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18 (월)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농업/경제

아세안서 우리 상품에 대한 긍정적 인식 확대일로


(용인신문) 한류 등의 영향으로 아세안(ASEAN) 지역에서 우리 상품에 긍정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으며, 최근 우리 정부의 신남방 정책에 대한 현지의 기대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OTRA는 동남아 지역에서 한국의 주요 산업·상품, 한류 관련 현지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아세안(ASEAN) 회원국*에 거주하는 1,734명(현지 일반인 1,100, 현지 바이어 326, 현지진출 한국기업 관계자 308)을 대상으로 올해 3~4월에 실시한 설문조사(‘2018 아세안 지역 마케팅 지표 조사’) 결과를 10일 발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태국, 미얀마,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라오스, 싱가포르(브루나이 제외)

먼저 한국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경제 및 산업’이 44.3%로 가장 높았고, ‘음식’이 18.2%로 그 다음을 차지했다. ‘북한/북핵’은 3.4%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한국 상품과 기업, 국가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가 좋게 나타난(즉,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국가는 필리핀,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우리 정부의 ‘신남방정책’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93.8%가 높은 기대감*을 나타냈다. 국가별로는 필리핀(96.3%), 베트남(94.6%), 인도네시아(94.5%)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인(93.0%)에 비해 현지에 진출한 한국 기업인(95.2%)이나 현지 바이어(97.4%)의 기대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또한 신남방정책에 따른 경제교류 희망 산업은 △ 컴퓨터, 전자, 통신 등 디지털 △ 교통 △ 에너지 등이 주를 이뤘다.

* 전체 응답 중 ‘전혀 도움이 안된다’를 제외한 수치(거부율 파악 통한 신규 아젠다 수용도 측정 목적)

한국의 산업 및 상품 등에 대한 한류의 경제적 영향 관련, 우리나라 상품에 대한 인식이 질적, 양적 모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선진국 대비 경쟁력 관련 “가격이 100달러인 한국 상품과 동일한 상품이 미국, 독일, 일본에서도 생산됐다고 가정했을 때의 가격을 매겨달라”는 질문에 평균 137.9달러라고 응답, 10년 전 152.9 달러에 비해 15달러, 9.8%가 개선됐다. 한편, 중국 제품은 73.8달러로, 10년 전보다 7.0달러, 10.5% 개선돼 개선율이 한국보다 약간 더 높았다.

또한 고부가가치화 가능성(“얼마까지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할 용의가 있는가?”)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과 관련해서도, 평균 26.5%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할 용의가 있는 것으로 응답했다. 영화·드라마 (35.1%), 화장품 (33.9%), 음식·식음료 (32.5%)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한류가 우리 제품의 판매촉진에 끼친 영향도 44.5%로 양적확대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대적으로 높아진 국가브랜드 위상으로 인해 한국에서 생산하는 중소중견기업 상품(Made In Korea)에 대한 신뢰는 49.5%로 나타나, 제3국에서 생산하는 한국의 대기업(50.5%) 상품에 맞먹는 원산지 브랜드(Country of Origin Brand) 신뢰도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의 유명인을 초청해 대형 행사를 개최할 경우 매출이 최소한 83%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일반인 82.5%, 현지진출기업 87.1%, 바이어 86%). 해당 유명인으로는 송지효, 이민호, 아이유, 송혜교 등이 꼽혔다.

김기준 KOTRA 동남아대양주지역본부장은 “신남방정책의 핵심 지역인 아세안 지역에서 우리 기업이 시장진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이번과 같은 객관적인 실태 분석에 근거한 세부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며 “한류 등에 힘입어 아세안에서 축적됐을 것으로 여겨졌던 우리 제품의 고부가가치화 가능성과 한국 원산지 프리미엄 등이 이번에 확인된 만큼, KOTRA는 앞으로 이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현지의 기대감이 높은 신남방정책까지 활용한 적극적인 홍보와 새로운 마케팅 사업 발굴에 힘을 쏟을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