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예총이사회는 지난1일 회원단체 지부장 등 이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사회를 갖고 박수자 회장의 사의를 수용했다.
예총이사회에 따르면 이사회 전원이 박 회장의 사의를 만류했으나 사의를 받아 달라는 박 회장의 부탁에 따라 사의를 수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회장은 사임의 변을 통해 “44년 역사를 지닌 경기예총이나 출범 10년을 조금 넘긴 용인예총이나 보조금에 목말라 하기는 마찬가지인 상황인데 최근 몇 년간 상황이 더욱 나빠지기 시작했다”며 “이 같은 상황에 예총회장으로 지역예술인에 대한 송구한 마음과 직무의 한계를 절감하게 되어 사임을 결심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제 자연인으로 문인협회 회원으로 돌아가 지역예술발전에 작은 마음이나마 보태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예총내부에서 이번 박 회장의 사임은 이미 예견됐다는 것이 중론이다.
경기침체, 정치적 편 가르기에 따른 예산 삭감과 시주도의 수준 높은 공연행사 등으로 지역 예총이 이류로 치부 받는 사회적 편견이 팽배했기 때문.
특히 다른 사회단체에 비해 보조금에 의존하는 비율이 높은 용인예총이 경기침체에 따른 지속적인 예산 삭감과 2011년 예산편성에 용인시가 재정악화를 이유로 유래 없는 예산 40%감액 요구를 받아 지역 예술단체로서의 위상도 한층 꺾인 상황이라는 것.
용인예총 관계자는 “다양한 상황악화에 회원단체들의 중지를 모아 자생 예술단체 지원용 전액예산편성 등을 모색해 봤지만 발전적 방안에 합의하지 못했다”며 “다양한 예술계 지원 축소는 물론 기존에 치러왔던 행사축소도 고려해야 할 상황이라 예총 모두가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었다”고 말했다.
또 예산 편성이나 지부장 인준 등 예총회장으로서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이 아무 것도 없다는 것도 이번 사임에 큰 이유였다는 의견이다.
실제로 용인예총 회원단체에 지원되는 예산은 직접 각 지부로 지원되고 예총 본부에서 진행되는 사업은 용인예술제 하나다. 특히 회원단체 지부장도 중앙지부에서 인준 절차를 거칠 뿐 예총회장에게는 인준에 대한 권한이 없다.
사실상 예총회장이라는 명예 외에는 특별한 권한이 없어 박 회장이 한계를 느꼈을 것이라는 것.
예총 회원단체 관계자는 “들리는 소문으로 박 회장이 감정적으로 힘들어 한다는 얘기는 들었지만 이렇게 갑자기 사의를 표명해 유감스럽다”며 “고사를 부탁했으나 본인의 의지가 강해 만류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용인예총은 이날 박 회장의 사임과 함께 긴급하게 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조만행)를 구성했다. 임시 총회는 오는 11월 13일 개최할 예정이며 총회를 통해 선출된 신임 회장은 남은 임기인 3년 동안 예총을 이끌어가게 된다.
특히 이번 선거는 3년의 임기를 둔 회장이 갑작스럽게 사임하고 예총이 처한 다양한 위기의식송에 치러지는 선거여서 결과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