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에는 색깔이 있다. 정직한 사람인지 요령이 좋은 사람인지를 알 수가 있다. 그리고 이들이 살아가는 방식도 보인다. 권모술수를 잘 쓰는 사람도 있고 너무 고지식한 사람도 있다. 하지만 대체적으로 바르고 고지식한 사람이 더 안정적으로 잘 살고 있다는 것을 임상경험으로 알게 된다. 예전에 유명한 부산 박도사라는 사람이 있었다. 박정희 대통령시절부터 1990년대 까지 정재계 유력인사들의 사주를 봐주며 기업 운영이나 정책 결정에 조언을 한 사람이다. 그는 실력도 있었지만 권모술수를 쓰는 사람이었기 때문에 나중에는 빚에 몰려 건강악화로 죽게 된다. 권모술수는 어찌 보면 욕심이다. 진실 된 마음으로 자신의 할 도리만을 지켜 가면 나중에는 칭송받게 되는데 성실한 도리보다는 편법을 좋아하는 것이 권모술수인 것이다. 선거출마 또한 권모술수의 일환일 수가 있다. 보통 공무원의 자리는 어려운 자격증을 따야 하고 업적을 쌓아 승진이라는 심사를 거쳐야 높은 자리에 오르게 된다. 하지만 선거는 그러한 자격기준 따윈 없이 인기투표를 통해 공무원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권모술수를 좋아하는 많은 사람은 선거 때가 되면 자신을 잘 포장해서 출마를 한다. 권모술수는 편법이고 욕심이 있는 마
우리 아이가 대학시험에 합격할까요? 라고 물어 보는 사람이 있다. 사주를 보니 이 아이는 그냥 놀면서 헛된 사행심과 공상에만 빠져 있다. 어머니에게 물어본다. 과연 아들이 대학에 합격할 수 있다고 보시냐고 말이다. 어머니는 운이 좋으면 되지 않을까요. 라고 말한다. 하지만 운이 모든 것을 대신 할 수는 없다. 사주에는 격이라는 것이 있다. 격은 개인의 성격도 되지만 사회적 처신과 어떤 뜻을 위해 행동하고자 하는 마음이라고 본다. 격의 종류는 많은데 그중 좋은 격은 개인을 사회적 성공으로 이끌어 주고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자로 만들어준다. 이명박 대통령의 사주는 친구들의 도움으로 함께 잘 먹고 잘 살고자 하는 격이다. 지극히 사적인 꿈을 가진 사주임에도 불구하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하지만 분명 격이 이루어져 있음으로 그는 노력했고 최고의 자리까지 올라가게 되었다. 어떤 성공한 사람이든 격이 이루어져 있어야 한다. 하지만 대체로 좋은 격을 가진 사람은 드물다. 격이 좋으면 노력을 한다. 방법이야 어쨌든 반드시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정진할 수밖에 없다. 우리들로서는 그 꿈이 좀 더 많은 사람들을 위한 희생정신이면 좋겠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가 없다는 것을
공자는 정치란 국민을 배부르게 하고(足食), 국력을 기르고(足兵), 국민에게 믿음을 주는 것(民信之) 이라고 말했다. 우린 선거를 통해 그러한 정치를 해줄 것 같은 사람을 선출하고 싶다. 하지만 좋은 정치가는 드물다. 선거는 가장 훌륭해 보이는 사람을 선출하는 것이다. 다른 말로는 일등을 가리는 것인데 이는 나는 가수다라는 연예프로그램에서 순위를 매기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 사주에선 실력을 증명해서 인기를 모으는 가수 사주와 정치가 사주를 같게 본다. 우리는 나가수를 보면서 누가 일등을 할 것인가 궁금해 한다. 전문가들은 나름대로 예상하여 순위를 정하고 시청자들도 나름 순위를 매겨보지만 결과는 엉뚱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허다하다. 무엇 때문에 그런 것일까? 생각해보면 아무래도 그 사람의 실력보다는 원래 가지고 있는 카리스마와 그때의 운이 더 많이 작용한다는 것을 느낄 수가 있다. 운과 실력은 항상 같이 간다. 실력 있는 가수라도 곡 선택이 잘못되면 개성이 반감되고, 자신감이 없어서 관중을 휘어잡지 못하면 순위에 오를 수가 없다. 하지만 동정표도 있고 그 사람의 인품 됨도 있고 열성팬들의 고정표도 있어서 오로지 실력하나만으로는 순위를 예측하기 힘들다. 그래서
▲ 도학 오광탁 (명리상담가) 경기대 대학원 동양철학과 /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선천직업상담학과 졸업/ 현재 도학 사주상담소 운영 2012년 임진년은 양의 해이고 물과 땅의 해이며 논에 물을 대는 늦봄의 시기이다. 띠별로는 용의 해인데 용을 상상의 동물로서 변덕스럽고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의미가 있다.임진년은 주역괘상으로 보면 수택절 혹은 수뢰준괘를 갖는데 이는 안정을 위해 분별과 인내로서 발전과 성장을 도모한다는 의미다. 이런 의미로 60년 주기로 반복되는 임진년을 풀이하면 약하고 부패한 것들은 망하고 새로운 기운이 나와 변화와 안정을 도모하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한마디로 모내기를 하는 것과 같다. 씨앗이 될 것과 아닌 것을 가리게 되고 잡풀은 갈아내며 창고의 곡식은 비어지게 된다. 단지 미래의 희망만이 있을 뿐이다. 따라서 예전 보릿고개처럼 모진 것을 견뎌야 하는 시기이며 미래의 결실을 위해 열심히 준비하는 시기이다. 한국전쟁이 있었던 임진년엔 휴전선 근방으로 남북이 장기적으로 대치되는 형국이었고 다음해인 계사년에 휴전으로 종결된다. 또한 임진왜란에는 이순신장군이 자신의 모습을 드러낸 시기이기도 하다. 임진년들의 역사를 보면 문호 개방 혹은 외세의