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사다난했던 2013년 계사(癸巳-흑사검은뱀)년이 지나가고 2014년 갑오년(甲午年)이 왔다. 갑오년은 60간지 중에 31번 째의 해인데 음양오행에서 갑오년의 갑(甲)은 청색을, 오(午)는 말을 의미해서 청말의 해라 한다. 일반적으로 말띠는12년 주기이며 12년 후인 2026년은 붉은 말띠, 2038년은 황 말띠, 2050년은 백 말띠, 2062년은 흑 말띠, 60년 후인 2074년이 되어서야 다시 갑오년 청 말띠가 된다. 천간(天干)을 오행(五行)으로 풀이하면 갑을(甲乙)은 목(木), 병정(丙丁)은 화(火), 무기(戊己)는 토(土), 경신(庚申)은 금(金), 임계(壬癸)는 수(水), 목은 푸른색 청(靑), 화는 붉은색(赤), 토는 노란색(黃), 금은 흰색(白), 수는 검은색(黑)이며 말띠이다. 쉽게 말해서 갑오생은 청마, 병오생은 적마, 무오 생은 황마, 경오생은 백마, 임오생은 흑마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갑목(甲木)은 푸른 청색 동방(東方)이며 봄(春)의 시작을 의미한다. 더욱이 오(午)는 시각으로 보면 한 낮인 정오를 의미하는데 뜨거운불이 성한 시각에 갑목(甲木)이 목화생(木火生)격으로 나무에 생(生)의 기운을 받아서 불이 활활 타오르는 형국이다. 명리
공산당 혁명 때 위기에 몰려 도망을 가다 막다른 골목에서 더 이상 도망 갈 곳이 없어지자 살기위해 똥통으로 뛰어든다. 가진 것 이라고는 산속에서 게릴라전하면서 나무에 꼽아 물 빨아먹으려고 주머니 속에 넣어둔 빨대하나. 그 빨대를 입에 물고 자신을 잡으러온 적군이 돌아가기까지 재래식 똥통 안에서 코딱지를 뜯어먹으면서 사흘 열 끼니 즉 삼일을 버틴다. 이런 인연으로 중국은 지금도 그의 생명의 은인격인 재래식 변소를 바꾸지 않는다고 한다. 그는 8세 때 아버지한테 작살나게 터진다. 이유는 삼국지 책을 읽느라 그날 팔아야할 배추를 팔아오지 못해서. 아버지 매에 못 이겨 마을 공동 저수지에 몸을 던져 삼일을 버틴다. 속으로는 몇 번이고 돌아가서 아버지 잘못했습니다라고 용서를 빌고 싶었다고 한다. 그렇지만 무슨 깡다구인지 이를 악물고 버텼다. 배고플 땐 콧구멍을 쑤셔서 코딱지를 뜯어먹었다고 한다. 그렇게 삼일을 지나고 나니까 아버지 왈. 내가 명색이 남자다. 남자 입에서 잘못했다고 말 할 순 없지 않는냐. 남자는 절대로 용서를 비는 게 아니다. 내가 네 맘 알았으니까. 이쯤에서 화를 풀라. 이때 아들은 아버지께 두 가지 조건을 제시한다. 배추장사는 하루 8시간만 한다.
전국시대 조괄의 아버지 조사(趙奢)는 대장군이 되기 전엔 조나라의 세금 담당 관리다. 사마천 사기 '염파인상여열전廉頗藺相如列傳혜문왕(惠文王)은 집권초기에 흉흉한 민심을 달래기 위해 증세 없는 복지를 말했지만 문제는 돈이었다. 세금담당관 조사는 고액체납자들을 닥달한다. 그 첫 번째가 혜문왕의 동생 평원군平原君, ?~서기전 251으로 이름이 승(勝)이며 3000식객을 두었고 맹상군춘신군신릉군과 전국(戰國) 사군(四君)의 한 사람으로 재상 노릇을 세 번 씩이나 해먹은 인물이다. 조사는 평원군이 형의 권세를 믿고 세금을 내지 않은 사실을 알고 법에 따라 평원군의 최측근 집사 아홉 명을 숙청해 버린다. 소식을 들은 평원군은 대노하여 조사를 죽이려 하지만 국법은 공과 사를 구분한다는 논리로 맞선다.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지도 꼭 일 년이 됐다. 복지 약속은 지켜지고 있는가. 공약은 실천이 중요하다. 2012년 7월10일 출마선언문은 이렇게 시작된다. 정책을 만드는 것보다 실천이 중요합니다. 그동안 정책이 없어서 국민이 불행했던 것이 아니라, 약속이 실천되지 않아 문제였습니다.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는 일에는 저의 정치생명을 걸고 싸워 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입니다. 그에게
