사무사(思無邪)라했다(子曰, 詩三百에 一言以蔽之하니 曰 思無邪 論語 爲政). 人口에 회자되는 문장을 경책(警策)이라 하는데 시인에게 있어서 자신이 지은 시가 사람들 입에 외워진다는 것은 큰 영광이다. 더 이상 인간세계는 읽을 만한 시가 없다며 오직 달만 바라봤던 그 오만의 절정에 이른 시인 이태백이 가장 존경했던 인물이 맹호연이다. 그는 당나라 양주(襄州) 양양(襄陽)의 소지주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이름은 알려진바 없고 자(字)를 호연(浩然)이라 하고, 양양 남문 밖에 산다하여 맹양양(孟襄陽)으로 불린다. 스스로를 맹자의 후손이라 했으며 일찍이 녹문산(鹿門山)에 은거하여 공부에 힘써 불혹에 이르러 장안(長安)으로 올라와 과거를 봤으나 번번히 낙방한다. 겨우 먼저 등과한 벗들의 추천으로 늘그막에 미관말직을 얻는다. 결국은 이마저도 굴욕적이라며 은둔하여 시를 쓴다. 그의 시 숙건덕강(宿建德江)에서 야광천저수(野曠 天低樹) 강청월구인(江淸月近人) 대구(對句)를 이태백은 무릎을 꿇고 읽었다 한다. 이 대
당년에 거두려면 곡식을 심고. 십년에 거두려면 나무를 심고. 백년에 거두려면 사람을 심고. 영원히 거두려면 복음을 심으라. 이 말의 출전은 一年樹穀 十年樹木 百年樹人중국 춘추시대 제(齊)환공(桓公)을 패자(覇者)로 만든 관자(管子)의 인재 관인데, 제주도 한라산 기슭 해안리에 살던 일립(一粒)이란 소년이 서당을 다니면서 읽었던 관자에서 따온 말이라 한다. 훗날 일립은 목사가 되는데 정암(正岩)박윤선박사. 추양(秋陽) 한경직 목사와 더불어 한국교계 전설이 된다. 정암은 7서 사서삼경를 뗐고, 또 외웠고, 일립과 추양은 4서 논어.맹자.중용.대학.만 뗀다. 일립이 세운 한국성서학교 천마홀(당시 학생식당)에서 맹자의 한 대목을 물었다. 정암은 침묵을 하더니 15초쯤 지나자 답변을 했다. 일립에게 물었다. 허허허 웃으시더니 20초 만에 답변이 왔다. 추양에게 물었다. 글 세. 하도 오래된 기억이라. 하더니 25초 만에 답변이 돌아왔다. 아. 이 쩌는 전율. 사서삼경과 무경칠서를 합쳐 14경이라 하는데 고전을 읽다가 모르는 게 있어서 송담께 전화로 물었다. 10초 만에 답변이 돌아왔다. 대략 20년 전쯤 언젠가 두계역 근처에서 한송에게 물었다. 3년 동안 끙끙 앓던
다사다난했던 2013년 계사(癸巳-흑사검은뱀)년이 지나가고 2014년 갑오년(甲午年)이 왔다. 갑오년은 60간지 중에 31번 째의 해인데 음양오행에서 갑오년의 갑(甲)은 청색을, 오(午)는 말을 의미해서 청말의 해라 한다. 일반적으로 말띠는12년 주기이며 12년 후인 2026년은 붉은 말띠, 2038년은 황 말띠, 2050년은 백 말띠, 2062년은 흑 말띠, 60년 후인 2074년이 되어서야 다시 갑오년 청 말띠가 된다. 천간(天干)을 오행(五行)으로 풀이하면 갑을(甲乙)은 목(木), 병정(丙丁)은 화(火), 무기(戊己)는 토(土), 경신(庚申)은 금(金), 임계(壬癸)는 수(水), 목은 푸른색 청(靑), 화는 붉은색(赤), 토는 노란색(黃), 금은 흰색(白), 수는 검은색(黑)이며 말띠이다. 쉽게 말해서 갑오생은 청마, 병오생은 적마, 무오 생은 황마, 경오생은 백마, 임오생은 흑마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갑목(甲木)은 푸른 청색 동방(東方)이며 봄(春)의 시작을 의미한다. 더욱이 오(午)는 시각으로 보면 한 낮인 정오를 의미하는데 뜨거운불이 성한 시각에 갑목(甲木)이 목화생(木火生)격으로 나무에 생(生)의 기운을 받아서 불이 활활 타오르는 형국이다. 명리
