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 소비자물가지수가 한 달 만에 2%대로 올라서며 지난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먹거리 가격이 고공행진을 지속했고, 지난달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석유류 가격은 중동 사태 여파로 상승 전환했다.
지난 2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31로 전년 동월 대비 2.2% 상승했다.
월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들어 1월 2.2%, 2월 2.0%, 3월 2.1%, 4월 2.1% 등 4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한 뒤 5월에는 1.9%로 떨어졌다가 한 달 만에 다시 2% 대로 반등했다.
소비자물가는 농축수산물(1.5%)과 공업제품(1.8%), 전기·가스·수도(3.1%), 서비스(2.4%) 가격이 모두 전년 동월 대비 상승했다.
특히 축산물(4.3%), 수산물(7.4%), 가공식품(4.6%), 외식(3.1%) 등 먹거리 가격이 전반적으로 크게 올랐다.
수산물 가격 상승폭은 2023년 11월 이후 1년 7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또 농산물 가격은 전달 비해 하락폭이 -4.7%에서 –1.8%로 줄었다.
6월에는 고등어(16.1%), 마늘(24.9%), 달걀(6.0%), 돼지고기(4.4%), 국산쇠고기(3.3%), 빵(6.4%), 김치(14.2%), 라면(6.9%), 찹쌀(33.0%) 등이 높은 가격 상승폭을 나타냈다. 달걀은 3년 5개월 만에, 라면은 1년 9개월 만에 가장 상승폭이 컸다.
반면 사과(-12.6%), 배(-25.2%), 파(-18.5%), 당근(-30.6%), 고구마(-9.6%), 토마토(-7.8%), 참외(-6.8%) 등의 가격은 큰 폭으로 떨어졌다.
지난달 마이너스(-2.3%)를 기록했던 석유류 가격은 중동 사태로 인한 국제유가 상승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0.3% 상승했다. 자동차용 LPG 가격은 10.6% 올랐다.
또 도시가스(6.9%), 지역난방비(9.8%), 상수도료(3.6%)도 높은 상승세를 나타냈다. 전기료는 0.4% 하락했다.
서비스 품목 중에서는 보험서비스료(16.3%), 가전제품수리비(25.8%), 공동주택관리비(4.3%) 등 개인서비스의 상승폭이 컸다.
통계청은 “축산물의 경우 상승폭이 둔화됐지만 농산물은 하락폭이 축소됐고, 가공식품 등의 가격 상승폭이 확대되면서 전년 대비 상승폭이 커졌다”며 “석유류는 최근 국제유가가 상승하면서 6월 0.3%로 상승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먹거리 가격이 고공행진을 하면서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5% 상승했다. 식품 가격은 3.2% 상승해 높은 수준을 나타냈고, 식품 이외 품목은 2.1% 올랐다.
또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가격 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3.4% 상승하면서 지난해 7월(3.6%)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향후 기상여건, 국제유가 변동성 등 불확실성이 있는 만큼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체감물가 안정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라며 “특히 민생과 밀접한 먹거리 물가 안정을 위해 농‧축‧수산물 할인지원, 주요 식품원료 할당관세 등을 지속하면서, 주요 품목의 가격·수급 변동요인에 대해 신속히 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소비자 물가 지수 상승률이 다시 한 달 만에 2%로 올랐다. 사진은 6.9%의 상승률을 보인 라면 진열대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