장군께서는 그를 만나렵니까. 당신이 그를 데려올 수 있겠소? 찾아가서 볼 수는 있지만 억지로 데려올 수는 없지요. 그렇다면 어찌해야 한단 말이오. 장군께서 몸을 굽혀 찾아가셔야 합니다. 이 사람은 찾아가서 만날 수는 있지만 억지로 오게 할 수는 없다. (此人加就見 不可屈致也)『삼국지』「촉서蜀書」〈제갈량諸葛亮 전傳〉에 나오는 이 말은 신야(新野)에 주둔하고 있던 유비에게 단복 서서가 했던 말이다. 유비는 하남성(河南省) 남양(南陽)땅 초야 포의(布衣)제갈량에 삼고초려(三顧草廬)한다. 은(殷)나라 탕왕(湯王)은 삼고지례(三顧之禮)로 이윤(伊尹)을 맞이한 전고(典故)가 있고, 누루하치의 증손이자 순치제의 아들 강희제는 명신 이곽을 얻기 위해 칠고지왕(七顧之往) 일곱 번 왕래하다의 노고를 아끼지 않는다. 이는 모두가 통합을 향한 통큰 결정이다. 지금 박근혜 대통령에게 필요한 것은 삼고초려 할 인물이 아닐까. 작가 이병주는 대하소설『바람과 구름과 비』1권 32쪽에서 말한다. 도리에 어긋나면 한 그릇의 밥도 얻어먹어서는 안 되지만 도리에 맞는다면 천하를 물려받아도 좋다. 제18대 대통령선거(2012년12월19일)가 끝난지 1년이 다되어가는데도 온 나라가 부정선거 시비로
기원전 262년, 진나라 소양왕은 대장 백기(白起)에게 조나라를 치라며 책사 범휴를 통한 계책을 소문낸다.염파 장군이 있는 한 조나라를 이길 수가 없다.라고. 얼마 후 조나라 효성왕은 소문을 듣는다. 진나라가 두려워하는 사람은 염파가 아니고 조괄이다. 조괄은 젊고 병법에 통달한 사람이지만 염파 장군은 늙은 겁쟁이다. 조왕은 염파장군을 파면시키고 조나라의 명장으로 죽어간 조사(趙奢)의 아들 조괄을 대장군에 임명한다. 조괄 어머니는 아들은 종이위의 병법가라 대장군 그릇이 아니니 전쟁에 질 경우 책임을 가족에게 묻지 않는다는 왕의 친서를 받아낸다. 종이위의 병법 천재 조괄은 졌고, 수하 45만 병사는 생매장됐고 나라는 망한다. 그로부터 2074년이 되는 기원후 2012년 7월 박근혜 대통령 후보 대선캠프에서 코드 원은 대장 김무성에게 문 후보 이길 묘책을 강구한다. 박근혜 후보와 문재인 후보가 1:1로 붙으면 박빙. 이때 혜성처럼 등장한 인물이 안철수 서울대 교수. 인생의 시간에서 내몰린 황혼의 방황자들과 도시의 경쟁에서 두 손 들고 나와 버린 삶의 이탈자들과 배움의 현장에서 아파하며 살아갈 용기가 없었던 아픈 청춘들에게 있어서 그는 분명 메시야 그 이상. 하지만
『열자(列子)』「설부(說符篇)」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다. 춘추시대 말기 송나라의 착한 사람 집에 검은 암소가 새끼를 낳았는데 흰 송아지다(黑牛生白犢). 놀란 착한 사람은 공자께 까닭을 물으니 공자 왈 좋은 일이 있을 것이니 흰 송아지를 하늘에 제사 지내면 됩니다. 그 후 1년이 지난 어느 날 착한 집 아버지는 눈이 먼다. 그런데 그 착한집의 검은 암소가 또 흰 송아지를 낳았다. 착한집의 부자(父子)는 이일을 공자께 다시 묻는다. 착한 아들은 아버지의 그러한 일이 마뜩치 않아 여쭙길 지난번에도 그분께 물어봤다가 아버지 눈만 멀었는데 왜 또 그런 분께 물으려 하십니까. 착한 아버지 왈 어찌 말이 그리도 경망스러우신가. 본시 성인의 말씀은 처음에는 어긋나는 것 같다가도 살다보면 다 그 말이 맞는 법이지. 그렇게 해서 공자께 또 물으니 공자 왈 좋은 일이 있을 것이니 흰 송아지를 하늘에 제사지내면 됩니다. 그리고 1년 뒤에 이번엔 착한 아들 눈이 먼다. 뭐 저런 인간이 성인이냐라며 공자를 원망하고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는 눈먼 아들을 달래지만 아버지는 그 누구도 원망하지 않고 힘겨운 나날을 살아내고 있다. 