공산당 혁명 때 위기에 몰려 도망을 가다 막다른 골목에서 더 이상 도망 갈 곳이 없어지자 살기위해 똥통으로 뛰어든다. 가진 것 이라고는 산속에서 게릴라전하면서 나무에 꼽아 물 빨아먹으려고 주머니 속에 넣어둔 빨대하나. 그 빨대를 입에 물고 자신을 잡으러온 적군이 돌아가기까지 재래식 똥통 안에서 코딱지를 뜯어먹으면서 사흘 열 끼니 즉 삼일을 버틴다. 이런 인연으로 중국은 지금도 그의 생명의 은인격인 재래식 변소를 바꾸지 않는다고 한다. 그는 8세 때 아버지한테 작살나게 터진다. 이유는 삼국지 책을 읽느라 그날 팔아야할 배추를 팔아오지 못해서. 아버지 매에 못 이겨 마을 공동 저수지에 몸을 던져 삼일을 버틴다. 속으로는 몇 번이고 돌아가서 아버지 잘못했습니다라고 용서를 빌고 싶었다고 한다. 그렇지만 무슨 깡다구인지 이를 악물고 버텼다. 배고플 땐 콧구멍을 쑤셔서 코딱지를 뜯어먹었다고 한다. 그렇게 삼일을 지나고 나니까 아버지 왈. 내가 명색이 남자다. 남자 입에서 잘못했다고 말 할 순 없지 않는냐. 남자는 절대로 용서를 비는 게 아니다. 내가 네 맘 알았으니까. 이쯤에서 화를 풀라. 이때 아들은 아버지께 두 가지 조건을 제시한다. 배추장사는 하루 8시간만 한다.
전국시대 조괄의 아버지 조사(趙奢)는 대장군이 되기 전엔 조나라의 세금 담당 관리다. 사마천 사기 '염파인상여열전廉頗藺相如列傳혜문왕(惠文王)은 집권초기에 흉흉한 민심을 달래기 위해 증세 없는 복지를 말했지만 문제는 돈이었다. 세금담당관 조사는 고액체납자들을 닥달한다. 그 첫 번째가 혜문왕의 동생 평원군平原君, ?~서기전 251으로 이름이 승(勝)이며 3000식객을 두었고 맹상군춘신군신릉군과 전국(戰國) 사군(四君)의 한 사람으로 재상 노릇을 세 번 씩이나 해먹은 인물이다. 조사는 평원군이 형의 권세를 믿고 세금을 내지 않은 사실을 알고 법에 따라 평원군의 최측근 집사 아홉 명을 숙청해 버린다. 소식을 들은 평원군은 대노하여 조사를 죽이려 하지만 국법은 공과 사를 구분한다는 논리로 맞선다.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지도 꼭 일 년이 됐다. 복지 약속은 지켜지고 있는가. 공약은 실천이 중요하다. 2012년 7월10일 출마선언문은 이렇게 시작된다. 정책을 만드는 것보다 실천이 중요합니다. 그동안 정책이 없어서 국민이 불행했던 것이 아니라, 약속이 실천되지 않아 문제였습니다.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는 일에는 저의 정치생명을 걸고 싸워 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입니다. 그에게
