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3.9℃
  • 맑음강릉 11.0℃
  • 흐림서울 3.8℃
  • 구름많음대전 8.2℃
  • 구름많음대구 9.5℃
  • 구름많음울산 12.2℃
  • 구름많음광주 8.5℃
  • 구름많음부산 13.3℃
  • 흐림고창 9.1℃
  • 흐림제주 12.8℃
  • 구름많음강화 3.5℃
  • 구름조금보은 6.7℃
  • 구름조금금산 8.5℃
  • 흐림강진군 9.3℃
  • 구름많음경주시 11.0℃
  • 구름많음거제 13.3℃
기상청 제공

광속으로 진보하는 시대에 우리가 잃은 것

 

 

용인신문 | 어슐러 K. 르 귄의 작품들은 과거의 작품이지만 현재 읽어도 손색없는 SF이자, 판타지이면서 이야기가 무엇을 향해 가야 하는지 생각하게 하는 작품들이 대다수이다. 출판사에서 SF작가가 노벨상을 받는다면 1순위 작가라고 평한 르귄의 걸작선 네 번째 『내해의 어부』는 르귄의 중후기 단편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중 「내해의 어부」(『투머로』, 1994년 발표)는 광속으로 진보하는 시대에 우리가 잃은 것을 알려주며 그럼에도 변함없이 지켜야 할 것을 발견하게 하는 작품이다. ‘내해의 어부’는 주인공의 엄마가 주인공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로 이 작품이 전하는 상징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그 이야기 속 주인공은 바닷속 여행을 다녀왔더니 세월이 너무 지나있었다는 이야기였다. 한적한 변두리 행성의 주인공 해대 오는 엄마가 들려주는 어부의 이야기를 들으며 자란다. 히데오는 상상 속의 이야기를 현실로 실현하기 위한 연구를 위해 고향 행성을 떠난다. 히데오의 연구는 성공한 것처럼 보이지만 연구 중 돌아온 고향별은 생각과 많이 달라져 충격에 빠진다.

 

히데오는 고향에 돌아오자, 자신이 먼 행성으로 떠나 연구에 몰입했던 시간보다 훨씬 더 많이 지나 사랑하던 이가 변한데다, 고향별에 남은 추억이 남은 장소가 품은 시간 속에 자신이 빠져있음을 알고 허무한 마음이 생긴다. 히데오가 연구에 매진하는 동안 잃은 것은 무엇이었을까? 히데오는 어째서 자신의 이야기를 시작해야 했을까? “사랑할 공간도, 시간도 없었다”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