그런데 강대국 초나라가 송나라를 쳐들어와 큰 전쟁이 벌어진다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인 김정은에 대해 우리는 신뢰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북한이 약속을 지키지 않기 때문이다. 그동안 북한은 체제 안정을 위해 전략적 측면에서 엉뚱한 행동도 많이 했다. 그러다보니 남북관계가 소강상태로까지 확대, 기본적 신뢰가 무너지는 이유가 됐다. 지난 11월 5일자 일간신문에는 서유럽을 순방중인 박근혜 대통령과의 BBC 인터뷰가 나왔다. 기사에 의하면 박근혜 대통령의 인터뷰는 출국 전인 지난달 29일 청와대에서 이뤄졌으며 4일이하 현지시간방송됐다고 전했다. 이 기사를 보는 순간 방정맞게도 단어하나가 툭 불거져 나온다. 신뢰(信賴) 프로세스. 박근혜 대통령의 정책 방향을 한마디로 요약할 수 있는 키워드다. 어디서 무엇을 하든 투표에 의해서 뽑힌 대통령의 할 일은 하나다. 국민께 공약한 것만 지키면 되는 것이다. 다른 애기는 다 필요 없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공약을 못 지켰다고 해서 대통령을 내 몰수는 없다. 국민 투표의 힘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공약을 실행하는 것은 누구의 몫인가. 그것은 대통령이 임명한 각 부처의 참모와 장들이다. 대통령이 공약한 것을 잘 지키라고 국민들은 피보다 더 귀한 돈을 세금으로 그들에게 주는 것이다.
애공(哀公) 14년 좌전(左傳)자로가 묻는다. 위나라 왕이 선생님을 모시고 정치를 하려고 합니다. 선생님은 무엇을 가장 먼저 하시겠습니까. 공자는 답한다. 반드시 이름을 바르게 하겠다(必也正名乎). 그러자 자로는 묘한 답을 한다. 선생님도 참 어리석군요. (子路曰 有是哉.子之迂也 奚其正?)라고 하는데 자로는 스승께 망령된 표현을 쓸 수는 없고 해서 발음은 같지만 뜻이 다른 멀리 돌아간다는 의미의 「우迂」를 쓴다. 쉽게 말해서 그게 어디 가당키나 한 소립니까라는 비아냥거림이다. 이를 모를 리 없는 스승 공자는 몹시 불쾌한 어투로 소리친다. 이런 못난 놈 자로야 ! 이름이 바르지 못하면 말이 이치에 어긋나고, 말이 이치에 어긋나면 일이 이루어 지지 않는다. 또 일이 이루어 지지 않으면 예악(禮樂)이 일어나지 않으며, 예악이 일어나지 않으면 형벌(刑罰)이 부당하게 된다. 그러니 형벌이 부당하게 되면 백성들은 손발조차도 둘 곳이 없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임금은 반드시 그에 맞는 말을 해야 하고, 반드시 한 말에 대해 실천을 해야 한다. 그래야 임금이 자기가 한 말로 인해 욕(苟)이 몸(己)에 이르지 않는다논어 자로편 13-3문장. 국민들이 박근혜 후보께 물었다.
밥 배불리 먹고 등 따습게 사는 것은 아마도 다수의 지극히 평범한 국민들이 원하는 바 일 것이다. 요(堯) 임금이 나라 안 백성들의 사는 모습을 살펴보기 위해 도성 안 밖으로 시찰(視察)을 나갔다. 저자거리에는 팔순을 훌쩍 넘긴 노인들이 「임금의 힘이 내게 무슨 소용 있으랴.」라며 배 두드리고 땅을 치는 고복격양(鼓腹擊壤)의 노래를 부르며 노는 것이 목격 되었다. 임금은 노래를 한 참이나 듣고 난 후 왈. 「백성이 왕이 있는지 없는지 모르고 사는 것이 태평성대」라고 했다. 이 격양가는 중국 당요(唐堯) 시대의 일로 해 뜨면 일하고 일출이작日出而作 해 지면 쉬고 일입이식日入而息 우물 파서 물마시고 착정이가鑿井而歌 밭 갈아 밥 먹으니 경전이식耕田而食 임금의 은혜가 뭘 어쩌자고. 제력하유어아재帝力何有於我哉 『세종실록 권8』우암(尤庵) 송모(某) 時字烈字의 문인이며 송설체로 명필의 반열에 오른 소두산(蘇斗山)은 왈, 인생살이 백년이면 족하나니 긴 세월을 요 임금 때 격양가 부는 늙은이처럼 살리라. 百年身世生涯足 長作堯衢擊壤翁백년신세생애족 장작요구격양옹 나라를 다스리는 관료나 정치인들은 국민들로 하여금 고복격양가는 아닐 찌라도 안일(安逸)과 은일(隱逸)한 삶을 보장해