장군께서는 그를 만나렵니까. 당신이 그를 데려올 수 있겠소? 찾아가서 볼 수는 있지만 억지로 데려올 수는 없지요. 그렇다면 어찌해야 한단 말이오. 장군께서 몸을 굽혀 찾아가셔야 합니다. 이 사람은 찾아가서 만날 수는 있지만 억지로 오게 할 수는 없다. (此人加就見 不可屈致也)『삼국지』「촉서蜀書」〈제갈량諸葛亮 전傳〉에 나오는 이 말은 신야(新野)에 주둔하고 있던 유비에게 단복 서서가 했던 말이다. 유비는 하남성(河南省) 남양(南陽)땅 초야 포의(布衣)제갈량에 삼고초려(三顧草廬)한다. 은(殷)나라 탕왕(湯王)은 삼고지례(三顧之禮)로 이윤(伊尹)을 맞이한 전고(典故)가 있고, 누루하치의 증손이자 순치제의 아들 강희제는 명신 이곽을 얻기 위해 칠고지왕(七顧之往) 일곱 번 왕래하다의 노고를 아끼지 않는다. 이는 모두가 통합을 향한 통큰 결정이다. 지금 박근혜 대통령에게 필요한 것은 삼고초려 할 인물이 아닐까. 작가 이병주는 대하소설『바람과 구름과 비』1권 32쪽에서 말한다. 도리에 어긋나면 한 그릇의 밥도 얻어먹어서는 안 되지만 도리에 맞는다면 천하를 물려받아도 좋다. 제18대 대통령선거(2012년12월19일)가 끝난지 1년이 다되어가는데도 온 나라가 부정선거 시비로
기원전 262년, 진나라 소양왕은 대장 백기(白起)에게 조나라를 치라며 책사 범휴를 통한 계책을 소문낸다.염파 장군이 있는 한 조나라를 이길 수가 없다.라고. 얼마 후 조나라 효성왕은 소문을 듣는다. 진나라가 두려워하는 사람은 염파가 아니고 조괄이다. 조괄은 젊고 병법에 통달한 사람이지만 염파 장군은 늙은 겁쟁이다. 조왕은 염파장군을 파면시키고 조나라의 명장으로 죽어간 조사(趙奢)의 아들 조괄을 대장군에 임명한다. 조괄 어머니는 아들은 종이위의 병법가라 대장군 그릇이 아니니 전쟁에 질 경우 책임을 가족에게 묻지 않는다는 왕의 친서를 받아낸다. 종이위의 병법 천재 조괄은 졌고, 수하 45만 병사는 생매장됐고 나라는 망한다. 그로부터 2074년이 되는 기원후 2012년 7월 박근혜 대통령 후보 대선캠프에서 코드 원은 대장 김무성에게 문 후보 이길 묘책을 강구한다. 박근혜 후보와 문재인 후보가 1:1로 붙으면 박빙. 이때 혜성처럼 등장한 인물이 안철수 서울대 교수. 인생의 시간에서 내몰린 황혼의 방황자들과 도시의 경쟁에서 두 손 들고 나와 버린 삶의 이탈자들과 배움의 현장에서 아파하며 살아갈 용기가 없었던 아픈 청춘들에게 있어서 그는 분명 메시야 그 이상. 하지만
『열자(列子)』「설부(說符篇)」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다. 춘추시대 말기 송나라의 착한 사람 집에 검은 암소가 새끼를 낳았는데 흰 송아지다(黑牛生白犢). 놀란 착한 사람은 공자께 까닭을 물으니 공자 왈 좋은 일이 있을 것이니 흰 송아지를 하늘에 제사 지내면 됩니다. 그 후 1년이 지난 어느 날 착한 집 아버지는 눈이 먼다. 그런데 그 착한집의 검은 암소가 또 흰 송아지를 낳았다. 착한집의 부자(父子)는 이일을 공자께 다시 묻는다. 착한 아들은 아버지의 그러한 일이 마뜩치 않아 여쭙길 지난번에도 그분께 물어봤다가 아버지 눈만 멀었는데 왜 또 그런 분께 물으려 하십니까. 착한 아버지 왈 어찌 말이 그리도 경망스러우신가. 본시 성인의 말씀은 처음에는 어긋나는 것 같다가도 살다보면 다 그 말이 맞는 법이지. 그렇게 해서 공자께 또 물으니 공자 왈 좋은 일이 있을 것이니 흰 송아지를 하늘에 제사지내면 됩니다. 그리고 1년 뒤에 이번엔 착한 아들 눈이 먼다. 