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조민정 관장 |
성품교육으로 완성되는 인성ㆍ
“태권도는 여성에게 꼭 필요한 무도다. 내성적 섬세함을 자신감과 리더십으로 키울 수 있다. 자녀에게 뚜렷한 교육 목표를 가진 부모라면 입관시킬 것을 권한다. 바르고 정직한 교육으로 지도하겠다.”
수지구 죽전동 ‘용인대 대지 태권도장’ 조민정 관장(공인6단 34세 태권도과학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의 일성이다.
![]() |
||
용인대학교 태권도학과 출신으로 8세 때부터 태권도를 수련했다. 남자수련생을 겨루기로 이겨내며 시범단 활동을 비롯해 중학교 때 까지 전국대회에 출전했다.
결국 태권도학과를 전공하게 된 조 관장은 “음대와 체대 사이에서 반대하는 부모님을 설득, 체대를 결정했다”며 “결정에 대해 지금도 후회는 없다”고 말했다.
그녀는 “제자 양성이 보람이며 내가 본보기로 바로 설 때 제자들이 배울 것”이라며 “한 명의 제자가 있더라도 그것이 보람”이라고 말했다.
두 아이의 엄마인 조 관장은 엄마의 마음으로 제자들과 눈을 마주한다. 아이의 눈을 통해 마음을 읽고는 성품교육으로 인성을 완성시킨다.
조 관장은 “인간에게 기본이 되는 성품교육으로 상대방의 긍정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그로인해 자신감 있는 인성을 심어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경청, 배려, 감사, 인내, 긍정적 태도, 책임감, 절제, 좋은 습관, 순종, 리더십, 창의성, 지혜의 12성품을 정하고 매월 1가지 주제로 가정과 연계하며 교육하고 있다.
양로원과 요양원 봉사도 계획하고 있다. 이웃을 배려하라는 조 관장의 뜻이 담겼다.
그 외에도 어머니 태권도교실을 운영, 믿음과 건강을 어머니와 함께 누리며 실전을 중요시하는 조 관장은 실전 입식타격기 수업이라는 자체프로그램을 개발했다.
킥복싱, 무에타이, 태권도의 장점만을 살려낸 실전기술로 스스로 지도자연수나 세미나에 참석, 무예수련에 열중하고 있다.
조 관장은 “태권도학과에 여성 최초로 교수가 되는 것이 꿈”이라며 “전 세계에 태권도의 소중함을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