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혼밥, 혼술, 고독사, 우울증, 자살률 등 ’치매‘하면 떠오르는 단어가 고령사회, 노인, 부모님 등이 아닐까.
통계청 통계를 보면 2021년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16.5%로 10년 전에 비해 5%p 높다. 또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에 의하면 노인 우울증은 21.1%에 달한다. 이것이 우리 사회 어르신들 아니, 우리 부모님들이 살아가고 있는 현실이다.
코로나19로 우울하고 어려운 상황에도 매월 25일이면 꼬박꼬박 안부를 묻는 효자가 있다. 바로 기초연금이다. 어르신 중에는 25일만 기다렸다가 통장의 잔고를 확인하기 위해 은행을 찾는 사람이 많다. 어떤 어르신에게는 아들, 손주, 며느리의 방문보다 더 반가운 소식일 수 있다.
기초연금은 2014년 7월부터 올해로 7년째를 맞았다. 월 20만 원으로 시작한 기초연금액은 올해 월 최대 30만 원까지 인상됐다. 자식들도 제대로 드리지 못하는 생활비를 국가에서 잊지 않고 지급해 주니 어르신들에게는 매우 든든한 동반자다. 특히 변변한 일자리나 소득이 없는 어르신들에게는 꿈 같은 돈일 수 있다.
해마다 국민연금연구원에서는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기초연금 수급자 실태분석‘이란 설문조사 보고서를 발표한다. 기초연금이 제도의 목적을 잘 달성하고 있는지 어르신들에게 미치는 영향이나 효과는 어떤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수급자들에게 향후 삶에서 가장 큰 걱정거리가 뭐냐고 물어보니 대부분 돈과 건강에 대한 불안이다. 기초연금이 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사람은 91.0%로 상당수 수급자가 도움 된다는 생각이며 받는 금액도 10명 중 8명이 만족한다고 답했다.
기초연금을 받아 사용하는 곳은 식비가 78.9%로 가장 많았다. 기초연금이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요긴하게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스비나 수도세, 병원비, 교통비 등으로도 사용하고 있었다. 가장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기초연금이 지배하고 있다.
우스갯소리로 세상에서 가장 좋은 꿀은 부모가 자식에게 주는 꿀이라고 한다. 자식이 부모에게 주는 꿀이 어찌 달지 않을까 마는 최상품은 그래도 자기 자식에게 주지 않았을까. 이를 흔히 내리사랑이라 한다.
자식들은 부모님께 자주 안부 전화를 드리고 국가에서는 꼬박꼬박 기초연금을 드리며 지난 시절의 은혜를 기억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