뭐 저런 인간이 성인이냐라며 공자를 원망하고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는 눈먼 아들을 달래지만 아버지는 그 누구도 원망하지 않고 힘겨운 나날을 살아내고 있다. 그런데 강대국 초나라가 송나라를 쳐들어와 큰 전쟁이 벌어진다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인 김정은에 대해 우리는 신뢰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북한이 약속을 지키지 않기 때문이다. 그동안 북한은 체제 안정을 위해 전략적 측면에서 엉뚱한 행동도 많이 했다. 그러다보니 남북관계가 소강상태로까지 확대, 기본적 신뢰가 무너지는 이유가 됐다. 지난 11월 5일자 일간신문에는 서유럽을 순방중인 박근혜 대통령과의 BBC 인터뷰가 나왔다. 기사에 의하면 박근혜 대통령의 인터뷰는 출국 전인 지난달 29일 청와대에서 이뤄졌으며 4일이하 현지시간방송됐다고 전했다. 이 기사를 보는 순간 방정맞게도 단어하나가 툭 불거져 나온다. 신뢰(信賴) 프로세스. 박근혜 대통령의 정책 방향을 한마디로 요약할 수 있는 키워드다. 어디서 무엇을 하든 투표에 의해서 뽑힌 대통령의 할 일은 하나다. 국민께 공약한 것만 지키면 되는 것이다. 다른 애기는 다 필요 없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공약을 못 지켰다고 해서 대통령을 내 몰수는 없다. 국민 투표의 힘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공약을 실행하는 것은 누구의 몫인가. 그것은 대통령이 임명한 각 부처의 참모와 장들이다. 대통령이 공약한 것을 잘 지키라고 국민들은 피보다 더 귀한 돈을 세금으로 그들에게 주는 것이다.
애공(哀公) 14년 좌전(左傳)자로가 묻는다. 위나라 왕이 선생님을 모시고 정치를 하려고 합니다. 선생님은 무엇을 가장 먼저 하시겠습니까. 공자는 답한다. 반드시 이름을 바르게 하겠다(必也正名乎). 그러자 자로는 묘한 답을 한다. 선생님도 참 어리석군요. (子路曰 有是哉.子之迂也 奚其正?)라고 하는데 자로는 스승께 망령된 표현을 쓸 수는 없고 해서 발음은 같지만 뜻이 다른 멀리 돌아간다는 의미의 「우迂」를 쓴다. 쉽게 말해서 그게 어디 가당키나 한 소립니까라는 비아냥거림이다. 이를 모를 리 없는 스승 공자는 몹시 불쾌한 어투로 소리친다. 이런 못난 놈 자로야 ! 이름이 바르지 못하면 말이 이치에 어긋나고, 말이 이치에 어긋나면 일이 이루어 지지 않는다. 또 일이 이루어 지지 않으면 예악(禮樂)이 일어나지 않으며, 예악이 일어나지 않으면 형벌(刑罰)이 부당하게 된다. 그러니 형벌이 부당하게 되면 백성들은 손발조차도 둘 곳이 없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임금은 반드시 그에 맞는 말을 해야 하고, 반드시 한 말에 대해 실천을 해야 한다. 그래야 임금이 자기가 한 말로 인해 욕(苟)이 몸(己)에 이르지 않는다논어 자로편 13-3문장. 국민들이 박근혜 후보께 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