나라가 위태로울 때는 반드시 징조가 있다. 그래서 사필은 귀정을 하는 것이고 인과는 응보를 한다. 일찍이 안자춘추(晏子春秋)에서 안자(晏子)는 제나라 경공에게 나라를 위태함에 빠뜨리는 세 가지 이유를 말한다. 첫째는 빼어난 인재를 알아보지 못하는 것이요, 둘째는 인재인 줄 알면서도 등용하지 않는 것이요, 셋째는 등용을 했음에도 믿고 맡기지 않는 것이다. 이는 지도자의 오연(傲然)이다. 오연의 가장 큰 이유는 외민(畏民)이다. 다산 정약용은 『서경』의 위민(爲民)과 애민(愛民)정신을 외민(畏民)의 수준으로 끌어 올려 백성들의 편안한 삶을 가장 간절히 희구했던 실학자다. 일찍이 포숙아의 죽마고우 관중은 외민을 주석하길 국민을 존중 하는 것(尊民)과 국민을 따르는(順民)것과 국민을 활용하는(用民)것 이라했다. 쉽게 말해서 정치란 국민을 존중하고, 국민의 뜻을 따르고, 국민에게 일자리를 주는 것이다. 이를 전고(典故)에서는 합려의 아들 부차가 월나라를 치기 훨씬 전인 그의 아버지 오왕 합려 때 일이다. 초나라와 오나라는 강대국이라 그 간극의 자리에 작은 나라 진(陳)은 항상 두 나라의 눈치를 봐가며 국가 생존 전략을 짠다. 어느 한 쪽의 편도 들지 않으면서 동시에
-오동잎으로 동생을 제후에 봉하다.- 은(殷)나라를 쳐서 멸하고 주(周)나라를 세워 천자가 된 무왕(武王)은 천자가 된지 2년 만에 죽는다. 뒤를 이어 태자 송(誦)이 위에 오르니 그가 성왕(成王)이다. 성왕이 나이가 어리므로 무왕의 동생이자 어린 성왕의 숙부인 주공(周公) 단(旦)이 7년여에 걸쳐 섭정(攝政)으로 나라를 다스리다가 조카인 성왕이 말 귀를 알아들을 쯤에 이르자 천자의 권한을 어린 조카에게 되돌려주고는 그 자신은 신하의 자리로 돌아오니 조카인 어린 성왕은 숙부인 주공에게 곡부(曲阜)를 식읍(食邑)으로 내린다. 이와 똑같은 사건이 요즘 관상이란 영화로 주가를 올리고 있는 수양대군과 단종과의 관계다. 훗날 수양 숙부는 주공 단과는 달리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를 찬탈한다. 그런 일이 있은 후 어느 날 천자의 자리에 오른 어린 조카는 동생인 당숙(唐叔) 우(虞)와 오동나무 아래서 함께 놀다가 오동잎이 떨어지자 그 잎을 주워 장난삼아 이렇게 말을 한다. 짐(朕)은 너를 진후(晋侯)에 봉한다. 이 오동잎은 너를 진후(晋侯)에 봉(封)하는 규(圭)니라. 옆에서 이 모습을 우연히 지켜보게 된 숙부 주공은 정색을 하면서 아뢴다. 천자께서는 말씀이 너무 과하십니다
만천과해(瞞天過海). '황제는 하늘을 속이고 바다를 건너다'라는 고사(故事)이다. 병서의 에센스라 불리는 삼십육계 제1장 승전계(勝戰計)의 제1조다. 당태종이 30만 대군으로 요동을 정벌할 때 막후 설인귀(薛仁貴)가 써먹었다는 이른바 전시(戰時) 최고의 기만술. 흔히 세상에서 말하는 줄행랑 36계중 제1계다. 備周則意怠, 常見則不疑. 陰在陽之內 不在陽之對 太陽 太陰 스스로 준비가 잘되어 있다고 믿을 때 소홀함이 생겨 상대방을 의심하지 않게 된다. 그럴 순간 상대방은 이러한 약점을 파고든다. 여기서 양은 드러남이요 음은 드러남 속에 약점이란 뜻이다 만천과해(瞞天過海)의 출전인 36계는 작가가 밝혀지지 않았지만 수천 년 간 중국 병법의 핵심만을 집대성 해 놓은 글이다. 분량은 많지 않으나 이를 6책으로 분류하고 다시 6항을 두어 육육이 삼십육 이런 식으로 서른 여섯 개의 계를 만든다. 박근혜 대통령에게는 물 불 안 가리고 뛰어드는 포호빙하(暴虎馮河)의 참모는 있으나 일을 실현시키는 만천과해(瞞天過海)의 참모는 없음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되지 않을 것을 이미 알고도 마치 될 것처럼 큰소리 뻥 뻥쳐서 상대로 하여금 믿게 해서 계약을 했다면 이는 자칫 허위계약이 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